* 이전 레터에서 코로나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면서 인테리어에
돈을 많이 쓰게 될 것이라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는데, 실제로 미국 주택협회에서 발표하는 리모델링지수는
1분기 48에서 2분기
73으로 급등했습니다. 리모델링 계획지수는 62에서 83까지 올랐습니다. 앞으로
미국은 리모델링을 정말 많이 할 건가 봅니다.
* 이 모든게 전부 코로나 때문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 미국의 자가
점유율은 2016년 6월 63%에서
2020년 6월 68%로
올랐습니다. 미국의 30~40대 자가 점유율이 높아진 덕입니다. 2006년에 69%였으니 사상최고치에 거의 근접했습니다.
- 집의 미래는 다양성 –
* 우리나라도 요즘 집으로 말이 많아서 홍대 건축과 유현준 교수 인터뷰를
찾아봤습니다. 이분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독 집 값에 집착하는 이유에 대해 모든 집이 똑같이 생겨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나마 다른건 가격밖에 없으니 가격 말고 다른 얘긴 할게 없다는 겁니다. 언제 지어졌고 몇 평인지만 알면 누구나 평면도를 그릴 수 있습니다.
* 그래도 사람이 너무 그러면 없어 보이는지라 거주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고, 이걸 빨리 캐치한 방송국 PD들은
집을 구해주는 방송, 집을 꾸미는 방송, 집을 치우는 방송, 남의 집에 사는 방송, 집을 끌고 다니는 방송을 만들고 있습니다. 중요한건 똑같이 생긴 집을 원하지 않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점입니다.
- 집의 기능을 아웃소싱하다 –
* 유현준 교수는 거주 형태가 단독주택에 4인가구가 사는 것에서 아파트에 1인가구가 사는 것으로 바뀌면서 단독의
기능이 아웃소싱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마당은 공원이, 거실은
커피숍이, 주방은 편의점이, 다용도실은 크린토피아가 기능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집을 고를 때에는 공원-커피숍-편의점-빨래방이 5분거리에
있는지 확인해야겠습니다.
* 앞으로 주택시장이 좋다고 할 때 집의 껍데기를 만들어 파는 회사의
주식을 사는건 좋은 아이디어가 아닐 수 있습니다. TV 만드는 회사,
인테리어 소품 회사, 편의점 회사를 사는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