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5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1.15

 2025년 1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12월 미 CPI를 기다리며 금리와 주가가 보합에서 움직였고 업종순환매 양상을 띠었습니다. 


(2) 미 행정부의 새 수출규제 발표로 엔비디아가 5일 연속 내렸습니다.


(3) 일라이릴리가 기대를 밑도는 4분기 실적을 공개하며 7% 하락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7.90원 (-3.35원)

원/달러 Risk-Reversal 25delta 1개월 옵션, 0.9275(-0.080)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78%(-0.00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한국은행


* 한은, "추경, 경기둔화 대응 정도면 물가자극 가능성 낮아"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40%(+0.3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5%, 이탈리아 3.84%, 스프레드 1.19%p)


* 크로아티아 중앙은행장, "ECB 금리인하 속도 가속하지 않을 것"


일본은행 


* 일본은행 부총재, "전망이 계속 현실화한다면 다음주 금리인상"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36% (-0.03%p)

미 10년 국채 4.79%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28%p (+0.032pp)


미 BBB 회사채 5.86% (+0.02%p)

미 하이일드 7.61% (+0.06%p)


이머징 국채 7.75% (+0.04%p)

이머징 주식 7.91% (+0.14%p) 

한국 주식 10.67% (-0.05%p) 


한국 3년 국채 2.64 (-0.02%p)

한국 10년 국채 2.84%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98%p (-0.012%p)


한국 3년 IRS 금리 2.67%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38개 +18개)


* 글로벌 은행 (금리 하방경직성)

- Standard Chartered (영국 은행), Societe General (프랑스 은행)


52주 최저 (55개 -63개)


* 글로벌 주류 (무알콜 트렌드)

- Anheuser-Busch (미국 주류), Heineken (네덜란드 주류)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1.4 (-0.5) 

- KOSDAQ 6.8 (0.0)


- 전기전자 64.9 (+0.0)

- 커뮤니케이션 7.3 (-0.1)

- 자동차 27.7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5 (-0.1)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1 (-0.0)

- 금융 44.8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Eli Lilly, 2025년 매출 가이던스 580억~610억달러. 예상 587억달러

- 4분기 잠정매출 135억달러. 예상 140억달러

- 비만치료제 매출 예상 하회


<펀드>


* 알트코인 ETF, 최대 140억달러 자금유입 전망 <JPM>


<정책, 지표> 


* 미 행정부, Nvidia 컴퓨팅파워 수출 제한하는 수출규제 도입

- 트럼프 행정부, 수출규제 유지 의사 

- 120일간 기업들 의견 청취


* 중국 행정부, 트럼프 2기 출범전 배터리 기술수출 제한할 듯  



5. 일일 수익률 상위 (2025.1.13)


* 섹터 : 1위 귀금속, 2위 주택건설, 3위 지역은행


* 국가 : 1위 중국본토, 2위 신흥국 인프라, 3위 신흥국 음식료


일일 수익률 하위 


* 섹터 : 1위 제약, 2위 커뮤니케이션, 3위 중소형 성장주


* 국가 : 1위 인도네시아, 2위 아일랜드, 3위 필리핀

2025년 1월 1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1.14

 2025년 1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증시가 금융주, 다우지수를 중심으로 반등했습니다.


(2) 인민은행이 위안화 환율을 적절하고 균형잡힌 수준에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무알콜 선호 트렌드로 글로벌 주류주식들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66.34원 (-1.56원)

원/달러 Risk-Reversal 25delta 1개월 옵션, 1.005(+0.010)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81%(+0.014%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한국은행


* 국민연금 환헤지 매도수요 어제 서울환시서 첫 관측 <블룸버그>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10%(+0.32%p)


* 인민은행, "위안화 환율, 적절하고 균형잡힌 수준 유지할 것"


* 인민은행 총채, "정책초점, 투자촉진에서 투자와 소비 동시 촉진으로 바뀌어야"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1%, 이탈리아 3.82%, 스프레드 1.21%p)


* 핀란드 중앙은행장, "지속적인 금리인하 상식적"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39% (+0.02%p)

미 10년 국채 4.78%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90%p (+0.010pp)


미 BBB 회사채 5.83% (+0.03%p)

미 하이일드 7.54% (+0.05%p)


이머징 국채 7.70% (+0.03%p)

이머징 주식 7.77% (+0.07%p) 

한국 주식 10.72% (+0.11%p) 


한국 3년 국채 2.66 (+0.09%p)

한국 10년 국채 2.87%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0%p (-0.060%p)


한국 3년 IRS 금리 2.70% (+0.09%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0개 -23개)


52주 최저 (118개 +7개)


* 글로벌 주류 (무알콜 트렌드)

- Anheuser-Busch (미국 주류), Heineken (네덜란드 주류)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1.9 (0.0) 

- KOSDAQ 6.8 (0.0)


- 전기전자 64.9 (-0.0)

- 커뮤니케이션 7.4 (-0.1)

- 자동차 27.7 (-0.3)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6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1 (-0.0)

- 금융 44.8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iPhone, 2024년 4분기 전세계 판매 5% 감소

- 중국 기업들에 M/S 내줘


* GSK CEO, 2025년 항암제 딜 더 확대할 것"

- "트럼프 1기 때도 사업여건 양호" 


<펀드>


* Perishing Square, 부동산기업 Howard Hughes 인수 제안

- CEO, "현대의 버크셔헤더웨이 만들 것"


<정책, 지표> 


* 중국 12월 수출, 전년비 10.7% 증가. 예상 +7.5%, 전월 +6.7%



5. 일일 수익률 상위 (2025.1.13)


* 섹터 : 1위 농산물, 2위 의료보험, 3위 석유가스장비


* 국가 : 1위 이스라엘, 2위 멕시코, 3위 UAE


일일 수익률 하위 


* 섹터 : 1위 유전체, 2위 귀금속, 3위 친환경


* 국가 : 1위 인도, 2위 대만, 3위 터키

2025년 1월 13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01.13

 2025년 1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2월 고용이 예상을 웃돌면서 올해 금리인하 예상 시기가 9월경으로 밀렸습니다.


(2) 미 정부가 러시아 석유수출 제재를 확대하며 WTI가 76달러로 올랐습니다.


(3) 4분기 실적시즌을 맞아 국내 기업들의 올해 실적전망 하향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73.35원 (+2.05원)

원/달러 Risk-Reversal 25delta 1개월 옵션, 0.995(+0.020)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67%(+0.04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인플레 2% 경로이나 상방 리스크 존재"


* 보스턴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경제 불확실성으로 금리인하 속도 늦춰야"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금리, 아마도 장기 중립수준에 매우 가까울 것"


* 보우만 Fed 이사 (극매파 투표권있음), "근원 인플레, 높은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 정책변화에 신중해야"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고용지표, 과열 신호 아니다. 인플레 진전 없다는 건 틀린 말"

- "금리 수준, 민감한 산업들엔 이미 긴축적"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8%(+0.10%p)


* 인민은행, "채권공급 수요 못미쳐. 이달 국채매입 중지"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9%, 이탈리아 3.76%, 스프레드 1.17%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37% (+0.10%p)

미 10년 국채 4.75%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80%p (-0.024pp)


미 BBB 회사채 5.80% (+0.07%p)

미 하이일드 7.49% (+0.04%p)


이머징 국채 7.62% (-0.01%p)

이머징 주식 7.70% (+0.40%p) 

한국 주식 10.61% (+0.01%p) 


한국 3년 국채 2.57 (+0.07%p)

한국 10년 국채 2.84%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70%p (-0.028%p)


한국 3년 IRS 금리 2.61%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43개 -1개)


* 독일 수출주 (유로화 약세수혜)

- Heidelberg Material (독일 건설소재), Siemens (독일 자동화기계)


52주 최저 (111개 +67개)


* 글로벌 포장식품 (원재료가격 상승)

- Hershey (미국 포장식품), Kraft Heinz (미국 포장식품)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1.9 (-0.8) 

- KOSDAQ 6.8 (-0.0)


- 전기전자 64.9 (-0.1)

- 커뮤니케이션 7.5 (-0.0)

- 자동차 28.0 (-0.1)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6 (-0.2)

- 조선건설기계 7.3 (-0.1)

- 철강 3.1 (-0.1)

- 금융 44.8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pple, iPhone 전면개편 계획. AI 기능탑재 등 <블룸버그>


<펀드>


<정책, 지표> 


* 미 12월 비농업고용자수, 25.6만명 증가. 예상 +16.5만명, 전월 +21.2만명

- 실업률, 4.1%. 예상 4.2%, 전월 4.2%


* 미 행정부, 러시아 석유수출 제재 수위 높여 

- 브렌트유 배럴당 80달러. WTI 76달러



5. 일일 수익률 상위 (2025.1.8)


* 섹터 : 1위 석유가스, 2위 제약, 3위 금광산


* 국가 : 1위 UAE, 2위 폴란드, 3위 오스트리아


일일 수익률 하위 


* 섹터 : 1위 신경과학, 2위 보험, 3위 리튬광산


* 국가 : 1위 인도, 2위 중국, 3위 일본

2025년 1월 11일 토요일

Column_신개념 양털깎이2_2025.01.11

  

* 새로운 개념의 양털깎이는 보다 근본적인 방식으로 차이를 냅니다. 투자하고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다음 사이클에 따라올 엄두도 못 내게 합니다.

 

* 100년도 전인 1911년 조지프 슘페터는 혁신에 다섯가지 특징이 있다고 했습니다. 1) 경제의 원동력이고 2) 기업가정신을 통해 발현되고 3) 창조적 파괴가 일어나고 4) 발명보다 비용이 더 들고 상품화엔 더 많은 돈이 들어서 5) 충분한 자본을 가진 기업이 더 많은 혁신을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선빵 -

 

*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 6월로 끝나는 2025회계년 AI 데이터센터에 80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S 1 Capex 600억달러가 조금 넘습니다.

 

* MS는 클라우드에서 세계 1, 2위를 다툽니다. AWS, 구글, 알리바바, 오라클, IBM, 텐센트가 뒤를 따르는데, MS가 선빵을 날렸으니 다른 회사들도 돈을 쓸 건 불 보듯 뻔합니다. 그러지 않으면 도태되기 때문입니다.

 

* 그래서 슘페터는 혁신이 우르르 몰려나온다고 했습니다. 이성적인 계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동물적인 본능이 이끄는 거고, 탐욕이 아니라 죽을 것 같은 공포에 움직이는 겁니다. 기업가의 공포는 주식시장에선 투자자의 탐욕으로 치환돼 버블을 만듭니다.

 

- 맞춰지는 말들 -

 

* 이쯤되면 왜 초고액자산가들이 여전히 미국의 IT를 여전히 좋게 보고 VC에 투자하겠다고 하는지, 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두바이의 갑부가 미국 데이터센터에 돈을 대겠다고 하는지 계산이 섭니다. 손정의 회장은 늘 버블의 상투를 잡는 듯한 느낌을 주지만 그랬던 적은 없습니다.

 

* 매크로 보면서 미국 주식시장의 버블을 주장하는 채권의 구루들이 있습니다. 채권시장에서 싸대기 맞고 주식시장에서 분풀이하시는데, 올해엔 더 심할테니 지금이라도 페이로 돌려 놓으시기 바랍니다.

 

* 존 메이너드 케인즈도 시장은 내가 정신줄을 놓을 때까지 비이성적인 상태를 유지한다고 했습니다. 시장은 단 한번도 불편하지 않았던 적이 없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1월 10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1.10

 2025년 1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정부가 물가가 부진한 가운데 위안화 약세를 막기 위해 15일 홍콩에서 채권을 발행합니다.


(2) 미 은행들에 이어 블랙록이 친환경 동맹을 탈퇴한다고 발표했습니다.


(3) ARM이 반도체 설계회사 Ampere Semi 인수 의향을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8.60원 (-1.95원)

원/달러 Risk-Reversal 25delta 1개월 옵션, 0.975(-0.045)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20%(-0.00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8%(+0.05%p)


* 인민은행, 15일 홍콩서 환율안정 위해 600억위안 규모 중앙은행증권 발행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6%, 이탈리아 3.71%, 스프레드 1.15%p)


일본은행 


* 일본은행,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임금상승 나타나는 중"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27% (0.00%p)

미 10년 국채 4.68%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04%p (+0.000pp)


미 BBB 회사채 5.73% (0.00%p)

미 하이일드 7.45% (+0.06%p)


이머징 국채 7.63% (+0.09%p)

이머징 주식 7.30% (-0.07%p) 

한국 주식 10.67% (0.00%p) 


한국 3년 국채 2.49 (-0.01%p)

한국 10년 국채 2.79%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98%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2.56%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44개 -7개)


* 독일 수출주 (유로화 약세수혜)

- Heidelberg Material (독일 건설소재), Siemens (독일 자동화기계)


52주 최저 (44개 -11개)


* 대만 소재 (높은 중국비중)

- Formosa Plastics (대만 플라스틱), China Steel (대만 철강)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2.7 (0.0) 

- KOSDAQ 6.8 (0.0)


- 전기전자 65.0 (-0.0)

- 커뮤니케이션 7.5 (+0.0)

- 자동차 28.1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8 (-0.0)

- 조선건설기계 7.4 (-0.0)

- 철강 3.2 (0.0)

- 금융 44.8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RM, 반도체 설계회사 Ampere Computing 인수 의향 <블룸버그>

 

* Bofa-JP Morgan, 트레이딩 IB 직원들 보너스 10% 이상 인상


<펀드>


* BlackRock, 자산운용사들 간 친환경 동맹 탈퇴 선언 


<정책, 지표> 


* 중국 12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0.1% 상승. 예상 +0.1%, 전월 +0.2%


* 중국 12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2.3% 하락. 예상 -2.4%, 전월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