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14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2.14

 2022년 2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각국 소비심리지수가 하락하며 스벅 아디다스 등이 52주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2) 인민은행이 시중은행에 기업향 대출 확대를 촉구했습니다.


(3)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상황에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37%p (+0.002%p)

한국 고객예탁금, 63.6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1%

1개월 NDF 환율 1,200.75원 (+2.2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665%(-0.08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 리치몬드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개념상 50bp 인상 가능성 열려 있으나 필요한지 설득돼야"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올해 금리인상 횟수 언급하는 건 너무 일러"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00%(0.00%p)


* 인민은행, 시중은행들에 저금리 대기업 대출 확대 요청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2%)


* ECB 총재, "너무 빨리 행동하면 경기회복 저해할 가능성"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10%(0.000%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1.50% (-0.10%p)

미 10년 국채 1.93% (-0.1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37%p (+0.002%pp)


미 BBB 회사채 3.31% (-0.09%p)

미 하이일드 5.45% (-0.03%p)


이머징 국채 5.26% (-0.15%p)

이머징 주식 7.96% (+0.01%p) 

한국 주식 10.03% (-0.03%p) 


한국 3년 국채 2.34% (+0.08%p)

한국 10년 국채 2.73%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88%p (-0.029%p)


한국 3년 IRS 금리 2.38% (+0.07%p)

한국 3년 CRS 금리 1.72%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7개 +9개)


* 글로벌 에너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우려)

- Pioneer Natural Resources (미국 E&P), EOG Resources (미국 E&P)


52주 최저 (37개 +27개)


* 글로벌 경기소비재 (소비 부진 우려)

- Starbucks (미국 레스토랑), Adidas (독일 의류)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8% (0.0%p)


- KOSPI 256.2 (-0.0) 

- KOSDAQ 15.6 (-0.1)


- 전기전자 89.3 (-0.1)

- 커뮤니케이션 10.5 (-0.1)

- 자동차 13.8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19.6 (+0.1)

- 조선건설기계 6.7 (+0.0)

- 철강 10.7 (-0.0)

- 금융 39.5 (+0.2)


5. 뉴스 


1) 미 2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61.7. 예상 67.0, 전월 67.2


2) 미 정부, "우크라이나 상황,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 <블룸버그>


3) 중국 정부, 화이자 먹는 COVID-19 치료제 긴급 승인

- FDA, 5세 미만 백신 접종 회의 연기


4) 미국 주식형 펀드로 6주래 최대규모 자금유입 <Lipper>


2022년 2월 12일 토요일

Column_인플레의 구조_2022.02.12

 *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5%였습니다. 1982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인플레가 생기는 이유는 복잡한듯 보이지만 사실 간단합니다.

 

- 일할 사람이 없다 1940년대 -

 

* 미국이 2차 세계대전 참전 중이었던 1940년대 중반 미국의 실업률은 가장 낮은 1.2%까지 떨어졌습니다.

 

* 일 할 사람이 없다고 무조건 인플레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미국 정부는 전시에 가격을 통제했고 사람들은 절약했습니다. 미국 가계는 2차 대전 중 저축을 8배나 늘렸습니다.

 

* 1946년 전쟁이 끝나자 미국 정부는 가격 통제를 풀었고 사람들은 미친 듯이 써댔습니다. 인플레는 가볍게 10%를 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군인들이 돌아와 다시 일하면서 인플레는 안정됐습니다.

 

- 권력이 만든 인플레 1970년대

 

*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자본주의 국가들엔 콤플렉스가 있었습니다. 뭐가 됐든 공산주의 국가들엔 실업자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 대공황의 트라우마에서 아직 빠져나오지 못했던 자본주의 국가들은 공산주의에 지지 않기 위해 실업률을 낮추는데 전력을 다했고 이런 분위기에서 노동조합은 갑 오브 갑이었습니다. 1980년대 들어 공산주의가 맛이 가고 노조의 말빨이 약해지면서 인플레는 낮아졌습니다.

 

- easy money 인플레 1230년대 -

 

* 기술이 발명되고 고도화되면 맨 마지막에 적용되는 게 돈입니다. 금속 주조 기술이 동전으로 귀결된 것처럼 인쇄술의 끝은 지폐였습니다.

 

* 기술이 허접하면 위조가 쉽기 때문에 돈은 맨 마지막에 기술이 완성되고 나서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몽골제국은 무기를 만드는데 금속이 부족해지자 종이로 돈을 만들었고 남송과 전쟁을 시작하면서 종이 돈을 찍었고 돈의 가치가 폭락했습니다.

 

- 정치적 결정의 인플레 통일 독일

 

* 서독은 일을 잘하고 생산성이 높은 사람이 돈을 많이 받았고 동독은 일을 잘하나 못하나 돈을 똑같이 받았습니다.

 

* 독일이 통일되자 정치인들은 동독 사람들을 달래기 위해 화폐가치를 11로 합쳤습니다. 일을 못하는 사람이 일을 잘하는 사람과 같은 돈을 가지자 돈보다 생산이 부족해졌고 2000년대 초반까지 독일은 인플레로 고전했습니다.   

 

* 미국 인플레는 일시적입니다. 전쟁이 난 것도 아니고, 공산주의는 사라졌고, 코로나도 끝났으니 돈도 덜 찍어낼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미국은 일 못하는 사람에게 절대 돈을 많이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인플레에 가장 안어울리는 나라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2년 2월 11일 금요일

macro daily_2022.02.11

 2022년 2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월 인플레가 1982년 이후 최고를 기록하며 장단기 금리차가 14bp 축소됐습니다.


(2) 웨스턴디지털의 오염발생에 따른 생산차질 소식으로 마이크론 주가가 3.4% 올랐습니다.


(3) 미 상원이 소송을 쉽게 하는 미투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35%p (-0.144%p)

한국 고객예탁금, 64.0조원 -2.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3%

1개월 NDF 환율 1,200.83원 (+4.2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457%(+0.01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매파 투표권있음), "50bp 인상 지지. 7월1일까지 100bp 올려야"

- FOMC, 3월17일 5월5일 6월16일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00%(-0.05%p)


* 중국 NPL 투자자들, 정부권고로 자금난 부동산 개발업체들 지원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2%)


*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 금리인상시 이중 충격 우려"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10%(-0.008%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1.60% (+0.24%p)

미 10년 국채 2.03% (+0.0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35%p (-0.144%pp)


미 BBB 회사채 3.40% (+0.09%p)

미 하이일드 5.48% (+0.04%p)


이머징 국채 5.41% (+0.05%p)

이머징 주식 7.95% (-0.13%p) 

한국 주식 10.06% (-0.15%p) 


한국 3년 국채 2.26% (-0.01%p)

한국 10년 국채 2.68%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17%p (+0.010%p)


한국 3년 IRS 금리 2.31% (-0.03%p)

한국 3년 CRS 금리 1.70%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88개 -46개)


* 중국 은행 (대출 성장 기대)

- Bank of China (홍콩 복합은행), Bank of Communication (중국 복합은행)


52주 최저 (10개 +2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8% (-0.5%p)


- KOSPI 256.2 (-0.0)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9.4 (+0.1)

- 커뮤니케이션 10.6 (-0.0)

- 자동차 13.8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19.5 (-0.0)

- 조선건설기계 6.7 (+0.0)

- 철강 10.7 (0.0)

- 금융 39.3 (+0.1)


5. 뉴스 


1) 미 1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7.5% 상승. 예상 +7.3%, 전월 +7.0%

- 1982년 이후 최고 수준


2) 미 증권위, 지분 5% 이상 보유시 신고시한 10일 -> 5일로 단축


3) Western Digital, 제조과정서 오염으로 플래시 메모리 생산 감소

- Micron, +3.4%


4) 미 상원, 직장내 소송 쉽게 하는 #METOO 법안 통과

2022년 2월 10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02.10

 2022년 2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세계최대 컨테이너사 머스크가 올해 중순 물류 교란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2) HSBC가 헤지펀드와 패밀리오피스 상대 사업을 아시아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3) 나스닥이 반등한 가운데 AI 기업들 주가가 52주 최고를 경신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80%p (-0.033%p)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9%

1개월 NDF 환율 1,195.19원 (-1.1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457%(+0.01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인플레, 연말까지 2%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

- "3월 금리인상 선호. 과도하게 공격적일 수는 없다"


* 애틀랜타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올해 세차례 금리인상 예상. 네번 쪽으로 기울어져"

- "자산축소, 최대한 빨리 시작했으면 한다"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있음), "인플레 완화되겠지만 내년까지도 2% 상회"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05%(-0.1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2%)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10%(-0.008%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1.35% (+0.01%p)

미 10년 국채 1.93%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80%p (-0.033%pp)


미 BBB 회사채 3.31% (-0.02%p)

미 하이일드 5.44% (-0.01%p)


이머징 국채 5.36% (-0.02%p)

이머징 주식 8.08% (-0.01%p) 

한국 주식 10.21% (-0.01%p) 


한국 3년 국채 2.27% (-0.03%p)

한국 10년 국채 2.68%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07%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2.34% (-0.03%p)

한국 3년 CRS 금리 1.73%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34개 -3개)


* 미국 소프트웨어 (웹3.0 기대감)

- Nuance Communication (미국 S/W), Cognizant Tech (미국 IT 컨설팅)


52주 최저 (8개 -12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8% (-0.5%p)


- KOSPI 256.2 (-0.9) 

- KOSDAQ 15.7 (+0.1)


- 전기전자 89.3 (+0.0)

- 커뮤니케이션 10.6 (-0.1)

- 자동차 13.8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19.5 (-0.9)

- 조선건설기계 6.7 (-0.0)

- 철강 10.7 (0.0)

- 금융 39.2 (+0.3)


5. 뉴스 


1) Maersk CEO, "올해 중순 물류 병목현상 해소될 것"

- 2022년 조정 EBITDA 가이던스 240억달러. 예상 280억달러


2) 뉴욕시, 실내 마스크착용과 의무적 백신접종 중단키로 


3) Disney, 1분기 디즈니+ 가입자수 1.29억명. 예상 1.25억명


4) HSBC, 헤지펀드 패밀리오피스 금융 아시아 지역으로 확장

2022년 2월 9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2.09

 2022년 2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국부펀드가 어제 본토 주식시장에 개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화이자의 2022년 매출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3) 인프라 투자 기대로 글로벌 건설주들이 52주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612%p (-0.007%p)

한국 고객예탁금, 66.8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6%

1개월 NDF 환율 1,198.09원 (-0.0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445%(+0.04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16%(-0.02%p)


* 인민은행, 공공 임대주택 대출규제 완화 계획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2%)


* 프랑스 중앙은행장, "금융시장, ECB에 과잉반응"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18%(+0.02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1.34% (+0.05%p)

미 10년 국채 1.95%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612%p (-0.008%pp)


미 BBB 회사채 3.33% (+0.05%p)

미 하이일드 5.45% (+0.04%p)


이머징 국채 5.38% (+0.09%p)

이머징 주식 8.09% (+0.02%p) 

한국 주식 10.22% (+0.09%p) 


한국 3년 국채 2.30% (+0.06%p)

한국 10년 국채 2.72% (+0.09%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20%p (+0.023%p)


한국 3년 IRS 금리 2.37% (+0.09%p)

한국 3년 CRS 금리 1.73%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37개 +40개)


* 글로벌 건설 (인프라 건설 수요)

- Vinci (프랑스 건설), China State Construction (중국 건설)


52주 최저 (20개 -8개)


* 미국 결제 (언택트 부진)

- Afterpay (미국 결제), Paypal (미국 결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9.3% (+0.1%p)


- KOSPI 257.1 (-0.3) 

- KOSDAQ 15.6 (+0.0)


- 전기전자 89.3 (-0.2)

- 커뮤니케이션 10.7 (0.0)

- 자동차 13.8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0.4 (+0.7)

- 조선건설기계 6.7 (-0.2)

- 철강 10.7 (0.0)

- 금융 38.9 (+0.1)


5. 뉴스 


1) Pfizer, 2022년 매출 가이던스 980억~1,020억달러. 예상 1,064억달러

-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매출 가이던스 220억달러, 예상 240억달러


2) 중국 국부펀드, 어제 본토 주식 매수. 주식시장 급락 개입


3) BP, 에너지 전환에 2025년까지 Capex 40% 지출 

- 2030년까지 EBITDA 증대 계획

- CEO, "올해 에너지 수급 계속 타이트할 것"


4) 컬리, 1조원 가치에 상장예심 청구 관측 


5) 캐나다 퀀텀 컴퓨팅 기업 D-WAVE 스팩 합병 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