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22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7.22

 2025년 7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빅테크는 올랐으나 중소형 테마주들이 내리며 S&P가 장중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2)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대금 회전율이 2배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3) 참의원 선거 이후 엔화가 달러에 대해 1.4% 절상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0.00원 (-2.70원)

테더 1,364.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77%(+0.00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1%, 이탈리아 3.45%, 스프레드 0.84%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85% (-0.01%p)

미 10년 국채 4.37%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19%p (-0.027pp)


미 BBB 회사채 5.40% (-0.04%p)

미 하이일드 7.06% (-0.03%p)


이머징 국채 7.21% (-0.04%p)

이머징 주식 7.18% (-0.04%p) 

한국 주식 8.02% (-0.06%p) 


한국 3년 국채 2.45% (-0.02%p)

한국 10년 국채 2.85%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97%p (-0.003%p)


한국 3년 IRS 금리 2.40%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0개 -39개)


* 미 시중은행 (양호한 미국 경기)

- Citigroup (미국 은행), Bank of NY (미국 은행)


52주 최저 (12개 +2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5.8 (0.0) 

- KOSDAQ 7.7 (0.0)


- 전기전자 63.6 (+0.0)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0.0 (0.0)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1 (-0.0)

- 조선건설기계 8.2 (-0.1)

- 철강 1.5 (+0.0)

- 금융 33.5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코나아이, QR 카드 결제 지원하는 스테이블 코인 4분기 출시 


<펀드>


<정책, 지표> 


* 구윤철 기재부 장관, "주식회사 대한민국의 핵심사원 돼야"

2025년 7월 20일 일요일

macro daily_2025.07.21

 2025년 7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가 퇴직연금에 대체자산을 투자할 수 있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 월러 Fed 이사가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띄우면서 금리가 내렸습니다.


(3) 메타가 초지능에 수십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8.66원 (-1.99원)

테더 1,368.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69%(-0.01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미 재무장관, 트럼프에 Fed 의장 해임 만류 <WSJ>


* 월러 Fed 이사 (극매파 투표권있음), "이달 기준금리 25bp 인하해야"

- "보험성 인하 아무 문제 없어. 노동시장 불안"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올해 두차례 금리인하 계획 여전히 합리적"

- "너무 오래 기다려선 안돼"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4%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9%, 이탈리아 3.55%, 스프레드 0.86%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86% (-0.04%p)

미 10년 국채 4.41%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46%p (-0.001pp)


미 BBB 회사채 5.44% (-0.05%p)

미 하이일드 7.09% (-0.06%p)


이머징 국채 7.25% (-0.05%p)

이머징 주식 7.23% (-0.01%p) 

한국 주식 8.08% (+0.01%p) 


한국 3년 국채 2.47% (-0.01%p)

한국 10년 국채 2.87%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00%p (-0.025%p)


한국 3년 IRS 금리 2.43%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9개 +32개)


* 글로벌 AI 밸류체인 (AI 수요 증대)

- MicroSoft (미국 IT S/W), Nvidia (미국 반도체)


52주 최저 (10개 -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5.8 (-0.4) 

- KOSDAQ 7.7 (+0.0)


- 전기전자 63.6 (-0.0)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0.0 (0.0)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1 (-0.1)

- 조선건설기계 8.3 (-0.0)

- 철강 1.5 (0.0)

- 금융 33.5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Meta, Apple 핵심 AI 전문가 두명 영입

- CEO, "수퍼인텔리전스 구축에 수십억달러 투자"


* 가상자산 거래소 Bullish IPO 신청


<펀드>


<정책, 지표> 


* 미 상무부,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93.5% 관세 부과 예정


* 미 7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61.8. 예상 61.5, 전월 60.7

- 1년 인플레이션 기대, 4.4%. 예상 5.0%, 전월 5.0%

2025년 7월 19일 토요일

Column_관세가 스테이블 코인에 미치는 영향_2025.07.19

 - 비용 감축 인센티브 -

 

* 기술이 없던 수요를 창출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비싸고 화려한 기술은 잠시 주목을 받지만, 그걸로 끝입니다.

 

* 기술의 성공 여부는 비용을 줄여주는가에 달렸습니다. 인쇄술, 교류전기, PC 스마트폰, 한국의 바이오, AI는 모두 비용을 줄여줬기 때문에 성공했습니다.

 

* AI는 핀테크 회사들을 없앴습니다. 불과 2~3년 전 로보어드바이저로 개인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겠다는 회사들이 우후죽순 생겼습니다. 지금은 AI에 설 자리가 없습니다. 세줄요약도 사라질 위기입니다.

 

- 크립토 -

 

* 트럼프 관세의 풍선 효과는 이상하게 크립토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관세가 상승하면서 국경간 무역 비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결제 비용이라도 아껴보자는 한계 수요가 생기고 있습니다.

 

* 크립토의 본래 목적이 금융의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자는 거였는데, 이제야 제 기능을 발휘할 때가 왔습니다. 관세를 세게 맞는 나라일수록 크립토 사용에 적극적일 겁니다.

 

- 거래비용을 줄이는 방법들 -

 

* 한번씩 나타나는 고유가가 에너지 효율적인 제품들을 만들어내다가 결국 쉐일 오일을 등장시켰듯이 트럼프 관세는 국가간 거래 비용을 줄이는 방법들을 고안하게 할 겁니다.

 

* 운송비를 줄이기 위해 컨테이너선을 더 크게 만들 수도 있고, 북극항로가 더 빨리 개척되면서 부산이 흥할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는 더 싼 적하보험을 만들고 있을 겁니다.

 

* 조용히 다음 세상을 준비하는 아웃사이더들을 주시하라고 했습니다. 그들을 빨리 찾아내는 사람이 이 경기의 승자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7월 18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7.18

 2025년 7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6월 소매판매가 예상을 웃돌고 경기우려가 낮아지며 미 주식시장이 올랐습니다. 


(2) 미 하원이 스테이블 코인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ARKW +1.2%


(3) 20일 일본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일본 신용등급 강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2.10원 (-2.84원)

테더 1,362.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87%(+0.01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뉴욕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달러 기반 자산에서 벗어나는 움직임 보이지 않아"

- "억제적 통화정책 수준이 데이터 분석할 시간 벌어줘"


* 애틀랜타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단기간에 금리인하는 어려울 것" <WSJ>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4%(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7%, 이탈리아 3.53%, 스프레드 0.86%p)


일본은행 


* 일본 여야, 20일 참의원 선거 겨냥 재정확대 공약 <블룸버그>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0% (+0.01%p)

미 10년 국채 4.45%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47%p (-0.017pp)


미 BBB 회사채 5.49% (-0.00%p)

미 하이일드 7.15% (-0.00%p)


이머징 국채 7.30% (+0.06%p)

이머징 주식 7.24% (-0.00%p) 

한국 주식 8.08% (-0.01%p) 


한국 3년 국채 2.48% (+0.03%p)

한국 10년 국채 2.90%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25%p (+0.008%p)


한국 3년 IRS 금리 2.44%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7개 +52개)


* 글로벌 가상화폐 밸류체인 (가상화폐 사용 확대)

- Coinbase (미국 금융), Robinhood (미국 금융)


52주 최저 (13개 -16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6.2 (+0.1) 

- KOSDAQ 7.7 (0.0)


- 전기전자 63.6 (-0.0)

- 커뮤니케이션 7.2 (+0.1)

- 자동차 20.0 (0.0)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2 (-0.1)

- 조선건설기계 8.3 (+0.0)

- 철강 1.5 (0.0)

- 금융 33.5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TSMC, 2025년 달러 기준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 30% 제시

- 3분기 매출 가이던스 318억~330억달러. 예상 317억달러 


* Netflix, 올해 매출 가이던스 435억~445억달러 -> 448억~452억달러 상향


<펀드>


<정책, 지표> 


* 미 하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통과. 대통령에 송부


* 미 6월 소매판매, 전월비 0.6% 증가. 예상 +0.1%, 전월 -0.9%

2025년 7월 17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07.17

 2025년 7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 해임 보도를 트럼프가 부인하며 미 증시가 상승 마감했습니다.


(2) ASML의 3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기대에 못미친 가운데 CEO가 관세를 리스크로 언급했습니다.


(3) 가상화폐 밸류체인이 주목받으며 ARKW ETF가 역사적 고점을 16% 남겨뒀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4.69원 (-5.06원)

테더 1,358.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77%(-0.00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미 대통령, "Fed 의장 경질할 계획 아니다"

- 미 대통령, 하원 의원들에 Fed 의장 해임 의견 물어 <CBS>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4%(-0.06%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8%, 이탈리아 3.54%, 스프레드 0.86%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89% (-0.06%p)

미 10년 국채 4.45%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64%p (+0.029pp)


미 BBB 회사채 5.49% (-0.05%p)

미 하이일드 7.15% (-0.05%p)


이머징 국채 7.24% (-0.07%p)

이머징 주식 7.24% (-0.08%p) 

한국 주식 8.09% (+0.06%p) 


한국 3년 국채 2.45% (-0.01%p)

한국 10년 국채 2.87%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17%p (-0.003%p)


한국 3년 IRS 금리 2.42%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65개 -37개)


* 글로벌 가상화폐 밸류체인 (가상화폐 사용 확대)

- Coinbase (미국 금융), Robinhood (미국 금융)


52주 최저 (19개 +1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6.1 (-0.2) 

- KOSDAQ 7.7 (0.0)


- 전기전자 63.6 (-0.1)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0.0 (+0.0)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3 (+0.1)

- 조선건설기계 8.3 (-0.0)

- 철강 1.5 (-0.0)

- 금융 33.5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SML, 3분기 순매출 가이던스 74억~79억달러 제시. 예상 82억달러

- CEO, "고객들, 관세가 무엇인지 이해하려 노력중"


* J&J, 2025년 매출 가이던스 932억~936억달러. 예상 918억달러

- 골수종 치료제 매출 전년비 23% 증가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의약품 관세 아마 월말부터 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