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7월 21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07.21

 2022년 7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기재부와 한은이 국민연금에 적극적인 외환 헤지를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 중국 6월 스마트폰 출하가 아이폰을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블룸버그가 전했습니다.


(3) 푸틴이 유럽에 가스 공급을 재개하며 제재 중단을 요구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11%p (-0.006%p)

한국 고객예탁금, 53.4조원 -1.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6%

1개월 NDF 환율 1,312.52원 (-0.3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57%(-0.00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4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0%(0.00%p)


* 인민은행, 7월 대출 우대금리 3.70% 동결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5% 0.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6%(+0.007%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24% (0.00%p)

미 10년 국채 3.02%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11%p (-0.006pp)


미 BBB 회사채 5.09% (-0.02%p)

미 하이일드 8.38% (-0.13%p)


이머징 국채 7.80% (-0.07%p)

이머징 주식 8.89% (+0.01%p) 

한국 주식 11.14% (+0.04%p) 


한국 3년 국채 3.28% (+0.10%p)

한국 10년 국채 3.35% (+0.1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66%p (+0.006%p)


한국 3년 IRS 금리 3.34% (+0.1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0개 -1개)


52주 최저 (15개 +5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6.8 (-0.1) 

- KOSDAQ 15.4 (-0.1)


- 전기전자 85.6 (+0.0)

- 커뮤니케이션 9.0 (-0.0)

- 자동차 15.6 (0.0)

- 화장품 1.9 (0.0)


- 정유화학 26.7 (+0.2)

- 조선건설기계 4.0 (-0.1)

- 철강 11.6 (0.0)

- 금융 39.3 (0.0)


5. 뉴스 


1) 기재부-한은, 해외투자시 국민연금에 적극적인 외환 헤지 요구 <매경>


2) Tesla, 2분기 조정 EPS 2.27달러. 예상 1.83달러

- 매출 총이익률 27.9%. 예상 26.8%

- 올해 자동차 인도 증가율 50% 유지


3) 중국 6월 스마트폰 출하 9.2% 증가 

- Apple 삼성 출하 증가 vs. 중국 브랜드 매출 감소


4) 러시아 대통령, "유럽으로 가스공급 재개될 것. 제재 풀지 않으면 제한"


5) ASML, 3분기 매출 가이던스 51억~54억달러. 예상 64억달러

- CEO, "2023년은 성장의 해 될 것"

2022년 7월 20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7.20

 2022년 7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Bofa 조사결과 매니저들의 주식비중이 금융위기 때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ECB가 기준금리를 50bp 올릴 것으로 전해지며 달러가 약해졌고 나스닥이 올랐습니다. 


(3) 유럽 주요국이 유틸리티 기업 국유화에 착수한 가운데 내일부터 노드스트림1이 재가동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17%p (-0.040%p)

한국 고객예탁금, 54.8조원 +0.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35%

1개월 NDF 환율 1,306.43원 (-7.0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63%(+0.04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4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0%(-0.01%p)


* 인민은행 총재, "더 강력한 경기부양책 약속"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5% 0.0%p)


* ECB, 내일 밤 회의서 50bp 인상 논의 예정 <로이터>

- 달러유로 환율, 1.022달러로 반등 


* ECB 총재, 이번주 회의서 새로운 위기 대응책 모색키로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39%(+0.002%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24% (+0.08%p)

미 10년 국채 3.02%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17%p (-0.040pp)


미 BBB 회사채 5.11% (+0.03%p)

미 하이일드 8.52% (-0.10%p)


이머징 국채 7.87% (-0.07%p)

이머징 주식 8.88% (-0.15%p) 

한국 주식 11.10% (-0.27%p) 


한국 3년 국채 3.18% (-0.04%p)

한국 10년 국채 3.24%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60%p (0.000%p)


한국 3년 IRS 금리 3.22%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1개 +5개)


52주 최저 (10개 -9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6.9 (0.0) 

- KOSDAQ 15.5 (0.0)


- 전기전자 85.6 (-0.1)

- 커뮤니케이션 9.0 (-0.0)

- 자동차 15.6 (0.0)

- 화장품 1.9 (0.0)


- 정유화학 26.5 (+0.1)

- 조선건설기계 4.1 (0.0)

- 철강 11.6 (0.0)

- 금융 39.3 (-0.0)


5. 뉴스 


1) 글로벌 매니저들 주식 비중 사상최저 수준 하락 <Bofa 조사>

- 금융위기 때보다도 낮아


2) Netflix, 2분기 유료 구독자수 97만명 감소. 예상 -200만명

- 3분기 구독자수 가이던스 +100만명. 예상 +180만명 

- 시간외 +7%


3) 가즈프롬, 노드스트림1 가동 내일부터 재개. 수송량은 최대수준 미달


4) EU, 회원국들에 즉각적인 가스 사용 축소 촉구 <FT> 


5) 독일 정부, Uniper에 구제금융 투입 근접

- 프랑스 정부, EDF 국유화 방침. 투자자들에 12유로 지급

2022년 7월 19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07.19

 2022년 7월 1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바이든 빈 손 귀국 여파로 WTI가 5% 오르며 100달러를 상회했습니다. 


(2) 애플이 투자와 고용 축소를 언급하며 나스닥 지수가 하락 반전했습니다.


(3) 가즈프롬이 유럽 고객사 한곳에 공급중단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6%p (+0.029%p)

한국 고객예탁금, 54.4조원 -1.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9%

1개월 NDF 환율 1,318.80원 (+1.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23%(+0.01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4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 한은 총재-미 재무장관, 오늘 13시30분 면담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1%(+0.04%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5% 0.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37%(0.000%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16% (+0.04%p)

미 10년 국채 2.98%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6%p (+0.029pp)


미 BBB 회사채 5.08% (+0.05%p)

미 하이일드 8.62% (-0.03%p)


이머징 국채 7.94% (+0.07%p)

이머징 주식 9.03% (+0.03%p) 

한국 주식 11.37% (-0.12%p) 


한국 3년 국채 3.22% (+0.03%p)

한국 10년 국채 3.28% (+0.06%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60%p (+0.029%p)


한국 3년 IRS 금리 3.24%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6개 -8개)


52주 최저 (19개 -47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6.9 (+0.5) 

- KOSDAQ 15.5 (+0.1)


- 전기전자 85.7 (+0.0)

- 커뮤니케이션 9.0 (-0.0)

- 자동차 15.6 (0.0)

- 화장품 1.9 (0.0)


- 정유화학 26.4 (+0.0)

- 조선건설기계 4.1 (0.0)

- 철강 11.6 (0.0)

- 금융 39.3 (+0.0)


5. 뉴스 


1) Apple, 2023년 일부 팀의 고용과 지출 축소 계획


2) Gazprom, 유럽 고객사 한 곳에 불가항력에 의한 계약 미이행 통보


3) EU, 러시아 가스공급 중단시 GDP 최대 1.5% 감소 추정 


4) Softbank, ARM 런던 증시 IPO 작업 중단 

2022년 7월 18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7.18

 2022년 7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6월 소매판매가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가전 등 내구재가 늘었습니다.


(2) 바이든 방문 직후 사우디가 원유가격은 시장 논리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중국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가 점증하는 가운데 구리가격이 장중 7,000달러를 밑돌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05%p (-0.037%p)

한국 고객예탁금, 55.7조원 -0.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3%

1개월 NDF 환율 1,318.89원 (-7.3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07%(-0.04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40.0% (+7.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연말 기준금리 3.75~4.00%까지 올릴 듯"

- "근원 PCE, 피크아웃하지 않고 있을 것"

- "앞으로 18개월 뒤 인플레 2%로 복귀"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7%(-0.03%p)


* 인민은행, 시중은행들에 모기지 대출 보이콧 철회 회유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5% 0.0%p)


* 핀란드 중앙은행장, "다음주 25bp, 9월 50bp 인상할 듯"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37%(-0.00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12% (-0.00%p)

미 10년 국채 2.91%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05%p (-0.037pp)


미 BBB 회사채 5.03% (-0.03%p)

미 하이일드 8.65% (+0.05%p)


이머징 국채 7.87% (+0.03%p)

이머징 주식 9.00% (+0.04%p) 

한국 주식 11.49% (+0.06%p) 


한국 3년 국채 3.19% (-0.05%p)

한국 10년 국채 3.22%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31%p (+0.009%p)


한국 3년 IRS 금리 3.22%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4개 +12개)


* 글로벌 빅파마 (신약 기대)

- Merck (미국 제약), Novo Nordisk (덴마크 제약)


52주 최저 (66개 -11개)


* 중국 은행 (중국 부동산 부실 우려)

- ICBC (중국 은행), Bank of Shanghai (중국 은행)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6.4 (-0.2) 

- KOSDAQ 15.4 (-0.1)


- 전기전자 85.7 (-0.0)

- 커뮤니케이션 9.0 (-0.1)

- 자동차 15.6 (+0.0)

- 화장품 1.9 (0.0)


- 정유화학 26.4 (+0.2)

- 조선건설기계 4.1 (0.0)

- 철강 11.6 (0.0)

- 금융 39.3 (+0.1)


5. 뉴스 


1) 미 6월 소매판매, 전월비 1.0% 증가. 예상 +0.9%, 전월 -0.1%

- 자동차, 가전, 가구 증가 vs. 건자재 감소


2) 미 대통령, "OPEC, 증산 여지 있다"

- 사우디 석유장관, "석유 정책은 시장 논리에 의해 결정"


3) United Healthcare, 2022년 EPS 가이던스 21.2~21.7달러 -> 21.4~21.9달러 상향

- "보험 가입 증가 반영"


4) SK하이닉스, 2023년 Capex 25% 축소 관측 <블룸버그>

2022년 7월 16일 토요일

Column_반등의 순서_2022.016

 - 조정 불가피론 -

 

* 잘 버티던 주식이 빠지면 수고했다고 말하고 보내줍니다. 반대로 갖고 있는 주식이 안 빠지면 좋아 보이는 게 아니라 불안합니다.

 

* 종목이 고점에서 20~30% 빠져도 큰 감흥은 없습니다. 이 주식만 빠진 것도 아니고 나만 손실을 본 게 아닙니다. 요즘 투자자들의 멘탈이 이렇습니다.

 

- 절대 저평가 -

 

* 주가가 빠지긴 많이 빠졌다는 생각이 드는 게 매크로, 인플레, 금리를 보지 않아도 이 주식이 이런 대접을 받는 게 맞나 싶은 생각이 드는데, 그러면 그 주식은 그냥 싼 겁니다.  

 

* 미국 6CPI가 발표된 13일 밤 930분에 우영우나 보겠다는 타임라인을 보고 있으면 이제 사람들은 주식에 관심도 없는 것 같습니다. 9.1% 똑같네 짤까지 나올 정도면 시장이 항복해야 바닥이라는 말은 갖다 붙이기 아까울 정돕니다.

 

- 놔버린 시장 -

 

* 사람들이 주식을 놔버린 시장에서 주식을 고르는 기준은 복잡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가 지금 주식을 살 현금이 있으면 일단 성공한 투자자입니다.

 

* 주식을 추천하는 설명이 길면 자신이 없는 겁니다. 듣는 입장에서 말이 되면 살 조건은 충분합니다.

 

- 만회에 걸리는 시간 -

 

* 지금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식은 많이 오르는 주식이 아닙니다. 오르기까지 시간이 짧은 주식입니다. 기간 조정은 피할 수 없고, 급락한 종목은 앞으로 이평선을 뭉갤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닉네임 예언자는 이평선이 모여 있는 주식을 사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평선이 벌어져 있으면 그걸 좁히기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 많이 빠진 주식보다 먼저 빠진 주식이 낫고, 먼저 빠진 주식보다 오른 적이 없는 주식이 더 낫습니다. 2년 만에 듣는 종목이면 먼저 사고 공부해도 됩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