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23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06.23

 2022년 6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 Fed 의장이 경기침체 가능성을 인정했습니다.


(2) 앤트 그룹이 이달 금융업 면허를 신청할 예정입니다. 


(3) 미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2018년 말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9%p (+0.003%p)

한국 고객예탁금, 56.9조원 -0.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6%

1개월 NDF 환율 1,297.55원 (-0.5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12%(-0.09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연착륙 매우 도전적 과제. 침체 의도 않지만 가능성 있다"

- "인플레 2%로 되돌리는데 전념. 지속적인 인상 적절"

- "통화정책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억제할 수 없다"


* 시카고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7월 75bp 인상 적절. 연말엔 25bp 인상할 듯"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연말 기준금리 3% 이상 희망"


한국은행


* 한은, 금융시스템 대체로 안정. 가계부채 집 값 취약요인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4%(-0.01%p)


* Ant Group, 이르면 이달 중 금융업 면허 신청 <블룸버그>

- 검토에 수개월 소요 예상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1% +0.1%p)


*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 "급격한 물가상승으로 다음달 금리인상 합리적"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6%(+0.008%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05% (-0.14%p)

미 10년 국채 3.15% (-0.1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9%p (+0.003pp)


미 BBB 회사채 5.14% (-0.11%p)

미 하이일드 8.39% (-0.11%p)


이머징 국채 7.35% (-0.20%p)

이머징 주식 8.89% (-0.14%p) 

한국 주식 11.58% (-0.08%p) 


한국 3년 국채 3.52% (-0.14%p)

한국 10년 국채 3.67% (-0.1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55%p (+0.043%p)


한국 3년 IRS 금리 3.58% (-0.1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3개 +2개)


52주 최저 (98개 +46개)


* 글로벌 소재 (경기침체 우려)

- Southern Copper (미국 구리), Yanbu Natl Petrochemical (사우디 화학)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4.7 (0.0) 

- KOSDAQ 15.4 (0.0)


- 전기전자 93.7 (-0.1)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8 (+0.1)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9 (0.0)

- 금융 39.8 (+0.0)


5. 뉴스 


1) 중국 국가주석, 결제 및 핀테크 부문의 건전한 발전 촉진 승인 <CCTV>


2) 삼성전자, 3나노 양산 연기 보도 부인 


3) JP Morgan, 모기지 부문 인력 1,000명 감원 또는 재배치


4) 미 FDA, 전자담배 JUUL 미국 시장서 퇴출

2022년 6월 22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6.22

 2022년 6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주식시장이 과매도권에서 기술적으로 반등했습니다.


(2) 엑슨모빌 CEO가 향후 5년간 원유수급이 타이트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3) 한은 총재가 물가에 중점을 둔 정책을 예고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6%p (+0.049%p)

한국 고객예탁금, 57.2조원 +0.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9%

1개월 NDF 환율 1,291.13원 (-2.5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608%(+0.04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리치몬드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Fed, 침체 일으키지 않고 인플레 정상으로 돌릴 것"


한국은행


* 한은 총재, "물가상승 추세 바뀔 때까지 물가중심 정책 바람직"

- "6~7월, 6월 물가 상승률보다 높을 가능성 커졌다"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5%(+0.05%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0%p)


* 핀란드 중앙은행장, "ECB, 유로존 국채금리 차별화 막는데 전념"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38%(-0.002%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19% (+0.02%p)

미 10년 국채 3.28%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6%p (+0.049pp)


미 BBB 회사채 5.25% (+0.06%p)

미 하이일드 8.50% (+0.00%p)


이머징 국채 7.55% (+0.07%p)

이머징 주식 9.03% (+0.04%p) 

한국 주식 11.66% (+0.20%p) 


한국 3년 국채 3.66% (-0.00%p)

한국 10년 국채 3.77%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12%p (-0.005%p)


한국 3년 IRS 금리 3.74% (-0.06%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개 +6개)


52주 최저 (52개 -75개)


* 미 건자재 (금리상승으로 주택시황 부진)

- Martin Marietta (미국 건자재), Vulcan Material (미국 건자재)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4.7 (-1.0) 

- KOSDAQ 15.4 (-0.1)


- 전기전자 93.8 (-0.4)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7 (+0.0)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9 (+0.1)

- 금융 39.8 (+0.0)


5. 뉴스 


1) 퀀트 헤지펀드 Two-Sigma, 중국 사업 확장 중 <블룸버그>


2) Exxon Mobil CEO, "향후 5년간 글로벌 원유수급 빠듯할 것"


3) Tencent, 일본에 세번째 데이터센터 개설 <니혼게이자이>


4) Tesla CEO, "언젠가 미 경기침체 불가피하다"


5) Toyota, 배터리 재생기업 Redwood와 협업

2022년 6월 21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06.21

 2022년 6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래리 서머스가 실업률 5%를 유지해야 CPI가 하락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2) 미 재무장관이 프렌드쇼어링을 강조했고 캐나다가 부상할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3) 신용잔고가 작년 2월 이후 처음으로 20조원을 밑돌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7%p (0.000%p)

한국 고객예탁금, 57.1조원 +0.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5%

1개월 NDF 환율 1,291.75원 (-0.4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66%(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Fed 조치 없으면 인플레 고삐 풀릴 리스크"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0%(+0.012%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00%p) 

미 2년 국채 3.17% (0.00%p)

미 10년 국채 3.22%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7%p (0.000pp)


미 BBB 회사채 5.19% (-0.01%p)

미 하이일드 8.50% (-0.06%p)


이머징 국채 7.48% (-0.03%p)

이머징 주식 8.99% (+0.03%p) 

한국 주식 11.46% (+0.09%p) 


한국 3년 국채 3.66% (-0.09%p)

한국 10년 국채 3.78%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17%p (+0.072%p)


한국 3년 IRS 금리 3.74% (-0.06%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5개 0개)


52주 최저 (127개 -28개)


* 동남아 정유 (정제마진 축소 우려)

- PTT PCL (태국 종합석유가스), Bharat Pet (인도 정유)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5.7 (0.0) 

- KOSDAQ 15.5 (0.0)


- 전기전자 94.2 (-0.3)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7 (+0.1)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8 (0.0)

- 금융 39.8 (-0.0)


5. 뉴스 


1) 미 금융시장, 독립 기념일 휴장 


2) 래리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 "인플레 억제하려면 실업률 5% 필요"

- "2년 내 7.5%, 5년 내 6%, 1년 내 10%"  


3) 미 재무장관, "주요품목 공급, 라이벌 국가로부터 의존에서 벗어나야"

- 프렌드쇼어링 강조로 캐나다 부상 관측


4) Tencent, 연결현실 사업부문 설립 예정 <로이터>

2022년 6월 20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6.20

 2022년 6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경기우려로 원유 구리 등 원자재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2) 인민은행이 앤트그룹의 금융지주사 전환신청을 접수했습니다.


(3) 한국전력의 전기요금 인상 결정이 예정일인 21일을 넘길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7%p (-0.062%p)

한국 고객예탁금, 57.0조원 -0.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0%

1개월 NDF 환율 1,290.87원 (+3.2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66%(+0.00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8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인플레 2%로 되돌리는데 초점 맞췄다"


* 월러 Fed 이사 (매파 투표권있음), "75bp 인상은 물가안정에 올인했다는 의미"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Fed와 ECB, 경기 연착륙시킬 수 있는 신뢰성 갖췄다"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7월엔 50bp 인상이 신중한 대처"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인플레 억제 과정에서 침체 위험 높아질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0%(+0.05%p)


* 인민은행, Ant Financial의 금융 지주사 신청 접수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28%(-0.03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1.58% (+0.75%p) 

미 2년 국채 3.17% (+0.07%p)

미 10년 국채 3.22%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7%p (-0.062pp)


미 BBB 회사채 5.20% (+0.07%p)

미 하이일드 8.56% (+0.38%p)


이머징 국채 7.51% (+0.13%p)

이머징 주식 8.96% (+0.10%p) 

한국 주식 11.37% (-0.02%p) 


한국 3년 국채 3.75% (+0.03%p)

한국 10년 국채 3.79%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45%p (-0.002%p)


한국 3년 IRS 금리 3.80%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5개 +1개)


52주 최저 (155개 -160개)


* 미국 철도 (운임 가격 하락 우려)

- CSX (미국 철도운송), Norfolk Southern (미국 철동운송)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5.7 (-0.3) 

- KOSDAQ 15.5 (-0.1)


- 전기전자 94.5 (-0.1)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6 (+0.0)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8 (0.0)

- 금융 39.8 (0.0)


5. 뉴스 


1) 한전 전기요금 결정 21일 넘길 가능성 제기. 한전 3원 인상 제시 


2) 미 재무장관, "올해 남은 기간 높은 인플레 지속. 경기둔화 예상"

- "경기침체가 불가피하다고는 생각지 않아"


3) Merck, 항암제 바이오테크 기업 Seagen 인수 가능성 <WSJ> 


4) CNPC-Sinopec, 카타르 LNG 프로젝트 투자 논의 <블룸버그>


5) 프랑스 총선, 여당 다수당 유지. 과반 확보는 실패

2022년 6월 18일 토요일

Column_팀보다 위대한 선수_2022.06.18

 - 굴레를 벗어나 -

 

* 양키 스포츠 매니아 트레이더 K는 컨트래리안을 좋아하고 스포츠에 있어서만큼은 낭만주의자입니다. 팀이나 전술을 뛰어넘는 선수가 있다고 믿는 그는 톰 브래디보다 오델 베컴 주니어를 위로 칩니다.

 

* 남들이 살고 싶어 하는 곳에 살며 남들이 부러워하는 직장에 다니는 또 다른 K는 작년에 번 돈을 올해 대부분 까먹었습니다. 하지만 매일 밤 베팅을 멈추지 않습니다. 10년 전 태경선생에게 평범하게 살다 죽을 운명으로 분류됐지만 운명을 거부하는 중입니다.

 

- 운명론적 비관주의 -

 

* 주가가 지겹게 빠지다 보니 운명론적 비관론이 주류입니다. 유가와 금리 상승이 메가 트렌드라는 말까지 들었는데, 주가 하락은 당연하다는 냉소가 담겨있습니다. 하지만 알고 당하는 인간은 없습니다.

 

* 요즘 시장의 가장 큰 걱정은 8월부터 유럽이 러시아에서 에너지를 수입하지 않고 그러면 다른 곳에서 에너지를 사와야 하니 가격이 걷잡을 수 없게 된다는 것입니다.

 

- 예고된 악재 -

 

* 이렇게 악재가 예고되고 운명의 날이 정해지면 인간은 운명에 순응하지 않습니다. 죽지 않으려고 먼저 움직입니다.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관세를 5월부터 올린다고 했을 때 미국의 대중국 수입은 3, 4월에 급증했습니다. 5월부터는 가격이 빠졌습니다.

 

* 8월부터 에너지 수입을 못할 것 같으니까 수입은 미리 늘었습니다. 올해 유럽의 LNG 수입은 작년보다 많고, 재고를 쌓는 시점은 앞당겨졌습니다. 그래서 지난 일주일 간 가장 많이 빠진 업종은 에너지였습니다.

 

* 시장 여건이 어렵고 전략, 전술도 잘 먹히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패배주의에 빠져선 안됩니다. 이럴 땐 팀보다 위대한 선수를 찾아봐야 합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