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8월 17일 화요일

macro daily_2021.08.17

 2021년 8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중국 총리가 고용지원을 위해 재정 통화정책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Fed 관계자들이 고용이 호조를 이어가면 9월에도 테이퍼링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3) 중국 규제를 피해 인도 교육업체들로 투자 자금이 몰리고 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63%, -0.01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4.2조원 +7.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7%

1개월 NDF 환율 1,166.47원 (-2.4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298%(-0.00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7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1명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테이퍼링, 강한 고용 보고서가 선결조건"


* 보스턴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견조한 고용 추가로 확인되면 9월 테이퍼링 지지"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0%(0.00%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2.0%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7%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10% (0.00%p) 

미 2년 국채 0.20% (+0.00%p)

미 10년 국채 1.26%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059%p (-0.010%pp)


미 BBB 회사채 2.34% (-0.01%p)

미 하이일드 4.02% (+0.00%p)


이머징 국채 4.48% (+0.04%p)

이머징 주식 7.45% (+0.06%p) 

한국 주식 9.41% (+0.15%p) 


한국 3년 국채 1.40% (-0.00%p)

한국 10년 국채 1.92%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518%p (0.000%p)


한국 3년 IRS 금리 1.40% (0.00%p)

한국 3년 CRS 금리 0.61%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13개 -25개)

 

* 미국 산업재 (인프라 투자 기대)

- OTIS (미국 산업용기계), Xylem (미국 산업용기계) 


52주 최저, (27개 +9개)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32.0 (-0.0) 

- KOSDAQ 11.9 (-0.1)


- 전기전자 80.5 (-0.0)

- 커뮤니케이션 8.5 (-0.1)

- 자동차 12.7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2.2 (+0.0)

- 조선건설기계 3.8 (0.0)

- 철강 10.5 (0.0)

- 금융 33.5 (+0.1)


5. 뉴스 


1) 중국 총리, "고용지원 위해 재정 통화 정책 강화" <CCTV>

- 중국 7월 산업생산, 전년비 6.4% 증가. 전월 +8.3%

- 중국 7월 소매판매, +8.5%. 전월 12.1%  

- COVID-19 재확산, 홍수 영향 


2) 외국인 투자자들, 인도 교육업체 투자 봇물. 중국규제 반사수혜 <로이터>  


3) 마이클 버리, ARK 이노베이션 ETF 3,100억달러 숏포지션 구축


4) Aramco, 250억달러 규모 Reliance 정유사업 지분 취득 근접 <블룸버그> 


5) 중국 인민방송, "게임, 젊은이들에게 잘못된 역사인식 심어줄 수 있어" 비판

- Tencent -3.49%

2021년 8월 14일 토요일

Column_비전펀드가 가리키는 방향_2021.08.14

- 손정의 -

 

* 중국 MBA 만학도 친구로부터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의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4년 전 손정의 회장은 친구인 궈 타이밍 팍스콘 회장과 함께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가의 2세들을 일본으로 불러 대담을 한 적이 있습니다.

 

* 대단한 얘길 한 건 아니었지만 손정의 회장이 중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소프트뱅크의 중국 스타트업 투자는 회사가 생기기도 전부터 시작되고 있었습니다.

 

- 중국은 줄인다 -

 

* 그러던 손정의 회장은 이번 주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중국에 대해 달라진 태도를 보였습니다. 중국 투자에 대해 지켜보자는 입장이고, 여전히 중국에 큰 기대를 걸고 있지만 정책의 불확실성이 걷히려면 2~3년도 걸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비전펀드에 중국 스타트업 기업들 비중이 23%인데, 회계연이 시작되는 올해 4월부터는 중국 투자가 전체의 11%로 떨어졌다는 사실도 공개했습니다. 위대한 세쿼이아 캐피탈도 2018년에 중국 교육 기업 두 곳에 5조원을 투자해 물렸습니다.  

 

- 빅테크는 엑싯 -

 

* 비전펀드 CFO는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 빅테크 투자 금액이 200억달러에서 136억달러로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더 이상 상장 기업엔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 빅테크 중 아마존을 제외하면 근래 FANG 기업들은 투자를 줄이고 주주환원을 늘리는 추세입니다. 그래서 이게 성장주인지, 가치주인지 분간이 되지 않습니다. 구글의 현금흐름은 점점 P&G와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 그래도 AI에 장기투자

 

* 비전펀드는 초심으로 돌아가 초기 비상장 투자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 펀드에서 비상장 AI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10%에 달한다는 사실도 공개했습니다.

 

* 손정의 회장은 게임기 스페이스 인베이더유통으로 사업을 시작해서 1996년 야후 재팬을 설립했을 때에는 일본에서 온 마지막 거품남으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불안한 시기에 손정의 회장의 다음 승부처는 AI로 정해진 것 같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1년 8월 13일 금요일

macro daily_2021.08.13

 2021년 8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홍하이가 구체적인 전기차 사업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2) 에어비앤비 디즈니의 실적 가이던스가 미국경제 정상화를 반영했습니다.  


(3) DB그룹이 DB하이텍을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15%, +0.007%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6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1%

1개월 NDF 환율 1,163.60원 (+2.4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317%(+0.009%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7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1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연말까지 테이퍼링 시작할 수 있다" <FT>

- "소비지출과 기업투자의 견조한 회복 모멘텀 지속"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10%(-0.04%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9%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7%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10% (0.00%p) 

미 2년 국채 0.22% (+0.01%p)

미 10년 국채 1.35%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136%p (+0.023%pp)


미 BBB 회사채 2.45% (+0.02%p)

미 하이일드 4.12% (+0.05%p)


이머징 국채 4.55% (+0.04%p)

이머징 주식 7.34% (-0.00%p) 

한국 주식 9.17% (+0.08%p) 


한국 3년 국채 1.41% (-0.00%p)

한국 10년 국채 1.92%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515%p (-0.005%p)


한국 3년 IRS 금리 1.42% (+0.01%p)

한국 3년 CRS 금리 0.65%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38개 +21개)

 

* 글로벌 은행 (통화정책 정상화 가능성 상승)

- Wells Fargo (미국 복합은행), ABN Amro Bank (네덜란드 복합은행) 


52주 최저, (18개 -4개)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32.0 (-0.3) 

- KOSDAQ 12.0 (-0.2)


- 전기전자 80.5 (-0.0)

- 커뮤니케이션 8.6 (-0.2)

- 자동차 12.7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2.2 (-0.0)

- 조선건설기계 3.8 (+0.0)

- 철강 10.5 (0.0)

- 금융 33.4 (+0.0)


5. 뉴스 


1) Hon Hai, "내년 전기차 사업, 뚜렷한 성장세"

- "2023년 미국과 태국서 전기차 대량생산 시작"

- "3분기 실적, 2분기대비 플랫"


2) 미 2분기 주택가격, 전년비 23% 급등. 사상최대폭 <NAR>


3) Disney, "올해 말까지 디즈니 파크 전직원 복직" 


4) Airbnb, "2분기 예약 2019년 2분기보다도 37% 많아"


5) DB그룹, DB하이텍 매각 계획. LX 현대차 그룹 인수 가능성 <매경>

2021년 8월 12일 목요일

macro daily_2021.08.12

 2021년 8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7월 근원 CPI 상승률이 전월대비 소폭 하락하며 국채 금리가 내렸습니다.


(2) 풍력 터빈 기업 베스타스가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률 가이던스를 낮췄습니다.


(3)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이 뉴욕증시 상장 계획을 보류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08%, +0.02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6.8조원 -4.7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9%

1개월 NDF 환율 1,155.85원 (-0.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308%(-0.03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7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1명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비정상적 완화 되돌릴 시기 왔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14%(-0.26%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9%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5%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10% (0.00%p) 

미 2년 국채 0.21% (-0.02%p)

미 10년 국채 1.33%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113%p (-0.001%pp)


미 BBB 회사채 2.43% (-0.01%p)

미 하이일드 4.07% (+0.02%p)


이머징 국채 4.51% (-0.03%p)

이머징 주식 7.34% (-0.05%p) 

한국 주식 9.09% (+0.07%p) 


한국 3년 국채 1.41% (-0.01%p)

한국 10년 국채 1.93%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520%p (+0.035%p)


한국 3년 IRS 금리 1.41% (-0.01%p)

한국 3년 CRS 금리 0.67%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17개 +36개)

 

* 글로벌 은행 (통화정책 정상화 가능성 상승)

- Wells Fargo (미국 복합은행), Societe General (프랑스 복합은행) 


52주 최저, (22개 -7개)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32.0 (0.0) 

- KOSDAQ 12.2 (0.0)


- 전기전자 80.5 (-0.0)

- 커뮤니케이션 8.8 (+0.0)

- 자동차 12.7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2.2 (+0.1)

- 조선건설기계 3.8 (0.0)

- 철강 10.5 (0.0)

- 금융 33.4 (+0.0)


5. 뉴스 


1) 미 7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5.4% 상승. 예상 +5.4%, 전월 +5.4%

- 근원 소비자물가, +4.3%. 예상 +4.3%, 전월 +4.5%


2) Vestas, 2021년 매출 가이던스 160억~170억유로 -> 155억~165억유로 하향

- 영업 이익률 가이던스, 6~8% -> 5~7% 하향. 터빈 생산원가 상승   


3)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Pony.ai, SPAC 합병 통한 뉴욕증시 상장계획 보류


4) Point72, 부동산 투자 확대키로. 부동산팀 출범


5) 미 FDA, 내일 부스터 샷 허용할 듯 <NBC> 

2021년 8월 11일 수요일

macro daily_2021.08.11

 2021년 8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상원이 인프라 예산을 통과시키면서 은행 등 금융주가 올랐습니다.


(2) 4분기 PC D램 가격이 5%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로 마이크론이 5% 내렸습니다.


(3) 소프트뱅크가 최근 중국 포지션을 줄였고 AI 기업들 투자를 10% 증액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88%, +0.029%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1.5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2%

1개월 NDF 환율 1,153.99원 (+4.1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338%(+0.02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7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1명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있음), "12월 FOMC에서 테이퍼링 여부 결정할 수 있을 것"

- "올해 말이면 충분한 진전을 볼 수 있는 지점 도달"

- "고용지표를 몇 번 더 봤으면 좋겠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40%(+0.28%p)


* 인민은행, 성장 촉진 위해 지준율 또는 금리 인하 가능성 <China Daily>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2.0%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5%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10% (0.00%p) 

미 2년 국채 0.23% (+0.01%p)

미 10년 국채 1.35%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114%p (+0.011%pp)


미 BBB 회사채 2.44% (+0.03%p)

미 하이일드 4.05% (-0.05%p)


이머징 국채 4.54% (+0.03%p)

이머징 주식 7.39% (-0.01%p) 

한국 주식 9.02% (+0.02%p) 


한국 3년 국채 1.42% (-0.01%p)

한국 10년 국채 1.91%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85%p (0.000%p)


한국 3년 IRS 금리 1.42% (-0.01%p)

한국 3년 CRS 금리 0.70%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81개 +9개)

 

* 글로벌 은행 (금리인상 가능성 상승)

- Wells Fargo (미국 복합은행), Royal Bank of Canada (캐나다 복합은행) 


52주 최저, (29개 0개)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32.0 (+0.9) 

- KOSDAQ 12.2 (+0.1)


- 전기전자 80.5 (0.0)

- 커뮤니케이션 8.8 (-0.0)

- 자동차 12.7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2.1 (-0.1)

- 조선건설기계 3.8 (0.0)

- 철강 10.5 (0.0)

- 금융 33.4 (+0.1)


5. 뉴스 


1) 미 상원, 5,500억달러 인프라 투자 예산 통과


2) Softbank CEO, "최근 중국투자 비중축소. 중국정부 규제 주시하고 있다"

- "전세계 비상장 AI 기업들에 10%씩 투자 증액"


3) 조사기관 TrendForce, "4분기 PC D램가격 0~5% 하락 전망"


4) Apple, 새 iPhone에 카메라 비디오 기능 강화


5) Intel, 50억달러 회사채 발행. 가산금리 국채 + 120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