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8월 2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금요일 밤 중국이 보복관세를 발표하고 미국도 관세율을 올리면서 미중간 무역분쟁이 재고조됐습니다.
(2) 야간선물이 1.5% 내리고 외국인이 5,000계약 이상 선물을 순매도했습니다.
(3) 역외에서 위안화가 달러에 대해 7.17위안으로 1% 이상 절하됐습니다.
야간선물, 252.55 (-1.48%) 외인 계약 -5,256계약
1개월 NDF 환율 1,213.00원 (+2.3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83.4%(-12.6%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16.6%(+12.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중립 투표권있음), "경기확장 유지위해 적절하게 행동하겠다"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1990년대 보험적 금리인하가 지금 좋은 모델"
- "제조업체들, 서플라이체인 재배치 서둘러"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약해진 투자가 고용에 영향줄지 지켜볼 것"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지금 당장 행동에 나설 필요는 없다"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새 모기지 대출금리 10월 8일부터 적용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 독일 중앙은행 총재, "ECB 채권매입 여력 아직 남아있다. 어느 시점에는 금리인하 먹히지 않을 것"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3% (-0.08%p)
미 10년 국채 1.54%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2%p (+0.001%pp)
한국 3년 국채 1.16% (+0.03%p)
한국 10년 국채 1.25%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97%p (-0.008%p)
미 BBB 회사채 3.02% (-0.06%p)
미 하이일드 5.88% (+0.06%p)
이머징 국채 5.36% (-0.05%p)
이머징 주식 7.99% (+0.05%p)
한국 주식 8.02% (-0.01%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아르헨티나
- 하향 : 영국, 터키
4. 52주 최고(56개, -7개) vs. 최저(49개, +29개)
+ 52주 최고
* 글로벌 경기방어주 (미중 무역분쟁 재고조)
- Public Storage (미국 특수 REITs), Agnico Eagle Mines (캐나다 금광산)
+ 52주 최저
* 미 금융 (미 장단기금리차 축소)
- Bank of New York Mellon (미국 복합금융), TD Ameritrade Hldgs (미국 투자은행)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5 (-0.0)
- KOSDAQ 6.8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5 (+0.0)
- 정유화학 6.6 (-0.0)
- 자동차 5.8 (0.0)
- 철강 3.0 (0.0)
* 중소형주/대형주, 1.04배, -0.00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5조원 +0.04조원
- 비중, 2.10%, +0.02%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24 (+0.01%)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6%(+0.6%p)
[무역분쟁]
* 중국 상무부, 750억달러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
- 12월 15일부터 자동차에 대한 관세 25% 다시 부과
- 9월 1일부터 미국산 원유에 대해 5% 대두에 대해 추가 5% 관세 부과
* 미 대통령, 중국산 수입품 2,500억달러에 대한 관세 25%로 5%p 인상
- 3,000억달러에 대한 관세 15%로 5%p 인상
* 미 대통령, "미일 양국, 원칙적으로 무역협상 합의"
[경협]
2019년 8월 26일 월요일
2019년 8월 23일 금요일
macro daily_2019.08.23
2019년 8월 2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관계자들이 잭슨홀에서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낮추는 요지로 발언했습니다.
(2) Markit 제조업 PMI가 미국은 50 아래로 떨어지고 유로존은 47로 소폭 반등했습니다.
(3) 저금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 주택건설, 건자재 기업들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야간선물, 255.40 (-0.39%) 외인 계약 +812계약
1개월 NDF 환율 1,209.59원 (+2.3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96.0%(+4.3%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4.0%(-4.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극매파 투표권있음), "둔화의 근거 없이 추가로 완화할 준비 돼있지 않아"
- "현재 통화정책, 7월 금리인하로 중립이거나 확장적"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지금 수준에 머무르면서 어떤일 일어날지 지켜봐야"
- "극적으로 안좋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 없다"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소비 강하다. 견조한 성장세 기대"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핀테크로 금융부문 리스크 피하겠다"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61% (+0.04%p)
미 10년 국채 1.61%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1%p (-0.015%pp)
한국 3년 국채 1.13% (-0.04%p)
한국 10년 국채 1.23%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05%p (-0.008%p)
미 BBB 회사채 3.08% (-0.02%p)
미 하이일드 5.82% (-0.18%p)
이머징 국채 5.41% (-0.03%p)
이머징 주식 7.94% (-0.04%p)
한국 주식 8.03% (+0.05%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 유로존 8월 제조업 PMI, 47.0. 예상 46.2, 전월 46.5
- 프랑스 51.0, 독일 43.6
* 미 8월 제조업 PMI, 49.9. 2016년 8월 집계 이후 최저
4. 52주 최고(63개, +11개) vs. 최저(20개, -4개)
+ 52주 최고
* 미 주거용 주택 (금리하락 + 기존주택판매 호조)
- DR. Horton (미국 주택건설), Vulcan Materials (미국 건축자재)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5 (+0.1)
- KOSDAQ 6.9 (+0.0)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5 (+0.1)
- 정유화학 6.6 (-0.0)
- 자동차 5.8 (0.0)
- 철강 3.0 (-0.0)
* 중소형주/대형주, 1.04배, +0.01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1조원 +0.01조원
- 비중, 2.08%, +0.02%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23 (+0.04%)
* 미 레버리지론펀드서 지난주 8.6억달러 순유출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0%(0.0%p)
* 인도네시아, 2021년까지 법인세율 25% -> 20%로 인하 계획
* 분데스방크, "지금 당장 독일에 재정부양 불필요"
[무역분쟁]
* 중국 상무부, "미국, 새 관세부과 중단하고 중국 기업들에 직접 영향 없어야"
* 유럽 국가들, G7서 무역정책과 구글세 등에 대해 미국에 대항키로
[경협]
세줄요약
(1) Fed 관계자들이 잭슨홀에서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낮추는 요지로 발언했습니다.
(2) Markit 제조업 PMI가 미국은 50 아래로 떨어지고 유로존은 47로 소폭 반등했습니다.
(3) 저금리가 이어지는 가운데 미 주택건설, 건자재 기업들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야간선물, 255.40 (-0.39%) 외인 계약 +812계약
1개월 NDF 환율 1,209.59원 (+2.3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96.0%(+4.3%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4.0%(-4.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극매파 투표권있음), "둔화의 근거 없이 추가로 완화할 준비 돼있지 않아"
- "현재 통화정책, 7월 금리인하로 중립이거나 확장적"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지금 수준에 머무르면서 어떤일 일어날지 지켜봐야"
- "극적으로 안좋은 방향으로 흐르는 것 없다"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소비 강하다. 견조한 성장세 기대"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핀테크로 금융부문 리스크 피하겠다"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61% (+0.04%p)
미 10년 국채 1.61%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1%p (-0.015%pp)
한국 3년 국채 1.13% (-0.04%p)
한국 10년 국채 1.23%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05%p (-0.008%p)
미 BBB 회사채 3.08% (-0.02%p)
미 하이일드 5.82% (-0.18%p)
이머징 국채 5.41% (-0.03%p)
이머징 주식 7.94% (-0.04%p)
한국 주식 8.03% (+0.05%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 유로존 8월 제조업 PMI, 47.0. 예상 46.2, 전월 46.5
- 프랑스 51.0, 독일 43.6
* 미 8월 제조업 PMI, 49.9. 2016년 8월 집계 이후 최저
4. 52주 최고(63개, +11개) vs. 최저(20개, -4개)
+ 52주 최고
* 미 주거용 주택 (금리하락 + 기존주택판매 호조)
- DR. Horton (미국 주택건설), Vulcan Materials (미국 건축자재)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5 (+0.1)
- KOSDAQ 6.9 (+0.0)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5 (+0.1)
- 정유화학 6.6 (-0.0)
- 자동차 5.8 (0.0)
- 철강 3.0 (-0.0)
* 중소형주/대형주, 1.04배, +0.01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1조원 +0.01조원
- 비중, 2.08%, +0.02%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23 (+0.04%)
* 미 레버리지론펀드서 지난주 8.6억달러 순유출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0%(0.0%p)
* 인도네시아, 2021년까지 법인세율 25% -> 20%로 인하 계획
* 분데스방크, "지금 당장 독일에 재정부양 불필요"
[무역분쟁]
* 중국 상무부, "미국, 새 관세부과 중단하고 중국 기업들에 직접 영향 없어야"
* 유럽 국가들, G7서 무역정책과 구글세 등에 대해 미국에 대항키로
[경협]
라벨:
daily
2019년 8월 22일 목요일
macro daily_2019.08.22
2019년 8월 2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Target이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하면서 미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됐습니다.
(2) 뉴욕 NDF에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1,200원을 밑돌았습니다.
(3) 협상시한 10월 31일을 앞두고 노딜 브렉시트가 기정사실화되고 있습니다.
야간선물, 259.10 (+0.27%) 외인 계약 +1,004계약
1개월 NDF 환율 1,201.50원 (-0.8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91.7%(+6.3%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8.3%(-6.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OMC, 대부분 위원들 7월 인하 중간 사이클 조정 인식 <7>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7% (+0.06%p)
미 10년 국채 1.59%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16%p (-0.027%pp)
한국 3년 국채 1.17% (+0.07%p)
한국 10년 국채 1.28% (+0.0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13%p (+0.013%p)
미 BBB 회사채 3.10% (+0.05%p)
미 하이일드 6.00% (+0.03%p)
이머징 국채 5.44% (+0.09%p)
이머징 주식 7.98% (-0.02%p)
한국 주식 7.98% (-0.02%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멕시코
4. 52주 최고(52개, -7개) vs. 최저(24개, +6개)
+ 52주 최고
* 미 의료장비 (R&D가 매출 성장으로 연결)
- Dexcom (미국 의료장비), Resmed (미국 의료장비)
+ 52주 최저
* 일본 자동차 (북미시장 판매부진 여파)
- Mazda Motor (일본 자동차), Aisin Seiki (일본 자동차부품)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4 (+0.1)
- KOSDAQ 6.9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6 (+0.0)
- 자동차 5.8 (0.0)
- 철강 3.0 (-0.1)
* 중소형주/대형주, 1.03배, +0.00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0조원 0.00조원
- 비중, 2.06%, -0.03%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20 (+0.04%)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0%(-0.1%p)
* 프랑스 대통령실, "노딜 브렉시트, 가장 가능성 큰 시나리오"
- 영프 정상회담 하루 앞두고 언급. 10월 31일이 협상 시한
[미중 무역분쟁]
* 미 국무장관, "중국과 무역분쟁 내년 대선 이전까지 끝낼 것"
* IMF, "관세는 무역 불균형 조정의 옳은 수단 아냐"
[경협]
세줄요약
(1) Target이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하면서 미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됐습니다.
(2) 뉴욕 NDF에서 원/달러 환율이 장중 1,200원을 밑돌았습니다.
(3) 협상시한 10월 31일을 앞두고 노딜 브렉시트가 기정사실화되고 있습니다.
야간선물, 259.10 (+0.27%) 외인 계약 +1,004계약
1개월 NDF 환율 1,201.50원 (-0.8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91.7%(+6.3%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8.3%(-6.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OMC, 대부분 위원들 7월 인하 중간 사이클 조정 인식 <7>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7% (+0.06%p)
미 10년 국채 1.59%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16%p (-0.027%pp)
한국 3년 국채 1.17% (+0.07%p)
한국 10년 국채 1.28% (+0.0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13%p (+0.013%p)
미 BBB 회사채 3.10% (+0.05%p)
미 하이일드 6.00% (+0.03%p)
이머징 국채 5.44% (+0.09%p)
이머징 주식 7.98% (-0.02%p)
한국 주식 7.98% (-0.02%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멕시코
4. 52주 최고(52개, -7개) vs. 최저(24개, +6개)
+ 52주 최고
* 미 의료장비 (R&D가 매출 성장으로 연결)
- Dexcom (미국 의료장비), Resmed (미국 의료장비)
+ 52주 최저
* 일본 자동차 (북미시장 판매부진 여파)
- Mazda Motor (일본 자동차), Aisin Seiki (일본 자동차부품)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4 (+0.1)
- KOSDAQ 6.9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6 (+0.0)
- 자동차 5.8 (0.0)
- 철강 3.0 (-0.1)
* 중소형주/대형주, 1.03배, +0.00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0조원 0.00조원
- 비중, 2.06%, -0.03%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20 (+0.04%)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0%(-0.1%p)
* 프랑스 대통령실, "노딜 브렉시트, 가장 가능성 큰 시나리오"
- 영프 정상회담 하루 앞두고 언급. 10월 31일이 협상 시한
[미중 무역분쟁]
* 미 국무장관, "중국과 무역분쟁 내년 대선 이전까지 끝낼 것"
* IMF, "관세는 무역 불균형 조정의 옳은 수단 아냐"
[경협]
라벨:
daily
2019년 8월 21일 수요일
macro daily_2019.08.21
2019년 8월 2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의회가 볼커룰 간소화 개정안을 승인했습니다. 내년 1월1일부터 발효됩니다.
(2) 미 행정부가 관세 증분만큼 소득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WSJ가 보도했습니다.
(3) 유럽 건설주들이 인프라 투자 수혜로 52주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야간선물, 257.40 (-0.23%) 외인 계약 -2,182계약
1개월 NDF 환율 1,206.50원 (-1.5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85.4%(+2.1%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14.6%(-2.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 없음), "미국 경제, 침체되고 있다고 생각치 않는다"
- "고용시장 견조하고 소비지출 양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8월 대출우대금리 4.25% 발표
- "지준율 추가 인하 여지 있지만 많진 않아"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1% (-0.04%p)
미 10년 국채 1.55%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3%p (-0.012%pp)
한국 3년 국채 1.10% (+0.01%p)
한국 10년 국채 1.20%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00%p (+0.012%p)
미 BBB 회사채 3.05% (-0.06%p)
미 하이일드 5.97% (-0.22%p)
이머징 국채 5.35% (-0.06%p)
이머징 주식 8.00% (-0.08%p)
한국 주식 8.00% (-0.10%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아르헨티나
4. 52주 최고(59개, -16개) vs. 최저(18개, +6개)
+ 52주 최고
* 유럽 건설 (유럽 인프라 건설 호조)
- Vinci (프랑스 건설), Ferrovial (스페인 건설)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3 (-0.1)
- KOSDAQ 6.8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6 (-0.1)
- 자동차 5.8 (0.0)
- 철강 3.1 (0.0)
* 중소형주/대형주, 1.03배, +0.01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0조원 +0.01조원
- 비중, 2.09%, -0.04%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16 (-0.02%)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1%(-0.6%p)
* 미 의회, 볼커룰 간소화 개정안 통과. 2018년 5월 발의 이후 1년 3개월만
- 2020년 1월 1일 발효
* 미 정부, 관세수입 증분만큼 소득세 인하하는 방안 검토중
- 미 대통령, "다양한 감세안 검토중. 임박하진 않아"
[미중 무역분쟁]
* 미 대통령, "중국과 무역 합의할 준비 돼있지 않다"
- "중국 정부는 합의 원하고 곧 무슨일 일어날 것"
[경협]
세줄요약
(1) 미 의회가 볼커룰 간소화 개정안을 승인했습니다. 내년 1월1일부터 발효됩니다.
(2) 미 행정부가 관세 증분만큼 소득세를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WSJ가 보도했습니다.
(3) 유럽 건설주들이 인프라 투자 수혜로 52주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야간선물, 257.40 (-0.23%) 외인 계약 -2,182계약
1개월 NDF 환율 1,206.50원 (-1.5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85.4%(+2.1%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14.6%(-2.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 없음), "미국 경제, 침체되고 있다고 생각치 않는다"
- "고용시장 견조하고 소비지출 양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8월 대출우대금리 4.25% 발표
- "지준율 추가 인하 여지 있지만 많진 않아"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1% (-0.04%p)
미 10년 국채 1.55%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3%p (-0.012%pp)
한국 3년 국채 1.10% (+0.01%p)
한국 10년 국채 1.20%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00%p (+0.012%p)
미 BBB 회사채 3.05% (-0.06%p)
미 하이일드 5.97% (-0.22%p)
이머징 국채 5.35% (-0.06%p)
이머징 주식 8.00% (-0.08%p)
한국 주식 8.00% (-0.10%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7% (-0.00%p)
- 상향 :
- 하향 : 아르헨티나
4. 52주 최고(59개, -16개) vs. 최저(18개, +6개)
+ 52주 최고
* 유럽 건설 (유럽 인프라 건설 호조)
- Vinci (프랑스 건설), Ferrovial (스페인 건설)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3 (-0.1)
- KOSDAQ 6.8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6 (-0.1)
- 자동차 5.8 (0.0)
- 철강 3.1 (0.0)
* 중소형주/대형주, 1.03배, +0.01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40조원 +0.01조원
- 비중, 2.09%, -0.04%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16 (-0.02%)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1%(-0.6%p)
* 미 의회, 볼커룰 간소화 개정안 통과. 2018년 5월 발의 이후 1년 3개월만
- 2020년 1월 1일 발효
* 미 정부, 관세수입 증분만큼 소득세 인하하는 방안 검토중
- 미 대통령, "다양한 감세안 검토중. 임박하진 않아"
[미중 무역분쟁]
* 미 대통령, "중국과 무역 합의할 준비 돼있지 않다"
- "중국 정부는 합의 원하고 곧 무슨일 일어날 것"
[경협]
라벨:
daily
2019년 8월 20일 화요일
macro daily_2019.08.20
2019년 8월 2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주식시장이 주말을 지나 안정되면서 FOMC의 9월 50bp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2) 분데스방크가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독일 경제가 역성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3)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가 5.5bp로 다시 축소됐습니다.
야간선물, 255.55 (-0.08%) 외인 계약 -1,537계약
1개월 NDF 환율 1,211.51원 (+0.4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83.3%(+16.0%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16.7%(-16.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보스턴연은 총재(매파 투표권 있음), "불필요할 때 사용하는 확장정책은 비용 치를 것"
- "하반기 미국 성장률 2%에 가까울 것. 현 통화정책 충분히 확장적"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 독일 중앙은행, "독일 경제, 3분기에 다시 수축될 수도"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5% (+0.07%p)
미 10년 국채 1.60%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55%p (-0.022%pp)
한국 3년 국채 1.09% (+0.00%p)
한국 10년 국채 1.18%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88%p (+0.010%p)
미 BBB 회사채 3.11% (+0.05%p)
미 하이일드 6.19% (+0.05%p)
이머징 국채 5.41% (+0.05%p)
이머징 주식 8.08% (-0.00%p)
한국 주식 8.10% (-0.06%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8% (-0.01%p)
- 상향 :
- 하향 : 브라질, 인도, 한국, 멕시코
* 유로존 7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1.0%. 2016년 11월 이후 최저
4. 52주 최고(75개, +29개) vs. 최저(12개, -41개)
+ 52주 최고
* 미국 의료장비 (R&D 생산성 향상에 따른 매출 증가)
- Medtronic (아일랜드 의료장비), Edwards Lifesciences (미국 의료장비)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4 (-0.3)
- KOSDAQ 6.9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7 (-0.1)
- 자동차 5.8 (0.0)
- 철강 3.1 (-0.0)
* 중소형주/대형주, 1.02배, +0.00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39조원 +0.03조원
- 비중, 2.13%, +0.00%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18 (+0.01%)
[정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7%(0.0%p)
* 인도네시아, 2020년 경제성장률 5.3% 재정적자 GDP의 1.8% 목표
[미중 무역분쟁]
* 화웨이, "미국 제재, 정치적 이유 때문. 자유시장 질서 위배"
[경협]
세줄요약
(1) 미 주식시장이 주말을 지나 안정되면서 FOMC의 9월 50bp 금리인하 가능성이 낮아졌습니다.
(2) 분데스방크가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독일 경제가 역성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3)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가 5.5bp로 다시 축소됐습니다.
야간선물, 255.55 (-0.08%) 외인 계약 -1,537계약
1개월 NDF 환율 1,211.51원 (+0.4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추가 보험적 금리인하 가능성
- 2019년 9월 동결 확률 0.0%(0.0%p)
- 2019년 9월 25bp 인하 확률 83.3%(+16.0%p)
- 2019년 9월 50bp 인하 확률 16.7%(-16.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보스턴연은 총재(매파 투표권 있음), "불필요할 때 사용하는 확장정책은 비용 치를 것"
- "하반기 미국 성장률 2%에 가까울 것. 현 통화정책 충분히 확장적"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ECB : 필요하면 현 수준 또는 더 낮은 수준으로 금리 결정
* 독일 중앙은행, "독일 경제, 3분기에 다시 수축될 수도"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25% (0.00%p)
미 2년 국채 1.55% (+0.07%p)
미 10년 국채 1.60%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55%p (-0.022%pp)
한국 3년 국채 1.09% (+0.00%p)
한국 10년 국채 1.18%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88%p (+0.010%p)
미 BBB 회사채 3.11% (+0.05%p)
미 하이일드 6.19% (+0.05%p)
이머징 국채 5.41% (+0.05%p)
이머징 주식 8.08% (-0.00%p)
한국 주식 8.10% (-0.06%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78% (-0.01%p)
- 상향 :
- 하향 : 브라질, 인도, 한국, 멕시코
* 유로존 7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1.0%. 2016년 11월 이후 최저
4. 52주 최고(75개, +29개) vs. 최저(12개, -41개)
+ 52주 최고
* 미국 의료장비 (R&D 생산성 향상에 따른 매출 증가)
- Medtronic (아일랜드 의료장비), Edwards Lifesciences (미국 의료장비)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96.4 (-0.3)
- KOSDAQ 6.9 (+0.1)
- 전기전자 27.5 (+0.0)
- 커뮤니케이션 4.8 (-0.0)
- 금융 17.4 (+0.0)
- 정유화학 6.7 (-0.1)
- 자동차 5.8 (0.0)
- 철강 3.1 (-0.0)
* 중소형주/대형주, 1.02배, +0.00배 (2010년 12월30일 0.85배)
* 코스닥 신용금액, 4.39조원 +0.03조원
- 비중, 2.13%, +0.00%p (저점 1.5%~2.0% 고점)
6.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18 (+0.01%)
[정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3.7%(0.0%p)
* 인도네시아, 2020년 경제성장률 5.3% 재정적자 GDP의 1.8% 목표
[미중 무역분쟁]
* 화웨이, "미국 제재, 정치적 이유 때문. 자유시장 질서 위배"
[경협]
라벨:
daily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