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ario
1. 글로벌 유동성, 인플레이션 기대 2% 상회하면 조심 2.5% 상회하면 경계!
2. KOSPI 순익 컨센서스 하향시 하락 위험. 아직은 상향 추세
Scenario
1. 글로벌 유동성, 인플레이션 기대 2% 상회하면 조심 2.5% 상회하면 경계!
2. KOSPI 순익 컨센서스 하향시 하락 위험. 아직은 상향 추세
- 광기 어린 시장 -
* 그 똑똑한 존 메이너드 케인즈도 1920년경 외환 투기를 하다 거덜난 적이 있습니다. “개털되는데 걸린
시간보다 시장은 더 오래 비이성적일 수 있다”고 말했는데, 시장을
우습게 본 대가는 100년 전에도 컸습니다.
* 지금 한국 주식시장에서 연구할 건 군중들의 광기 밖에 없습니다. 프랑스의 의사 귀스타브 르봉은 케인즈가 고통받기 50년 전인 1870년에 군중에 대해 깊은 연구를 했습니다.
- 군중의 사상 –
* 르봉에 따르면 군중은 유전되고 학습되는 사고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19세기 사회주의가 유행일 때 열린 세계 노동자 대회에서 영국 노동자는 자유를, 프랑스 노동자는 평등을 주장했고 남미 노동자들은 민족주의를 부르짖었습니다.
* 2021년 한국 주식시장에 모인 개미들의 뇌리에는 날씨가 흐려지면
논으로 뛰어가던 기억, 1년 만에 500km 고속도로를 깔던
기억,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에 정석을 풀던 기억이 새겨져
있습니다. 잠깐 방심하면 뒤쳐졌던 경험이 사람들을 주식시장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 군중의 추론능력과 상상력 –
* 군중은 정교하게 사고하지 않습니다. 논법은 없고 유추만 있습니다. 유추의 방법도 일반화 수준에 머무릅니다. 교수에서 퇴임하신 한 친척은 얼마 전에 무슨 클럽에 가입하셨다는데, 연구는
이제 그만하고 싶으셨던 것 같습니다.
* 군중은 논리적인 이론에 설득되지 않습니다. 감정적 이미지에 선동 당할 뿐입니다. 경이로운 전설이 그들을 움직입니다. 신경제, 창업가, FIRE, 이런
말들은 10년 전에도 있었고 20년 전에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군중은 이번에도 이번에는 다르다는 말을 믿을 것입니다.
- 군중심리의 이해 -
* 군중의 상상력에 영향을 미치는 건 사건 자체가 아닙니다. 사건의 분류입니다. 이번 강세장이 소수의 벼락부자들을 갈라냈다면
군중은 이렇게 흥분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다수의 벼락거지들을 갈라냈기 때문에 공포심에 사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 군중은 처음에 공감하고, 그러다
숭배하고, 한순간에 증오합니다. 지금 그들에게 주식시장은
노아의 방주이지만 너무 많이 타면 배는 가라앉을 것이고 눈치 빠른 자들이 먼저 뛰어내리면 나중엔 배를 욕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1년 1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MSCI가 중국 3대 통신사들을 편출키로 결정했습니다. 이머징지수 비중은 약 0.51%입니다.
(2)
Fed 관계자들이 유력한 테이퍼링 시기로 올해
말을 예측했습니다. 올 중순쯤 윤곽이 나올 전망입니다.
(3)
마이크론이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시간외서 1% 올랐습니다.
시나리오
글로벌 유동성, 증가 = 축소
-
미 5년 breakeve rate 2.110%, +0.045%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
O/N Repo Rate 0.10%, -0.01%p (급등시 시중자금 부족)
이익 컨센서스, 상향 > 하향
-
KOSPI 21년 컨센서스 130.7조원 (+0.6조원)
밸류에이션, 상승 > 하락
-
KOSPI 2021년 PER 15.4배 (+0.3배)
스타일, 성장 > 가치
-
MSCI World 성장주 / 가치주, 161.5 (-4.7p)
사이즈, 대형 > 중소형
-
Russell2000 / Russell1000, 102.4 (-0.1p)
-
Renaissance IPO 지수, 66.3 (+4.82%)
-
한국 중소형주 / 대형주 1.08배 (-0.01배)
-
한국 고객예탁금, 68.0조원 -1.4조원
-
한국 코스닥 신용금액, 9.99조원 +0.07조원,
성장 테마
-
전기차,
Tesla 811.6달러 (+7.36%)
-
친환경, EU
탄소배출권 t당 34.8유로 (+3.39%)
-
FANG, 6,305.4 (+2.68%)
iShare
MSCI Korea 조정 등락률 +0.35%
1개월 NDF 환율 1,094.45원 (+7.4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77%(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3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2명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2021년 말께 테이퍼링 할 수도. 너무 이르면 시장 혼란”
-
“인플레이션 통제 벗어난 조짐 없어. 1분기 마이너스 성장 예상”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백신으로 올해 상반기 중 글로벌 펜데믹
완화될 것”
-
“테이퍼링 시기 짚는 건 지금 너무 일러”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없음), “올해 말~내년
초 테이퍼링 할 수 있을 것”
-
“6월에 테이퍼링 시기 보다 명확해질 것”
한국은행
*
조윤제 금통위원, “올 2분기 GDP, 코로나
이전 수준 회복” <연합>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5%(-0.15%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0.9%
*
독일 ECB 위원, “ECB, 비상수단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 확인해야”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39%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9% (0.00%p)
미 2년 국채 0.14% (+0.00%p)
미 10년 국채 1.07%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34%p (+0.035%pp)
미 BBB 회사채 2.20% (+0.04%p)
미 하이일드 4.18% (-0.08%p)
이머징 국채 4.28% (+0.01%p)
이머징 주식 6.31% (+0.01%p)
한국 주식 6.98% (+0.08%p)
한국 3년 국채 0.97% (+0.01%p)
한국 10년 국채 1.72%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750%p (-0.022%p)
한국 3년 IRS 금리 0.93% (+0.00%p)
한국 3년 CRS 금리 0.22% (-0.03%p)
3.
Macro
G20
2021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4.48% (0.00%p)
4.
52주 최고(225개, +114개) vs. 최저(4개, -1개)
+
52주 최고
*
글로벌 경기민감주 (미국 재정정책에 따른 경기부양 기대)
-
SABIC (사우디 화학), Yaskawa Electric (일본 기계)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21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0.7 (+0.7)
-
KOSDAQ 9.7 (+0.1)
-
전기전자 49.5
(-0.1)
-
커뮤니케이션
7.8 (-0.0)
-
자동차 8.5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7.5
(+0.0)
-
조선건설기계
4.2 (-0.0)
-
철강 2.7
(+0.0)
-
금융 20.3
(+0.0)
6.
뉴스
1)
MSCI, 중국 3대 통신사 지수에서 편출키로
-
MSCI 이머징 비중 China Mobile 0.4%, China Telecom 0.04%, China Unicom 0,04%
-
한국 통신주 비중 SKT 0,37%, LG U 0.03%
2)
Micron, 회계연 2분기 매출 가이던스 56억~60억달러. 예상 54.8억달러
-
시간외 +1.1%
3)
태양광 발전,
2022년까지 300GW 추가 전망 <BNEF>
4)
미 법무부,
Boeing과 737MAX 사고 관련 25억달러
벌금 합의
5)
Robinhood, IPO시 고객들에게 주식
매출키로
2021년 1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민주당의 블루웨이브 완성으로 미 10년 금리가 1%를 돌파하고 breakeven
rate이 급등했습니다.
(2)
빅테크에서 친환경과 금융으로, 대형주에서 중소형주로 로테이션이 진행됐습니다.
(3)
미 하이일드 금리가 이머징 국채 금리를 2018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밑돌았습니다.
시나리오
글로벌 유동성, 증가 = 축소
-
미 5년 breakeve rate 2.063%, +0.041%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
O/N Repo Rate 0.11%, +0.01%p (급등시 시중자금 부족)
이익 컨센서스, 상향 > 하향
-
KOSPI 21년 컨센서스 130.1조원 (+0.1조원)
밸류에이션, 상승 > 하락
-
KOSPI 2021년 PER 15.1배 (-0.2배)
스타일, 성장 > 가치
-
MSCI World 성장주 / 가치주, 166.2 (+0.2p)
사이즈, 대형 > 중소형
-
Russell2000 / Russell1000, 103.1 (-2.7p)
-
Renaissance IPO 지수, 63.4 (-2.41%)
-
한국 중소형주 / 대형주 1.09배 (-0.01배)
-
한국 고객예탁금, 69.4조원 +1.2조원
-
한국 코스닥 신용금액, 9.92조원 +0.11조원,
성장 테마
-
전기차,
Tesla 759.3달러 (+3.29%)
-
친환경, EU
탄소배출권 t당 33.6유로 (+2.06%)
-
FANG, 6,180.9 (-2.12%)
iShare
MSCI Korea 조정 등락률 +0.87%
1개월 NDF 환율 1,087.73원 (+2.0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77%(+0.01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3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00%(+0.18%p)
*
인민은행, 녹색
금융 프레임워크 개선 방침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0.9%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1%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9% (0.00%p)
미 2년 국채 0.14% (+0.02%p)
미 10년 국채 1.03% (+0.08%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93%p (+0.059%pp)
미 BBB 회사채 2.16% (+0.09%p)
미 하이일드 4.26% (+0.09%p)
이머징 국채 4.27% (+0.08%p)
이머징 주식 6.30% (-0.07%p)
한국 주식 6.90% (-0.08%p)
한국 3년 국채 0.96% (+0.02%p)
한국 10년 국채 1.73%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772%p (+0.014%p)
한국 3년 IRS 금리 0.93% (+0.01%p)
한국 3년 CRS 금리 0.25% (+0.02%p)
3.
Macro
G20
2021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4.49% (+0.01%p)
4.
52주 최고(111개, -9개) vs. 최저(5개, -2개)
+
52주 최고
*
글로벌 친환경
(블루웨이브로 친환경 정책 탄력 기대)
-
Vestas Wind (덴마크 중장비), Siemens Gamesa (스페인 중장비)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21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0.0 (+0.0)
-
KOSDAQ 9.6 (+0.1)
-
전기전자 49.4
(+0.2)
-
커뮤니케이션
7.8 (+0.0)
-
자동차 8.5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7.5
(-0.0)
-
조선건설기계
4.2 (-0.0)
-
철강 2.7
(+0.0)
-
금융 20.3
(+0.0)
6.
뉴스
1)
미 민주당, 조지아
상원선거 스윕. 행정부-상하원 장악
2)
NYSE, 중국 3대 통신사 상장폐지 작업 진행키로
-
Tencent, Alibaba도 상장폐지 대상으로
고려 <DJ>
3)
트럼프 지지자들, 바이든 승리 확정 위한 상하원 합동회의 난입
4)
엘론 머스크 Tesla
창업자, 제프 베조스 Amazon 창업자 제치고
세계 1위 부호
5)
BlackRock, “전세계 갑부들, COVID-19 이후 헤지펀드 투자 희망”
-
“공격적 베팅 희망하는 투자자 늘어”
2021년 1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 인플레 기대를 보여주는 breakeven rate이 2%를 돌파했습니다.
(2)
애틀랜타연은 총재가 올해 테이퍼링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3)
국제유가가 11개월
만에 장중 5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시나리오
글로벌 유동성, 증가 = 축소
-
미 5년 breakeve rate 2.022%, +0.03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
O/N Repo Rate 0.10%, +0.03%p (급등시 시중자금 부족)
이익 컨센서스, 상향 > 하향
-
KOSPI 21년 컨센서스 130.0조원 (+0.0조원)
밸류에이션, 상승 > 하락
-
KOSPI 2021년 PER 15.3배 (+0.3배)
스타일, 성장 > 가치
-
MSCI World 성장주 / 가치주, 166.0 (+0.01p)
사이즈, 대형 > 중소형
-
Russell2000 / Russell1000, 105.5 (-1.3p)
-
Renaissance IPO 지수, 64.7 (+1.46%)
-
한국 중소형주 / 대형주 1.10배 (-0.00배)
-
한국 고객예탁금, 68.2조원 +2.6조원
-
한국 코스닥 신용금액, 9.81조원 +0.16조원,
성장 테마
-
전기차,
Tesla 735.6달러 (+0.80%)
-
친환경, EU
탄소배출권 t당 33.0유로 (-2.23%)
-
FANG, 6,311.5 (+0.81%)
iShare
MSCI Korea 조정 등락률 +1.00%
1개월 NDF 환율 1,087.60원 (+0.9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66%(-0.00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3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2명
*
애틀랜타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올해 안에 테이퍼링 시작할 수 있다” <로이터>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인플레,
2.5%까지 올라도 화내지 않겠다”
-
“정말 문제는 인플레가 내려가는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2%(-0.20%p)
*
인민은행, 자국
기업들의 해외대출 한도 확대
ECB
: 중장기 인플레 2%, 2021년 인플레 예상 0.9%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21%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9% (0.00%p)
미 2년 국채 0.11% (+0.00%p)
미 10년 국채 0.94%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26%p (+0.026%pp)
미 BBB 회사채 2.05% (+0.32%p)
미 하이일드 4.24% (+0.32%p)
이머징 국채 4.17% (+0.02%p)
이머징 주식 6.37% (-0.04%p)
한국 주식 6.98% (-0.15%p)
한국 3년 국채 0.93% (-0.02%p)
한국 10년 국채 1.69%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758%p (-0.019%p)
한국 3년 IRS 금리 0.92% (-0.02%p)
한국 3년 CRS 금리 0.23% (-0.05%p)
3.
Macro
G20
2021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4.48% (0.00%p)
4.
52주 최고(120개, +25개) vs. 최저(7개, -4개)
+
52주 최고
*
글로벌 철강
(글로벌 인플레 상승)
-
Freeport Mcmoran (미국 구리), Fortescue Metal (미국 철강)
+
52주 최저
5.
한국시장
*
2021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0.0 (+0.0)
-
KOSDAQ 9.5 (+0.0)
-
전기전자 49.2
(+0.0)
-
커뮤니케이션
7.8 (+0.1)
-
자동차 8.5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7.5
(-0.0)
-
조선건설기계
4.2 (+0.0)
-
철강 2.7
(0.0)
-
금융 20.3
(+0.0)
6.
뉴스
1)
Morgan Stanley, Micron 목표가
80달러 상향
-
7일 예정된 실적 호조 예상 + 가격 결정력 개선
2)
Pershing square capital, 2020년 수익률 70%. 2019년 58% 기록 깨
3)
JP Moragn, 비트코인 장기적으로 14.6만달러까지 상승 주장
4)
OPEC+, 산유량 동결 합의. 러시아 증산 무산
-
사우디 아라비아, 2~3월에 100만 b/d 감산
계획
-
WTI, 배럴당 50달러 돌파. 2월 이후 처음
5)
NYSE, 중국 통신주 DR 상장폐지 계획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