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1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11.11

 2025년 11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블랙록이 주택 리모델링 업체 대출 1.5억달러 중 보유지분 100%를 상각했습니다. 


(2) 미 정부 셧다운 종료가 가까워지면서 위험자산 전반이 급반등했습니다.


(3) EU도 회원국의 화웨이 장비 사용금지를 고려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4.32원 (-2.13원)

테더 1,478.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20%(+0.01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고금리 장기화 실수 피해야"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경제 견조. 1분기 반등 예상"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2%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6%, 프랑스 3.43%, 이탈리아 3.41%)


* ECB 부총재, "인플레 2%에 매우 가까워질 것"


일본은행 


* 일본 총리, "구체적인 통화정책 방법은 일본은행 몫"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0%p) 

미 2년 국채 3.59% (+0.03%p)

미 10년 국채 4.11%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5%p (-0.010pp)


미 BBB 회사채 5.18% (+0.03%p)

미 하이일드 6.91% (+0.02%p)


이머징 국채 6.55% (+0.02%p)

이머징 주식 6.41% (+0.05%p) 

한국 주식 8.96% (-0.27%p) 


한국 3년 국채 2.86% (-0.03%p)

한국 10년 국채 3.23%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68%p (+0.043%p)


한국 3년 IRS 금리 2.81%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58개 +63개)


* 글로벌 은행 (시중금리 상승)

- KB 금융 (한국 은행), Barclays (영국 은행)


52주 최저 (31개 -32개)


* 글로벌 전문서비스 (AI 피해)

- Thompson Reuters (미국 전문서비스)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2.1 (0.0) 

- KOSDAQ 10.8 (0.0)


- 전기전자 128.6 (+0.0)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6 (-0.1)

- 조선건설기계 11.6 (+0.3)

- 철강 2.4 (-0.0)

- 금융 35.9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pple, 다음 iPhone Air 출시 연기 <Information>


<펀드>


* BlackRock, 주택 리모델링 업체 레노보 홈 파트너스 대출 전액 상각


<정책, 지표> 


* 미 상원, 셧다운 종료 위한 법안 핵심절차 통과


* EU, 회원국들에 Huawei 장비 사용금지 권고 고려 

2025년 11월 10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11.10

 2025년 11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젠슨 황이 8일 블랙웰 수요가 강력하다고 밝혔습니다.


(2) 당정이 배당소득 분리과세 세율을 25%로 낮추는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경향이 보도했습니다.


(3) SOFR이 정상으로 돌아왔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반등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4.03원 (-7.42원)

테더 1,484.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08%(+0.00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뉴욕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유동성, 흘러넘치는 수준에서 충분한 수준으로"

- "RP 시장, 중요한 역할 해왔다"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통화정책, 중립과 제약적인 사이 있다"

- "크레딧 문제들은 일회성"


* 제퍼슨 Fed 부의장, "중립 수준에 서서히 다가가야"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8%(+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6%, 프랑스 3.46%, 이탈리아 3.43%)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0%p) 

미 2년 국채 3.56% (0.00%p)

미 10년 국채 4.09%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35%p (+0.010pp)


미 BBB 회사채 5.15% (+0.03%p)

미 하이일드 6.89% (+0.07%p)


이머징 국채 6.53% (+0.07%p)

이머징 주식 6.36% (-0.05%p) 

한국 주식 9.23% (+0.17%p) 


한국 3년 국채 2.89% (+0.05%p)

한국 10년 국채 3.22%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25%p (-0.043%p)


한국 3년 IRS 금리 2.83%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5개 -33개)


* 글로벌 은행 (시중금리 상승)

- KB 금융 (한국 은행), Barclays (영국 은행)


52주 최저 (63개 +11개)


* 글로벌 전문서비스 (AI 피해)

- Factset (미국 전문서비스), Gartner (미국 전문서비스)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2.1 (+0.1) 

- KOSDAQ 10.8 (-0.1)


- 전기전자 128.6 (+0.1)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7 (+0.2)

- 조선건설기계 11.3 (-0.3)

- 철강 2.4 (0.0)

- 금융 35.8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Nvidia CEO, "블랙웰 수요 강력. 삼성전자 SK하이닉스서 첨단 샘플 받아"


* Pfizer, Metsera 주당 86.25달러에 인수 

- NovoNordisk, 인수가 상향 않기로


<펀드>



<정책, 지표> 


* 당정,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 25%로 완화에 공감 <경향>


* 미 재무장관, 최소 2,000달러 관세배당 세금환급 형태로 가능


2025년 11월 8일 토요일

Column_200배 두번의 10분의 1토막_2025.11.08

  

- 무어의 법칙이 깨지다 -

 

* 사 놓기만 하고 보지 않던 젠슨 황 생각하는 기계깐부 세트가 출시된 이후에 들춰봤습니다.

 

* 엔비디아의 성공은 무어의 법칙이 깨지면서 시작됐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기업들은 이를 받아들이기보다 어떻게 해야 무어의 법칙이 유지될 수 있을지 방법을 바꿔가며 연구했습니다.

 

* 무어의 법칙보다 상위의 물리 법칙이 더 중요했지만 사람들은 익숙해진 성공 공식에 경도됐습니다.

 

- 제로 빌리언 달러 -

 

* 책을 다 읽고 남은 한 줄은 엔비디아에 초기 투자한 세쿼이아 캐피탈 마크 스티븐스의 코멘트였습니다. 그는 평범한 CEO는 고객의 말을 들으려 하겠지만 컴퓨팅 분야에선 그게 실수다. 고객들은 뭐가 가능하고 실현되는지 모른다고 했습니다.

 

* 이 말은 젠슨 황이 중시하는 제로 빌리언 달러비즈니스와도 통하는데, 당장 버는 돈은 없지만 수십억달러를 벌 수 있는 분야에 먼저 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 200배와 10분의 1토막 -

 

* 투자자로서 이 과정을 따라가는 건 힘듭니다. 엔비디아 주식은 닷컴 버블이 한창일 때 상장해서 2002년과 2008년 두 번이나 고점대비 90% 폭락했습니다. 지금 기준 수정주가로 보면 1달러짜리 주식이 0.1달러가 됐습니다. 그걸 견뎌야 2009년부터 200배를 먹을 수 있었습니다.

 

* 그 사이 엔비디아는 회계를 잘못 처리해서 상장폐지 될 뻔하기도 했고, 사모펀드로부터 남은 현금을 배당하라는 압박을 받은 적도 있습니다.

 

* 대박은 투자자와 대표가 같은 비전을 가지고, 포기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투자할 때에만 가능합니다.

 

* 어떻게 성공했는지를 보는 것보다 망할 것 같은 순간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보는 게 더 나은 기준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11월 7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11.07

 2025년 11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0월 감원이 증가했고 Fed 관계자들이 인플레 불안을 언급해 주가가 내렸습니다.


(2) ARK 등 밸류에이션이 높은 테크 기업들에 매물이 집중됐습니다. 


(3) 미 국채금리는 고용에 집중하며 하락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7%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6.00원 (-3.80원)

테더 1,497.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02%(-0.01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뉴욕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모델에 근거한 중립 금리는 1%"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높아진 인플레, 순수하게 순환적으로 보이지 않아"


* 시카고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인플레 지표 없는 가운데 금리인하 쉽지 않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7%(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5%, 프랑스 3.44%, 이탈리아 3.41%)


* ECB 부총재, "금리 수준에 편해. 상황은 바뀔 수 있어"


일본은행 


* 일본 주요 노조들, 내년 임금 인상률 6% 목표 <블룸버그>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1%p) 

미 2년 국채 3.56% (-0.06%p)

미 10년 국채 4.08%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6%p (-0.002pp)


미 BBB 회사채 5.12% (-0.10%p)

미 하이일드 6.82% (-0.17%p)


이머징 국채 6.46% (-0.12%p)

이머징 주식 6.41% (+0.04%p) 

한국 주식 9.03% (-0.09%p) 


한국 3년 국채 2.84% (+0.08%p)

한국 10년 국채 3.21% (+0.0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68%p (+0.005%p)


한국 3년 IRS 금리 2.79% (+0.07%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28개 +28개)


* 글로벌 은행 (시중금리 상승)

- KB 금융 (한국 은행), Barclays (영국 은행)


52주 최저 (52개 -11개)


* 글로벌 전문서비스 (AI 피해)

- Factset (미국 전문서비스), Thompson Reuters (미국 전문서비스)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0.9 (-1.3) 

- KOSDAQ 10.9 (0.0)


- 전기전자 128.5 (-0.0)

- 커뮤니케이션 8.1 (+0.1)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5 (-0.0)

- 조선건설기계 11.6 (-0.2)

- 철강 2.4 (0.0)

- 금융 35.7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펀드>


* UBS, First Brands 대출 펀드 폐쇄키로 <FT>


<정책, 지표> 


* 미 기업들 10월 15.3만명 감원. 2003년 10월 이후 최대 규모  

- AI 도입 확대 등으로

2025년 11월 6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11.06

 2025년 11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단기자금 시장이 안정됐고 ADP 민간고용, ISM 서비스업은 양호했습니다. 


(2) 마이크론이 10% 올라 사상최고를 경신했고 야간선물은 2.79% 급등했습니다.


(3) 애플이 연간 10억달러를 지불하고 알파벳의 AI 기술을 도입합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2.7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38.19원 (-3.11원)

테더 1,497.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20%(+0.01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7%(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7%, 프랑스 3.45%, 이탈리아 3.42%)


* 그리스 중앙은행장,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배제하지 않아"


일본은행 


* 일본 재무관, "엔화 펀더멘털에서 벗어나. 미일 금리차 축소 불구 약세"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1%p) 

미 2년 국채 3.63% (+0.06%p)

미 10년 국채 4.15%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8%p (+0.018pp)


미 BBB 회사채 5.22% (+0.06%p)

미 하이일드 6.99% (+0.18%p)


이머징 국채 6.58% (+0.12%p)

이머징 주식 6.37% (+0.07%p) 

한국 주식 9.12% (+0.26%p) 


한국 3년 국채 2.76% (+0.03%p)

한국 10년 국채 3.13%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63%p (+0.001%p)


한국 3년 IRS 금리 2.72%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00개 -14개)


* 미 메모리 (AI 밸류체인 보틀넥)

- Micron (미국 반도체), Seagate (미국 컴퓨터부품)


52주 최저 (63개 -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2.2 (+0.2) 

- KOSDAQ 10.9 (+0.2)


- 전기전자 128.5 (-0.1)

- 커뮤니케이션 8.0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5 (0.0)

- 조선건설기계 11.8 (+0.0)

- 철강 2.4 (0.0)

- 금융 35.7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Novo Nordisk, 올해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 8~14% -> 8~11% 하향

- 3분기 총이익률 76.1%. 예상 81.1%


* Apple, Alphabet으로부터 AI 기술 도입해 Siri에 적용

- 연 10억달러 지불키로 


<펀드>


<정책, 지표> 


* 중국 정부, 정부 지원 데이터센터에 미국산 반도체 사용 금지 <로이터>


* 10월 ISM 서비스업지수, 52.4. 예상 50.8, 전월 50.0


* 10월 ADP 민간고용자수, 4.2만명 증가. 예상 +3.0만명, 전월 -2.9만명


<데이터센터와 사모크레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