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8일 토요일

Column_제도 프리미엄_2024.02.08

  

- 나와 세계 -

 

* ‘나와 세계총균쇠를 쓴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강의노트를 엮은 책입니다. 세계의 질서를 설명하는 대가의 인사이트를 읽고 있으면 헷갈렸던 기준들이 정리됩니다.

 

* 노교수는 제도를 한 나라의 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습니다. 제도는 곧 법치와 시장인데, 좋은 제도는 시민들로 하여금 뭔가를 만들어 보고자 하는 의욕을 자극합니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한국을 제도로 흥한 나라의 대표로 꼽습니다.

 

- 법치주의 시장주의 -

 

* 법치는 부패가 없고, 재산권이 보호되고, 계약이 지켜지고, 정부가 효율적이게 합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그 나라에 투자하고 싶어집니다.

 

* 시장은 인플레가 관리되고, 국가 간에 자본이 흐르고, 교역이 공정한 상태를 말합니다. 그러면 환율은 자유롭게 움직입니다.

 

- 방향성과 변동성 -

 

* 정치인의 캐릭터는 종종 제도를 가립니다. 웃으며 제도를 망가뜨리는 정치인도 있었고, 욕먹으며 제도를 손보는 지도자도 있었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이후 사람들은 다시 그의 트윗에 피로를 느끼지만 초점을 맞춰야 하는 건 그의 정책입니다. 정부가 효율적으로 바뀌고 그 결과 인플레가 잡힐지를 봐야 하고 스콧 베센트는 그 가능성을 처음 얘기했습니다. 시장은 고민하기 시작할 겁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2월 7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2.07

 2025년 2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재무장관이 10년 국채금리의 하락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2) 컨테이너선사 머스크가 올해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교역을 낙관했습니다.


(3) 아마존의 4분기 AWS 매출이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1분기 가이던스도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7%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4.25원 (-3.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90%(+0.00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미 재무장관, "Fed 의장과 건설적 대화 나눠"


* 제퍼슨 Fed 부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금리 조정 신중해야"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관세가 인플레에 미칠 영향 경고"


* 리치몬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정책 불확실성에 더 지켜봐야"


한국은행


* 한은 총재, 이달 금리인하 관측 경계. 재정 역할 강조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5%(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37%, 이탈리아 3.44%, 스프레드 1.07%p)


일본은행 


* 타무라 BOJ 위원, "2025 회계연도 말 기준금리 1% 염두에 둬야"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20% (+0.01%p)

미 10년 국채 4.43%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31%p (-0.000pp)


미 BBB 회사채 5.51% (+0.02%p)

미 하이일드 7.18% (+0.02%p)


이머징 국채 7.33% (+0.00%p)

이머징 주식 7.19% (-0.01%p) 

한국 주식 10.16% (-0.13%p) 


한국 3년 국채 2.58% (+0.01%p)

한국 10년 국채 2.80%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5%p (-0.025%p)


한국 3년 IRS 금리 2.58%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65개 +78개)


* 글로벌 인터넷 (AI 활용 가능성)

- Meta (미국 양방향미디어), 네이버 (미국 양방향미디어)


52주 최저 (33개 +32개)


* 일본 수출주 (앤화 강세)

- Nissin Foods (일본 음식료), Shiseido (일본 화장품)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0.8 (0.0) 

- KOSDAQ 6.5 (0.0)


- 전기전자 64.9 (-0.0)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1 (+0.0)

- 조선건설기계 7.2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Maersk CEO, 2025년 EBITDA 가이던스 60억~90억달러 제시. 예상 67.1억달러

- "전세계 교역, 지속적인 성장세 보여"


* Amazon, 1분기 매출 가이던스 1,510억~1,555억달러 제시. 예상 1,586억달러


<펀드>


<정책, 지표> 


* 미 재무장관, "정부효율성부, 국채 시스템 바꾸지 않아"

- "미 대통령, 10년 국채금리 하락 원해"


* 미 1월 ISM 서비스업지수, 52.8. 예상 54.0, 전월 54.0

- 고용지수, 52.3. 전월 51.3


* 미 1월 ADP 민간고용자수, 18.3만명 증가. 예상 +15.0만명, 전월 +17.6만명

2025년 2월 5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2.05

 2025년 2월 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이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이 보복한 가운데 오늘 고시환율이 주목됩니다.


(2) 알파벳이 2025년 Capex 가이던스로 750억달러를 제시했습니다. 예상 579억달러  


(3) 미 12월 구인자수가 예상을 밑돌면서 금리가 내렸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1.25원 (+0.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89%(-0.00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관세 정책으로 금리인하 늦춰질 수 있다"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미 경제 양호. 새정부 정책 살펴볼 시간 있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9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39%, 이탈리아 3.49%, 스프레드 1.10%p)


* 프랑스 중앙은행장, "인플레 낙관 추가 금리인하 여지 있다"  


일본은행 


* 일본은행 총재, "일본, 지금 디플레 아니라 인플레 상태"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20% (-0.05%p)

미 10년 국채 4.51%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00%p (+0.012pp)


미 BBB 회사채 5.57% (-0.03%p)

미 하이일드 7.21% (+0.01%p)


이머징 국채 7.39% (-0.02%p)

이머징 주식 7.35% (+0.12%p) 

한국 주식 10.43% (-0.11%p) 


한국 3년 국채 2.58% (+0.02%p)

한국 10년 국채 2.84%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60%p (+0.001%p)


한국 3년 IRS 금리 2.58%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87개 +37개)


* 글로벌 S/W (AI 발전 소프트웨어 중심 전환 가능성)

- Alphabet (미국 양방향미디어), 네이버 (미국 양방향미디어)


52주 최저 (1개 -14개)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0.3 (+0.1) 

- KOSDAQ 6.5 (0.0)


- 전기전자 64.9 (+0.1)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1 (+0.0)

- 조선건설기계 7.2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lphabet, 2025년 Capex 가이던스 750억달러 제시. 예상 579억달러

- 4분기 매출, 816억달러. 예상 828억달러

- 4분기 클라우드 매출, 119억달러. 예상 121억달러 


* Merck, 2025년 중순까지 중국에 백신 가다실 판매 중단 

- 중국내 재고 증가로


<펀드>


<정책, 지표> 


* 미 정부, 중국에 대해 추가 관세 10% 부과


* 중국 정부, 반독점 위반혐의로 Google 조사 

- 중국,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관세 부과


* 미 12월 JOLTS 구인자수 760만명. 예상 800만명, 전월 815만명

2025년 2월 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2.04

 2025년 2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이재용 회장이 2심에서도 무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검찰은 상고를 검토중입니다.


(2) 멕시코에 대한 미국의 관세부과가 한달 미뤄지면서 주가가 저점에서 반등했습니다.


(3) 미 ISM 제조업지수가 2022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50을 상회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2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8.80원 (-3.6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92%(+0.01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애틀랜타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다음 금리인하까지 기다리길 희망"


* 보스턴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광범위한 관세, 물가에 영향 미쳐"

- "추가 정책 조정 긴급하지 않다"


한국은행


* 한은, 기준금리 25bp 인상하면 집값 0.4% 하락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9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38%, 이탈리아 3.50%, 스프레드 1.12%p)


* ECB 총재, "EU 국가들, 비트코인 준비금으로 선택하지 않을 것"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25% (+0.06%p)

미 10년 국채 4.5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80%p (-0.062pp)


미 BBB 회사채 5.59% (+0.01%p)

미 하이일드 7.19% (+0.01%p)


이머징 국채 7.41% (-0.04%p)

이머징 주식 7.23% (+0.02%p) 

한국 주식 10.65% (+0.26%p) 


한국 3년 국채 2.56% (-0.01%p)

한국 10년 국채 2.82%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59%p (-0.028%p)


한국 3년 IRS 금리 2.57%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50개 -96개)


* 미국 유통 (가격전가 능력)

- Walmart (미국 할인점), Costco (미국 할인점)


52주 최저 (15개 +14개)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0.2 (0.0) 

- KOSDAQ 6.5 (0.0)


- 전기전자 64.8 (-0.1)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1 (-0.0)

- 조선건설기계 7.2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2)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부당합병 회계부정 항소심서 1심에 이어 무죄 판결


<펀드>


<정책, 지표> 


* 중국 정부, 미 행정부와 무역협상 위한 초기제안 준비 <WSJ>


* 멕시코 정부, 미국의 관세부과 한달 연장  


* 미 대통령, 국부펀드 창설 행정명령 서명 예정 


* 미 1월 ISM 제조업지수, 50.9. 예상 50.0, 전월 49.3

- 신규주문, 55.1. 예상 52.0, 전월 52.5 

2025년 2월 3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02.01

 2025년 2월 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가 젠슨 황을 만나 추가 대중국 반도체 규제 계획을 언급했습니다.


(2) 트럼프가 멕시코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했고 비트코인이 1만달러를 하회했습니다.


(3) 미 12월 근원 PCE가 3개월 연속 2.8%를 기록하며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6.05원 (+1.7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279%(-0.00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보우만 Fed 이사 (극매파 투표권있음), "금리 조정 전 인플레 진전 보길 희망"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중립금리, 현재보다 현저히 낮아. 금리인하에 문제 없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9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46%, 이탈리아 3.55%, 스프레드 1.09%p)


일본은행 


* 일본은행 총재, "점진적 금리인상 메시지 시장에 받아들여져"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19% (-0.01%p)

미 10년 국채 4.53%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42%p (+0.029pp)


미 BBB 회사채 5.58% (+0.02%p)

미 하이일드 7.18% (-0.03%p)


이머징 국채 7.45% (+0.00%p)

이머징 주식 7.21% (-0.01%p) 

한국 주식 10.38% (+0.00%p) 


한국 3년 국채 2.57 (+0.01%p)

한국 10년 국채 2.85%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87%p (-0.014%p)


한국 3년 IRS 금리 2.59%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6개 -14개)


* 미국 은행 (규제완화 기대)

- JP Morgan (미국 은행), Wells Fargo (미국 은행)


52주 최저 (1개 -1개)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0.2 (-0.6) 

- KOSDAQ 6.5 (-0.2)


- 전기전자 64.9 (-0.0)

- 커뮤니케이션 7.2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5 (0.0)


- 정유화학 12.1 (-0.2)

- 조선건설기계 7.2 (-0.0)

- 철강 3.0 (-0.1)

- 금융 44.2 (-0.2)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미 대통령, Nvidia CEO와 회동.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 언급

- 대중국 반도체 수출 추가 규제 시사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멕시코 캐나다에 각각 25%, 중국에 10% 관세 부과

- 2월 1일부터 발효


* 한국 1월 수출, 전년비 10.3% 감소. 예상 -14.0%, 전월 +6.6$


* 미 12월 근원 PCE, 전년비 2.8% 상승. 예상 +2.8%, 전월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