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2월 6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12.06

 2022년 12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11월 ISM 서비스업지수의 예상밖 호조로 금리는 오르고 주가는 내렸습니다.


(2) 2월 FOMC서 금리인상폭 25~50bp가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국내 500대 기업들 절반 가량이 내년 투자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09%p (-0.024%p)

한국 고객예탁금, 48.1조원 -1.4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3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04.14원 (+11.4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58%(+0.00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62.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6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0명 


* FOMC, 내년 2월 금리인상폭(25bp, 50bp) 논의 가열 예상 <WSJ>


한국은행


* 한은, 3.5조원 RP 매입 실시. 단기금융시장 안정화 조치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1.88%, 이탈리아 3.75%, 스프레드 1.87%p)


* 아일랜드 중앙은행장, "내년 1분기 또는 2분기에 QT 시작 선호"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5%(+0.002%p)


* 일본은행 총재, "2023년부터 인플레 감속 예상"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3% (0.00%p) 

미 2년 국채 4.41% (+0.14%p)

미 10년 국채 3.60% (+0.1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09%p (-0.024pp)


미 BBB 회사채 5.51% (+0.12%p)

미 하이일드 8.49% (+0.12%p)


이머징 국채 7.47% (+0.11%p)

이머징 주식 8.61% (+0.03%p) 

한국 주식 9.95% (+0.22%p) 


한국 3년 국채 3.60% (-0.01%p)

한국 10년 국채 3.53%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63%p (-0.023%p)


한국 3년 IRS 금리 3.54%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5개 -51개)


* 미국 제약 (신약 개발 기대)

- BMSD (미국 제약), Incyte (미국 제약)


52주 최저 (22개 +14개)


* 사우디 화학 (실적 악화)

- SABIC (사우디 화학), Yanbu Nat'l Chem (사우디 화학)


4. 한국시장


* 2023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24.2 (0.0) 

- KOSDAQ 17.4 (0.0)


- 전기전자 47.2 (-0.5)

- 커뮤니케이션 9.4 (0.0)

- 자동차 17.7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5.1 (0.0)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8.8 (0.0)

- 금융 40.9 (0.0)


5. 뉴스 


1) 미 11월 ISM 서비스업지수, 56.5. 예상 53.5, 전월 54.4

- 구매담당자들, 고용호조 언급


2) Tesla, 상해공장 전기차 생산 축소 계획 <블룸버그>

- 기대 못 미치는 수요로 20% 감산할 듯


3) 전경련, 2023년 500대 기업 48% 투자계획 마련 못해


4) 미 유명 SPAC 두곳, 합병 철회 결정

2022년 12월 5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12.05

 2022년 12월 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VIX가 8월 28일 이후 처음으로 20을 밑돌았습니다.


(2) JP모건 등 글로벌 IB들이 성과급을 큰 폭으로 삭감했습니다.


(3) 상해시가 월요일부터 대중교통 등 일부 코로나 검사를 폐지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786%p (-0.063%p)

한국 고객예탁금, 49.6조원 +3.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97.90원 (-2.3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53%(+0.00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62.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6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0명 


* 바 Fed 부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이르면 12월에 금리인상 속도 늦출 수 있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0%(-0.05%p)


* 인민은행, 4대 국유은행들에 역외 대출 공급해 부동산 기업들 지원 지시 <로이터>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1.85%, 이탈리아 3.76%, 스프레드 1.91%p)


* ECB 총재, "인플레 목표 복귀할 것이라는 신호 시장에 전해야"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3%(0.000%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3% (0.00%p) 

미 2년 국채 4.27% (+0.04%p)

미 10년 국채 3.48%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786%p (-0.063pp)


미 BBB 회사채 5.39% (-0.04%p)

미 하이일드 8.37% (-0.14%p)


이머징 국채 7.36% (-0.06%p)

이머징 주식 8.58% (-0.02%p) 

한국 주식 9.73% (-0.20%p) 


한국 3년 국채 3.61% (-0.03%p)

한국 10년 국채 3.57% (-0.0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40%p (-0.058%p)


한국 3년 IRS 금리 3.59% (-0.07%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6개 +6개)


* 글로벌 헬스케어 (비만 치료제 등 신약 기대)

- Eli Lilly (미국 제약), Novo Nordisk (미국 제약)


52주 최저 (8개 +2개)


4. 한국시장


* 2023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24.2 (-0.4) 

- KOSDAQ 17.4 (+1.1)


- 전기전자 47.7 (-0.0)

- 커뮤니케이션 9.4 (0.0)

- 자동차 17.7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5.1 (-0.6)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8.8 (-0.0)

- 금융 40.9 (+0.0)


5. 뉴스 


1) JP Morgan 등 미 IB, 성과급 큰 폭 축소 <블룸버그>

- 인재영입 경쟁 종료


2) 미 11월 비농업 고용자수, 26.3만명 증가. 예상 +20.0만명, 전월 +28.4만명

- 시간당 임금, 전년비 +5.1%. 예상 +4.6%, 전월 +4.9%


3) 상해시, 월요일부터 대중교통 등에서 코로나 의무검사 폐지 


4) OPEC+, 산유량 동결 결정

- EU, 러시아산 원유가격 배럴당 60달러로 상한 설정

2022년 12월 3일 토요일

Column_패닉차입의 귀결_2022.12.03

  

- Panic Borrow -

 

* 눈치가 없으면 안써도 되는 돈을 쓰게 돼 있습니다. 외딴 곳에 서 있는 아파트, 차트가 서 있는 잡주, 이름도 못 외우는 코인을 사는 건 늘 공포에 질린 사람들이었습니다.

 

* 잘못 샀다는 걸 깨닫는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부동산 천재 스승님15년 전 서울 외곽의 소형 아파트 계약서에 사인했습니다. 후회는 서울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부터 밀려왔습니다.

 

* 대중들이 본 적 없는 추세가 시작됐다고 수근거리면 거기서 그 추세는 끝입니다. 이렇게 돈 구하기 어려운 적이 없었다고 한 10월 초에 금리는 고점을 찍었고, 고리에 빌려 놓은 비상금은 앞으로 이자만 물게 생겼습니다.

 

- Excess Cash-

 

* 미국 소비지표가 아직 좋은 건 코로나 때 받은 현금을 쓰고 있어서입니다. 공돈을 미래를 대비해 저축하는 건 인간의 자제력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진작에 쓰지 않은 건 그때만해도 불안했기 때문입니다.

 

* 공포에 질려 빌려 놓은 돈은 지금이야 옥이야 금이야 하지만 조금만 더 지나면 빌렸던 때를 말끔히 잊고 무심한 듯 시크하게 투자할 겁니다. 금리가는 오르지만 않아도 계산은 섭니다.

 

- 내 눈에서 사라져 -

 

* 의사결정을 잘못한 나 자신이 너무 싫을 때 자기자신을 합리화 할 수 있는 방법은 눈에 안보이게 하는 겁니다. 관심종목에서 지우고, 세 주고 다른 집으로 이사하면 실수를 잠시 잊을 수 있습니다.

 

* 더 나아가서 남는 돈을 다른 자산으로 바꾸면 장밋빛 미래도 꿈꿀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리 상승이 멈추고 더 지나면 이유 없는 유동성 랠리가 올 수도 있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2년 12월 2일 금요일

macro daily_2022.12.02

 2022년 12월 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ISM 제조업지수가 29개월 만에 50을 하회했습니다.


(2) 미 국채 3개월 금리와 2년 금리가 역전됐습니다.


(3) 베이징시가 저위험 코로나 감염자의 자택격리를 허용할 계획입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716%p (-0.011%p)

한국 고객예탁금, 46.6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03.40원 (+4.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52%(-0.00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62.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6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0명 


* 뉴욕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기준금리, 물가를 충분히 상회해야"

- "인플레이션 옳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신호 관측"


* 보우만 Fed 이사 (매파 투표권 있음), "최종 금리, 9월에 생각한 것보다 높을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5%(-0.45%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1.81%, 이탈리아 3.70%, 스프레드 1.89%p)


*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 "임금 증가, 유럽 경제의 성장 도울 것"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3%(0.000%p)


* 일본은행 신임 위원, "적시에 통화정책 점검해야"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3% (0.00%p) 

미 2년 국채 4.24% (-0.06%p)

미 10년 국채 3.52% (-0.07%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716%p (-0.011pp)


미 BBB 회사채 5.45% (-0.09%p)

미 하이일드 8.53% (-0.09%p)


이머징 국채 7.44% (-0.04%p)

이머징 주식 8.60% (-0.15%p) 

한국 주식 9.93% (-0.18%p) 


한국 3년 국채 3.64% (-0.06%p)

한국 10년 국채 3.66%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18%p (+0.043%p)


한국 3년 IRS 금리 3.66%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0개 -25개)


* 글로벌 SI (클라우드 수요 지속)

- IBM (미국 IT서비스), CGI (미국 IT서비스)


52주 최저 (6개 +1개)


4. 한국시장


* 2023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24.6 (0.0) 

- KOSDAQ 16.3 (0.0)


- 전기전자 47.7 (0.0)

- 커뮤니케이션 9.4 (-0.0)

- 자동차 17.7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5.7 (+0.2)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8.8 (0.0)

- 금융 40.9 (+0.1)


5. 뉴스 


1) 미 11월 ISM 제조업지수, 49.0. 2020년 5월 이후 최저

- 29개월 만에 50 하회

- 신규주문 47.2, 고용 48.4, 물가 43.0


2) TSMC, Apple 요청으로 고사양 반도체 미국서 생산 계획


3) Wells Fargo, 모기지 관련 인력 수백명 구조조정


4) 베이징시, 저위험 코로나 감염자 자택격리 허용

2022년 12월 1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12.01

2022년 12월 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파월이 12월 50bp를 시사하며 미국채 3개월과 2년이 붙었습니다. 


(2) 나스닥이 +4.4%, 다우는 바닥에서 20% 올라 강세장에 진입했습니다.


(3) 래리 핑크가 대부분의 크립토 기업들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689%p (+0.040%p)

한국 고객예탁금, 48.2조원 -1.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1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04.50원 (-13.9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58%(-0.01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62.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6명 

- 중립 : 9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0명 


* Fed 의장 (매파 투표권있음), "이르면 12월에 금리인상 속도 완화"

- "당분간 억제적 통화정책 필요. 9월보다 최종금리 높을 수도"


한국은행


* 한은 총재, "상황이 예상대로 된다면 최종금리 3.5%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0%(+0.1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1.93%, 이탈리아 3.87%, 스프레드 1.94%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3%(0.000%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3% (0.00%p) 

미 2년 국채 4.37% (-0.10%p)

미 10년 국채 3.68%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689%p (+0.040pp)


미 BBB 회사채 5.63% (-0.06%p)

미 하이일드 8.71% (-0.06%p)


이머징 국채 7.56% (-0.14%p)

이머징 주식 8.75% (-0.18%p) 

한국 주식 10.11% (-0.14%p) 


한국 3년 국채 3.70% (-0.01%p)

한국 10년 국채 3.68%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025%p (+0.020%p)


한국 3년 IRS 금리 3.71% (-0.1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5개 +53개)


* 글로벌 SI (클라우드 수요 지속)

- IBM (미국 IT서비스), CGI (미국 IT서비스)


52주 최저 (5개 -8개)


4. 한국시장


* 2023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24.6 (-0.2) 

- KOSDAQ 16.3 (-0.0)


- 전기전자 47.7 (-0.2)

- 커뮤니케이션 9.4 (-0.0)

- 자동차 17.7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5.5 (-0.0)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8.8 (0.0)

- 금융 40.8 (0.0)


5. 뉴스 


1) 미 11월 ADP 민간고용자수, 12.7만명 증가. 예상 +20.0만명, 전월 +23.9만명


2) 미 11월 MNI 시카고 제조업 PMI, 37.2. 2020년 5월 32.1 이후 최저 


3) 미 재무장관, "Tesla CEO의 Twitter 인수 관련해 잘못 말했다"


4) BlackRock CEO, "대부분 가상자산 기업들 사라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