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19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1.19

 2022년 1월 1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0년 국채금리가 2020년 이후 최고를 기록하며 주가가 내렸습니다.


(2) 미래에셋 그룹이 가상자산 수탁사업 진출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임사 블리자드를 687억달러에 인수합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841%, +0.00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4.2조원 +8.9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7%

1개월 NDF 환율 1,194.03원 (+3.88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118%(+0.09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0%(-0.02%p)


* 인민은행, "경기진작과 신용경색 완화 위해 추가 완화"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0%)


* 프랑스 중앙은행장, "인플레 보다 지속적이면 행동할 것이라는데 의심 없어"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143%(-0.005%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1.04% (+0.07%p)

미 10년 국채 1.86% (+0.08%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26%p (+0.009%pp)


미 BBB 회사채 3.10% (+0.08%p)

미 하이일드 4.59% (+0.02%p)


이머징 국채 5.28% (+0.07%p)

이머징 주식 7.84% (+0.03%p) 

한국 주식 9.68% (+0.08%p) 


한국 3년 국채 2.10% (-0.04%p)

한국 10년 국채 2.53%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32%p (+0.009%p)


한국 3년 IRS 금리 2.12% (-0.04%p)

한국 3년 CRS 금리 1.45%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개 개)


52주 최저 (개 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9% (+0.3%p)


- KOSPI 255.4 (+1.2)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7.2 (-0.2)

- 커뮤니케이션 11.0 (-0.0)

- 자동차 13.9 (+0.0)

- 화장품 2.6 (-0.0)


- 정유화학 21.5 (0.0)

- 조선건설기계 7.0 (-0.0)

- 철강 11.3 (0.0)

- 금융 38.5 (-0.0)


5. 뉴스 


1) Golman Sachs, 4분기 EPS 10.81달러. 예상 11.64달러

- 트레이딩 부진과 비용 증가로 마진율 2020년 2분기 수준 하락  


2) 미래에셋 그룹, 가상자산 수탁사업 검토


3) MicroSoft, Activision Blizzard 687억달러에 현금 인수

- MS CEO, "게임,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에 핵심적 역할"


4) 미 12월 permian 원유생산, 사상최대 기록 

2022년 1월 18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01.18

 2022년 1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마틴 루터 킹 데이로 미국 금융시장이 휴장했습니다.


(2) 애플이 하반기 생산되는 TSMC 반도체가격 인상에 합의했습니다.


(3) 홍남기 부총리가 추경 규모 확대에 반대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839%, 0.00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0조원 0.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9%

1개월 NDF 환율 1,192.60원 (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028%(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2%(-0.06%p)


* 인민은행, MLF 1년 금리 2.95% -> 2.85% 인하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3.0%)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148%(+0.005%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96% (0.00%p)

미 10년 국채 1.78%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17%p (0.000%pp)


미 BBB 회사채 3.02% (0.00%p)

미 하이일드 4.57% (0.00%p)


이머징 국채 5.21% (0.00%p)

이머징 주식 7.81% (+0.00%p) 

한국 주식 9.60% (+0.01%p) 


한국 3년 국채 2.14% (+0.10%p)

한국 10년 국채 2.56% (+0.1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23%p (+0.004%p)


한국 3년 IRS 금리 2.16% (+0.10%p)

한국 3년 CRS 금리 1.43%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0개 -24개)


* 미국 에너지 (유가 상승 + 투자 제한)

- Pioneer Natural Resources (미국 E&P), EOG Reources (미국 E&P)


52주 최저 (38개 -3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9% (+0.3%p)


- KOSPI 255.2 (+0.1) 

- KOSDAQ 15.7 (+0.1)


- 전기전자 87.4 (-0.0)

- 커뮤니케이션 11.0 (-0.0)

- 자동차 13.9 (-0.0)

- 화장품 2.6 (-0.1)


- 정유화학 21.5 (-0.2)

- 조선건설기계 7.0 (+0.1)

- 철강 11.3 (0.0)

- 금융 38.5 (-0.0)


5. 뉴스 


1) 홍남기 경제부총리, 14조원 규모 추경 유지 주장. 여당 증액 요구 불응

- 통화긴축 재정확장 엇박자 주장 일축


2) Apple,  TSMC N4P 반도체 가격 인상 합의 <공상시보> 


3) Rio Tinto, 2022년 철광석 출하량 3.2억~3.3억톤 전망. 2021년 3.21억톤


4) Carlyle, 전기차 충전소 배터리 기업에 1억달러 투자

2022년 1월 17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1.17

 2022년 1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10년 국채금리가 코로나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2) JP모건이 내년까지 임금 등 비용 상승요인이 있다고 밝혀 6% 급락했습니다.


(3) 트레이딩 회사 Vitol이 올해 10% 이상 원유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839%, +0.02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0조원 -0.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9%

1개월 NDF 환율 1,191.03원 (+3.7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1.028%(+0.06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1명 (+1)

- 매파 : 5명 (-3)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2)

- 극비둘기파 : 1명 


* 뉴욕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인플레 동력, 지속적인 것으로 보여"

- "자산축소 아직 결정되지 않아. 부드럽게 할 수 있을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8%(+0.08%p)


*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외환시장과 CP 감독 및 규제 강화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2.8%)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143%(+0.01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96% (+0.08%p)

미 10년 국채 1.78% (+0.0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17%p (+0.009%pp)


미 BBB 회사채 3.02% (+0.10%p)

미 하이일드 4.57% (+0.17%p)


이머징 국채 5.21% (+0.15%p)

이머징 주식 7.81% (+0.08%p) 

한국 주식 9.59% (+0.19%p) 


한국 3년 국채 2.04% (+0.08%p)

한국 10년 국채 2.46% (+0.07%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19%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2.06% (+0.07%p)

한국 3년 CRS 금리 1.38%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0개 -24개)


* 미국 에너지 (유가 상승 + 투자 제한)

- Pioneer Natural Resources (미국 E&P), EOG Reources (미국 E&P)


52주 최저 (38개 -3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9% (+0.3%p)


- KOSPI 255.1 (-0.1) 

- KOSDAQ 15.6 (-0.1)


- 전기전자 87.4 (+0.3)

- 커뮤니케이션 11.0 (-0.0)

- 자동차 13.9 (+0.0)

- 화장품 2.7 (-0.0)


- 정유화학 21.7 (-0.1)

- 조선건설기계 6.9 (0.0)

- 철강 11.3 (-0.0)

- 금융 38.5 (-0.1)


5. 뉴스 


1) JP Morgan, 4분기 매출 성장률 전년비 0.1% 증가. 영업이익률 34.3% 분기비 4.7% 하락

- CEO, "2023년까지 임금 등으로 비용 증가"

- 주가 6.2% 하락 마감


2) 미 12월 소매판매, 전월비 1.9% 감소. 예상 -0.1%, 전월 +0.2%


3) Apple, VR/AR 헤드셋 출시 2023년으로 밀릴 가능성 <블룸버그>

- 당초 올해 6월 출시 예정


4) Vitol, "원유가격, 빠듯한 공급으로 올해 10% 이상 추가상승 전망"

2022년 1월 15일 토요일

Column_성장주 승률 70%_2022.01.15

 - 네번의 인상과 한번의 침체 -

 

* 매사끼 좋은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가 올해 금리인상 네 번을 지른 다음 컨센서스는 네 번으로 옮겨가는 중입니다. 파월 의장이 자산축소는 올해 나중이라고 얘기했지만 분위기를 진정시키긴 어려워 보입니다.

 

* 틀리는 걸 본 적이 없는 경제학자 래리 서머스는 작년 바이든의 재정부양에 반대했습니다. 실업률이 떨어지고 있는데, 돈을 부으면 걷잡을 수 없는 인플레가 올 것이라고 경고한 적이 있습니다.

 

- 걷잡을 수 없는 인플레 -

 

* 실제로 미국의 인플레는 걷잡을 수 없게 됐습니다. 서머스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인플레를 잡으려면 이젠 긴축을 세게 해야 하고 2년 내 경기침체가 올 확률이 30~40% 정도 된다고 예측했습니다.

 

* 아직은 아니지만 좀만 더 있으면 ‘R의 공포이딴 유튜브 썸네일을 보게 될 겁니다. 침체가 오면 주식시장은 힘들어져서 서머스도 한번은 틀렸으면 좋겠습니다.

 

- 성장주 승률 70% -

 

* 금리가 인상되면 성장주는 끝나는 건가요?라는 질문을 받고 있습니다. MSCI가 주식을 성장주와 가치주로 나눈 1996년 이후 가치주가 성장주를 아웃퍼폼한 적이 별로 없다고 대답하고 있습니다.

 

* 특히 2010년 이후엔 가치주가 성장주를 석달 연속 아웃퍼폼한 게 딱 세번 뿐이었습니다. 성장주의 승률이 70%를 웃돕니다.

 

* 성장주가 끝나지 않았다기 보단 매크로 지표 몇 개만 보고 주식을 사고 팔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얘기입니다. 애널리스트들이 얘기하는 건 쉬운데 돈은 쉽게 벌리지 않습니다.

 

- 귀해지는 돈 -

 

* 돈이 귀해지면 돈은 못 벌면서 투자는 많이 하는 회사의 주식부터 내다 던집니다. 거꾸로 돈은 잘버는데, 투자는 별로 하지 않는 기업들의 주식은 끝까지 들고 갑니다.

 

* 빅테크는 돈이 남아돌고 투자할 데도 많지 않습니다. 밸류에이션이 비싸도 이런 주식은 잘 버팁니다. 돈은 못 버는데 투자를 많이 해야 하는 회사의 주식은 아무리 PBR 0.3배를 밑돌아도 사고 싶어지지는 않습니다.

 

* 금리가 오르면 가치주가 오른다는 주장의 출처는 어딘지 모르겠습니다. 주식이 어려운 건 어렵게 하기 때문입니다. 말이 길어졌지만 금리가 오르면 돈 잘 버는 회사 주식 사면 됩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2년 1월 14일 금요일

macro daily_2022.01.14

 2022년 1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의 올해 네번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나스닥이 급락했습니다.


(2) TSMC가 올해 Capex 가이던스를 작년보다 30% 이상 늘어난 400억달러로 제시했습니다.


(3) 델타 항공이 며칠 내 오미크론이 정점을 지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810%, -0.051%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6조원 -0.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5%

1개월 NDF 환율 1,187.85원 (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960%(-0.00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8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브레이너드 Fed 이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3월 금리인상 가능. 인플레 우려"


* 시카고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인플레 지표 개선되지 않으면 네번 금리인상"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올해 세번 금리인상 예상. 네번도 가능"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20%(+0.05%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2.7%)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132%(+0.00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88% (-0.02%p)

미 10년 국채 1.69%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808%p (-0.019%pp)


미 BBB 회사채 2.91% (-0.04%p)

미 하이일드 4.40% (-0.13%p)


이머징 국채 5.06% (-0.05%p)

이머징 주식 7.73% (-0.57%p) 

한국 주식 9.40% (-0.14%p) 


한국 3년 국채 1.96% (-0.02%p)

한국 10년 국채 2.39%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32%p (+0.004%p)


한국 3년 IRS 금리 1.98% (-0.02%p)

한국 3년 CRS 금리 1.33%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64개 +14개)


* 글로벌 금융 (시장금리 상승)

- AXA (프랑스 보험), HSBC (영국 은행)


52주 최저 (41개 +27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8.6% (+0.1%p)


- KOSPI 254.4 (0.0)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7.1 (+0.2)

- 커뮤니케이션 11.0 (-0.1)

- 자동차 13.9 (-0.1)

- 화장품 2.7 (-0.0)


- 정유화학 21.8 (-0.0)

- 조선건설기계 6.9 (+0.0)

- 철강 11.3 (-0.0)

- 금융 38.6 (+0.0)


5. 뉴스 


1) 미 12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9.7% 상승. 예상 +9.8%, 전월 +9.6% 


2) TSMC, 2022년 Capex 가이던스 400억~440억달러 제시

- 2021년 Capex 300억달러

- CEO, "2022년 capa 타이트한 상태 유지"


3) Delta Airline, "오미크론 피크 후 30~45일 뒤부터 매출 회복할 것"

- "수일 내 오미크론 피크 찍을 것. 파일럿 부족으로 지역 운항 축소"


4) Boeing, 이르면 이달 중국서 '737 MAX' 운항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