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2월 1일 수요일

macro daily_2021.12.01

 2021년 12월 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의장이 다음 FOMC서 테이퍼링 조기 종료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 옥스포드대학이 오미크론 변이가 백신을 무력화한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3) 중국 정부가 2025년 소프트웨어 굴기를 선언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827%, -0.114%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7.0조원 +2.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7%

1개월 NDF 환율 1,183.59원 (-4.4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640%(+0.02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8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의장(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인플레이션, 일시적이라는 단어 그만 써야 할 수도 있다"

- "몇개월 일찍 테이퍼링 끝낼 수도 있다. 다음 회의 때 논의"

- "오미크론 평가 어렵다. 지금은 리스크 요인"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50%(+0.05%p)


* 인민은행 공개시장 조작, 풍부한 유동성 목표를 보여줘 <금융시보>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1년 인플레 컨센서스 2.5%)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86%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52% (+0.02%p)

미 10년 국채 1.43% (-0.08%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20%p (-0.088%pp)


미 BBB 회사채 2.65% (-0.09%p)

미 하이일드 4.68% (-0.21%p)


이머징 국채 5.05% (+0.25%p)

이머징 주식 8.07% (+0.32%p) 

한국 주식 10.27% (+0.25%p) 


한국 3년 국채 1.78% (-0.60%p)

한국 10년 국채 2.20% (-0.07%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17%p (-0.006%p)


한국 3년 IRS 금리 1.77% (-0.08%p)

한국 3년 CRS 금리 1.06%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개 -22개)


52주 최저, (145개 +25개)


* 아시아 화장품 (유럽 브랜드와 경쟁)

- Shiseido (일본 개인용품), 아모레퍼시픽 (한국 개인용품)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7.2% (0.0%p)


- KOSPI 252.9 (0.0)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3.4 (-0.1)

- 커뮤니케이션 11.1 (-0.0)

- 자동차 14.0 (0.0)

- 화장품 2.8 (0.0)


- 정유화학 22.4 (-0.0)

- 조선건설기계 7.2 (-0.1)

- 철강 11.6 (-0.0)

- 금융 37.5 (+0.0)


5. 뉴스 


1) 중국, 2025년까지 1,000억위안 이상 매출 자국 S/W 기업 15개 육성 목표


2) BioNTech CEO, "백신 접종, 오미크론 중증 막을 것"  

- Oxford대, "백신, 오미크론 변이에 무력하다는 증거 없다"


3) 중국 시중은행들, NCD 통해 자금조달. 부동산 기업들 유동성 지원 관측 <블룸버그>


4) Softbank, 제페토에 1.5억달러 투자 계획 <DJ>


5) 미 예산국, "재무부, 12월 말 이전에 현금 고갈"

macro daily_2021.11.30

 2021년 11월 3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D램 현물가격이 사흘 연속 올랐습니다. 필반지수가 신고가를 경신했습니다.


(2) 미국 금리선물 시장이 내년 말 금리인상 횟수를 두번에서 한번으로 낮춰 반영했습니다.


(3) 오미크론 백신 개발이 시작된 가운데 증상이 델타보다 경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941%, -0.013%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9조원 +0.8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3%

1개월 NDF 환율 1,193.30원 (-0.4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618%(+0.01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8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의장(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오미크론 바이러스, 경제와 인플레 불확실성 더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50%(+0.05%p)


* 인민은행 자문역, "지니계수, 2025년까지 0.40 이하로 낮춰야"

- 중국 현재 지니계수, 0.47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1년 인플레 컨센서스 2.5%)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86%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50% (+0.01%p)

미 10년 국채 1.51%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008%p (+0.033%pp)


미 BBB 회사채 2.74% (-0.08%p)

미 하이일드 4.90% (+0.33%p)


이머징 국채 5.05% (+0.25%p)

이머징 주식 7.74% (+0.18%p) 

한국 주식 10.02% (+0.15%p) 


한국 3년 국채 1.84% (-0.03%p)

한국 10년 국채 2.27%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23%p (+0.033%p)


한국 3년 IRS 금리 1.85% (-0.05%p)

한국 3년 CRS 금리 1.11%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36개 -46개)


* 미국 반도체 (전장화에 따른 반도체 사용 증가)

- AMD (미국 반도체), Xilinx (미국 반도체)


52주 최저, (120개 +82개)


* 글로벌 제약 (미 약가인하 정책 우려)

- Biogen (미국 바이오테크), Grifols (미국 바이오테크)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7.2% (-0.1%p)


- KOSPI 252.9 (-0.1)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3.5 (-0.1)

- 커뮤니케이션 11.1 (+0.0)

- 자동차 14.0 (+0.1)

- 화장품 2.8 (0.0)


- 정유화학 22.4 (-0.1)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11.6 (0.0)

- 금융 37.5 (-0.0)


5. 뉴스 


1) 일본, 11월30일부터 모든 외국인 신규 입국 금지 


2) 오미크론 발견 남아공 의사, "오미크론 증상, 델타보다 경미한 듯" 

- Moderna, "2022년 초 오미크론 백신 준비될 것"

- BioNTech, "새백신 개발준비 시작"


3) 미 사이버먼데이 매출, 전년비 보합 수준 <Salesforce>


4) Twitter CEO 사임. CTO가 승계 

2021년 11월 27일 토요일

Column_모험 자본주의_2021.11.27

- 버블의 퀄리티 -

 

* 이번주 이코노미스트는 모험 자본주의(Adventure Capitalism)’를 표지로 정했습니다. 이 잡지는 벤처 캐피탈을 자본주의의 꿈의 기계라고 부르면서 VC가 스스로 커지고, 변화하고 있다고 적었습니다.

 

* 특히 저금리 시대에 원자재나 금융이 아니라 기술 기업으로 돈이 몰리는 것의 이점을 강조하며 VC가 기술 기업들에 투자할 때 레버리지를 쓰지 않기 때문에 버블이 생기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 모험 자본주의 -

 

* 모험 자본주의의 시대가 열린 것도 기술의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입니다. 기술자들은 초기 아이디어를 보고, 될지 안될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런 능력이 없으면 초기 투자는 꿈도 못꾸고 Pre IPO에서 30%짜리 경기를 뛰어야 합니다.

 

* 기술자들의 중요성은 돈을 끌어당기는 미국 벤처캐피탈이 어디 있는지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미국 51개주 가운데 캘리포니아 VC372억달러를, 메사추세츠주 VC134억달러를 모았습니다. 월스트리트의 뉴욕은 117억달러를 모았을 뿐입니다.

 

* 결국 스탠포드, MIT 주변으로 돈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고 그 위대한 세쿼이아 캐피탈의 본사도 스탠포드에서 고속도로로 나가는 길목을 지키는 자리입니다. 지금 세계에서 가장 풍수가 좋은 동네일 것 같습니다.

 

- top 10 –

 

* 벤처 캐피털의 성공은 지금 주식시장의 모습이 보여줍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10개 기업 중 7개가 벤처캐피털의 펀딩으로 시작한 스타트업 출신입니다.  

 

* 한국으로 돌아와 보면 탑텐은 삼성그룹 계열사 4, 현대차 계열사 2, SK 계열사 1, LG 계열사 1, 그리고 네이버, 카카오입니다.

 

- 친구를 보라 -

 

* 한국이 미국을 따라갈 것이라고 생각하면 톱 10의 자리를 채울 스타트업이 아직 5개 남아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도 시작된 기술의 시대에 주식을 고르는 중요한 기준은 VC와 함께 커온 기업인가가 될 것 같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1년 11월 26일 금요일

macro daily_2021.11.26

 2021년 11월 2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남아공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2) 중국 청두시가 지방정부 중 처음으로 부동산 개발회사의 유동성을 보강했습니다. 


(3) 배터리 기업 SK온이 30조원 밸류에 3조원 pre IPO에 나섭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3.061%, 0.00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4.6조원 -0.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6%

1개월 NDF 환율 1,191.40원 (+1.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795%(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8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 한은 총재, "내년 1분기 인상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50%(0.00%p)


* 청두시, 부동산 개발회사 유동성 강화 시작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1년 인플레 컨센서스 2.5%)


* ECB, 고위험 레버리지 론 제한 검토 <블룸버그>

- 도이치방크, 미국내 레버리지 론 8위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86%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64% (0.00%p)

미 10년 국채 1.6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94%p (0.000%pp)


미 BBB 회사채 2.82% (+0.01%p)

미 하이일드 4.66% (+0.06%p)


이머징 국채 4.96% (+0.05%p)

이머징 주식 7.57% (+0.01%p) 

한국 주식 9.75% (+0.00%p) 


한국 3년 국채 1.93% (-0.07%p)

한국 10년 국채 2.35%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15%p (+0.025%p)


한국 3년 IRS 금리 1.97% (-0.06%p)

한국 3년 CRS 금리 1.23%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82개 +17개)


52주 최저, (38개 0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7.3% (-0.3%p)


- KOSPI 253.6 (+0.1) 

- KOSDAQ 15.7 (+0.0)


- 전기전자 83.6 (+0.0)

- 커뮤니케이션 11.1 (-0.0)

- 자동차 13.9 (+0.0)

- 화장품 2.8 (0.0)


- 정유화학 22.5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11.6 (0.0)

- 금융 37.5 (+0.0)


5. 뉴스 


1) 남아공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세계적 4차 대유행 우려

- 영국, 6개 아프리카 국가 여행 레드 리스트 추가


2) Micron, 센트럴 타이완에 4,600만달러 부지 매입 


3) 배터리 기업 SK온, 3조원 규모 pre IPO. 30조원 밸류 <파이낸셜뉴스>

2021년 11월 25일 목요일

macro daily_2021.11.25

 2021년 11월 2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블랙록이 규제가 정점을 지났다며 중국주식 매수를 권고했습니다.


(2) 금감원장이 은행의 예대마진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말했습니다.


(3) 삼성전자가 내년 상반기부터 미국에 파운드리 투자를 시작합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3.061%, +0.03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65.2조원 +0.2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7%

1개월 NDF 환율 1,189.75원 (+3.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790%(+0.04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5.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8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OMC 위원들, 테이퍼링과 금리에 대한 유연성 강조 <11월 의사록>

- 물가 안정까지 시간 걸리고 높은 인플레 지속에 대한 증거 지적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경제지표 계속 강하면 테이퍼링 가속화 지지"


한국은행


* 금감원장, "은행은 규제산업. 예대금리차 집중 모니터링"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50%(+0.3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1년 인플레 컨센서스 2.5%)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75%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8% (0.00%p) 

미 2년 국채 0.64% (+0.03%p)

미 10년 국채 1.63%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94%p (-0.066%pp)


미 BBB 회사채 2.81% (-0.03%p)

미 하이일드 4.60% (+0.11%p)


이머징 국채 4.92% (+0.03%p)

이머징 주식 7.56% (+0.02%p) 

한국 주식 9.75% (+0.08%p) 


한국 3년 국채 2.00% (-0.02%p)

한국 10년 국채 2.39%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90%p (+0.010%p)


한국 3년 IRS 금리 2.03% (-0.03%p)

한국 3년 CRS 금리 1.25%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65개 -11개)


* 미국 REITs (부동산 가격 상승 + 렌트 인상 기대)

- Prologis (미국 산업용 REITs), Camden Property (미국 산업용 REITs) 


52주 최저, (38개 -4개)


* 한국 화장품 (중국 소비 모멘텀 약화)

- 아모레퍼시픽 (한국  개인용품), LG생활건강 (한국 개인용품)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2022년 영업이익 증가율 예상치 : +7.6% (+0.3%p)


- KOSPI 253.5 (-0.1) 

- KOSDAQ 15.7 (-0.1)


- 전기전자 83.6 (+0.0)

- 커뮤니케이션 11.1 (+0.0)

- 자동차 13.9 (+0.0)

- 화장품 2.8 (-0.0)


- 정유화학 22.5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11.6 (-0.1)

- 금융 37.5 (0.0)


5. 뉴스 


1) BlackRock 아태 대표, 중국 주식 매수 권고. 내년 정책 불확실성 완화될 것 

- 인도, 빅 IPO로 비중축소 권고 


2) 삼성전자, 미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0조원 투자키로

- 2022년 상반기 투자해 2024년 양산 목표


3) Ark Investment, ETF 내 숏 포지션 구축 고려


4) Tesla CEO, Tesla 주식 10.5억달러 추가 매도 


5) 인도 정부, 민간의 가상화폐 발행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