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15일 데일리
세줄요약
- 씨티가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금리인상의 수혜가 작년 같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중국 정부가 QFII 한도를 지금의 두배인 3,000억달러까지 늘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모건스탠리가 재고 증가를 이유로 올해 마이크론 주가가 반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7%(-0.2%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부의장, "통화정책 스탠스 조절하는데 지체하지 않겠다"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4.0%(+6.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중국 은행보험 감독위, 지방 상업은행들에 지역경제 부양 당부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4% (-0.00%p)
미 10년 국채 2.71%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1%p (+0.011%pp)
미 BBB 회사채 4.54% (+0.01%p)
미 하이일드 7.21% (+0.01%p)
이머징 국채 6.80% (0.00%p)
이머징 주식 8.94% (0.00%p)
한국 주식 10.99%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2%p)
- 상향 :
- 하향 :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 한국 12월 수출물가, 전년비 +0.3%. 예상 -0.6%, 전월 0.0%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0개, 0개) vs. 최저(9개, +9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Citigroup CFO, "금리인상 수혜, 2019년에도 같을 수 없다"
- "2019년 트레이딩 여건 개선 예상. 기업들의 대출 수요 양호"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58 (-0.02%)
* CLO 에쿼티 투자, 12월 급락에도 2019년 최고의 투자처 <JP모건>
[재정]
[무역]
* 중국 국가외환관리국, QFII 한도 1,500억달러 -> 3,000억달러 증액키로
[경협]
*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북한 견인할 카드로 부상 관측 <연합>
[반도체]
* Morgan Stanley, "Micron 2019년 반등 어려워"
- "재고, 3월까지 18년래 최고 수준으로 늘어날 것"
[원자재]
* OPEC+, 3월 아제르바이잔서 원유생산 협약 점검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6.30 (+0.34%) 외인 +1,75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0.75원 (-2.5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6.9 (-1.5)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9 (-1.1)
- 금융 22.5 (-0.1)
- 정유화학 10.7 (-0.0)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7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0조원 +0.04조원
- 비중, 2.04%, +0.02%p (저점 1.5%~2.0% 고점)
2019년 1월 15일 화요일
2019년 1월 14일 월요일
daily_2019.01.14
2019년 1월 14일 데일리
세줄요약
- 중국 조선사 두곳이 한진중공업 필리핀 수빅 조선소에 관심을 나타냈다고 니혼게이자이가 보도했습니다.
- 인민은행이 최근의 가파른 위안화 절상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MNI가 전했습니다.
- 사우디 에너지 장관이 올해 국제유가 전망치를 브렌트유 기준 75~80달러로 제시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부의장, "인플레, 지속 가능하게 2%로 회귀했는지 불명확"
- "필요하다면 B/S 정책 변경 지체하지 않겠다"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8.0%(-8.0%p)
* 오스트리아 ECB 위원, "ECB의 금리인상 접근 신중할 것"
- "독일, 전세계 기계 수요 둔화에 취약"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가파른 위안화 절상 우려하는 듯 <MNI>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4% (-0.03%p)
미 10년 국채 2.70%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0%p (-0.009%pp)
미 BBB 회사채 4.53% (-0.03%p)
미 하이일드 7.20% (-0.07%p)
이머징 국채 6.80% (+0.02%p)
이머징 주식 8.94% (-0.04%p)
한국 주식 10.96% (-0.1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독일, 이탈리아, 사우디. 터키, 미국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0개, +6개) vs. 최저(0개, -6개)
+ 52주 최고
* 글로벌 경기방어주 (여전한 경기에 대한 우려)
- Chugoku Electric (일본 전력유틸리티), Rogers Communication (캐나다 통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General Motors, 2019년 EPS 가이던스 6.5~7.0달러 제시. 예상 5.92달러
- 미국 시장 1,700만대, 중국 시장 2,700만대 판매 예상
* 중국 조선사 두곳, 한진중공업 필리핀 수빅 조선소 인수에 관심 <니혼게이자이>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20%)
* 미 정크본드 랠리, 단기 한계 부근까지 도달한 듯 <BofaML>
[재정]
* 백악관, 장벽예산 합의 안되면 긴급사태 선포 검토. 미 연방정부 폐쇄 최장기록
- 미 대통령, "셧다운보다 장벽건설 못하는 피해가 더 커"
[무역]
* 미 대통령, "자동차 관세, 자율주행 전기차 기술에만 부과할 수도"
[경협]
* 미 국무장관, "정상회담 세부사항 도출중"
- 이번주 중 고위급회담 개최 가능성
[반도체]
* Tokyo Electron CEO, "반도체 산업, 5~10년 전망 밝아"
- "IoT, 5G로 데이터 사용 급증할 것"
[원자재]
* 사우디 에너지장관, "산유국 합의 이상 감산 가능성. 유가 변동성 줄여야"
- "올 회계연도 브렌트유 배럴당 75~80달러 전망"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8.05 (+0.04%) 외인 +333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55원 (+1.18원)
세줄요약
- 중국 조선사 두곳이 한진중공업 필리핀 수빅 조선소에 관심을 나타냈다고 니혼게이자이가 보도했습니다.
- 인민은행이 최근의 가파른 위안화 절상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MNI가 전했습니다.
- 사우디 에너지 장관이 올해 국제유가 전망치를 브렌트유 기준 75~80달러로 제시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부의장, "인플레, 지속 가능하게 2%로 회귀했는지 불명확"
- "필요하다면 B/S 정책 변경 지체하지 않겠다"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8.0%(-8.0%p)
* 오스트리아 ECB 위원, "ECB의 금리인상 접근 신중할 것"
- "독일, 전세계 기계 수요 둔화에 취약"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가파른 위안화 절상 우려하는 듯 <MNI>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4% (-0.03%p)
미 10년 국채 2.70%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0%p (-0.009%pp)
미 BBB 회사채 4.53% (-0.03%p)
미 하이일드 7.20% (-0.07%p)
이머징 국채 6.80% (+0.02%p)
이머징 주식 8.94% (-0.04%p)
한국 주식 10.96% (-0.1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독일, 이탈리아, 사우디. 터키, 미국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0개, +6개) vs. 최저(0개, -6개)
+ 52주 최고
* 글로벌 경기방어주 (여전한 경기에 대한 우려)
- Chugoku Electric (일본 전력유틸리티), Rogers Communication (캐나다 통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General Motors, 2019년 EPS 가이던스 6.5~7.0달러 제시. 예상 5.92달러
- 미국 시장 1,700만대, 중국 시장 2,700만대 판매 예상
* 중국 조선사 두곳, 한진중공업 필리핀 수빅 조선소 인수에 관심 <니혼게이자이>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20%)
* 미 정크본드 랠리, 단기 한계 부근까지 도달한 듯 <BofaML>
[재정]
* 백악관, 장벽예산 합의 안되면 긴급사태 선포 검토. 미 연방정부 폐쇄 최장기록
- 미 대통령, "셧다운보다 장벽건설 못하는 피해가 더 커"
[무역]
* 미 대통령, "자동차 관세, 자율주행 전기차 기술에만 부과할 수도"
[경협]
* 미 국무장관, "정상회담 세부사항 도출중"
- 이번주 중 고위급회담 개최 가능성
[반도체]
* Tokyo Electron CEO, "반도체 산업, 5~10년 전망 밝아"
- "IoT, 5G로 데이터 사용 급증할 것"
[원자재]
* 사우디 에너지장관, "산유국 합의 이상 감산 가능성. 유가 변동성 줄여야"
- "올 회계연도 브렌트유 배럴당 75~80달러 전망"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8.05 (+0.04%) 외인 +333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55원 (+1.18원)
라벨:
daily
2019년 1월 11일 금요일
daily_2019.01.11
2019년 1월 11일 데일리
세줄요약
- 주요국 중앙은행 관계자들이 일제히 비둘기파적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내를 다시 강조했습니다.
- 야스카와 전기가 올해 영업익 가이던스를 낮췄습니다. 반도체, 중국 투자 둔화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 야간선물 시장에서 외국인이 3,000계약 이상 선물을 순매수했습니다. 한국 관련 ETF로 자금유입이 계속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1.4%(-0.1%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 "인내하고 유연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 "경기침체 자산버블 리스크 둘다 없어 보여"
* 리치몬드연은 총재(매파), "금리 정상화, 경기 긴축 목적 아냐"
* 세이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이미 인플레에 대해 충분히 예방적"
- "수익률 곡선, Fed의 정상화 속도조절 필요성 암시"
* 미네아폴리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고용시장에 보이지 않는 Slack 있는 듯"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6.0%(+14.4%p)
* 프랑스 ECB 위원, "봄까지 통화정책 수정 기다려야"
- "유로존 경기약화 조짐 있고 세계경제 전망 불투명"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총재,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할 것"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7% (+0.01%p)
미 10년 국채 2.7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9%p (+0.002%pp)
미 BBB 회사채 4.56% (-0.01%p)
미 하이일드 7.27% (-0.09%p)
이머징 국채 6.78% (-0.06%p)
이머징 주식 8.98% (-0.19%p)
한국 주식 11.09% (-0.07%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4개, -3개) vs. 최저(6개, +3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Fast Retailing CFO, "중국 사업, 무역분쟁 이슈 거의 없어. 하지만 긍정적이지 않아"
* Yasakawa Electric, 2019회계연 영업익 가이던스 590억엔 -> 530억엔 하향 vs. 예상 568억엔
- 반도체 투자, 중국 자동화 투자 둔화 영향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46%)
* 미국 대출펀드, 지난주 3.2억달러 순유출. 유출규모 감소 <Lipper>
[재정]
[무역]
* 미 대통령, 정부폐쇄 여파로 다보스 포럼 불참 계획
[경협]
[반도체]
[원자재]
* Saudi Aramco, 2분기 중 글로벌본드 발행계획. Sabic 인수용 자금마련 <블룸버그>
- 에너지 장관, "달러 표시로 발행할 가능성 높아"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7.25 (+0.55%) 외인 +3,431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25원 (-1.3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8.5 (-0.6)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3.0 (-0.1)
- 금융 22.6 (+0.0)
- 정유화학 10.8 (-0.1)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50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6조원 +0.02조원
- 비중, 2.02%, +0.00%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주요국 중앙은행 관계자들이 일제히 비둘기파적 발언을 쏟아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인내를 다시 강조했습니다.
- 야스카와 전기가 올해 영업익 가이던스를 낮췄습니다. 반도체, 중국 투자 둔화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 야간선물 시장에서 외국인이 3,000계약 이상 선물을 순매수했습니다. 한국 관련 ETF로 자금유입이 계속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1.4%(-0.1%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 "인내하고 유연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 "경기침체 자산버블 리스크 둘다 없어 보여"
* 리치몬드연은 총재(매파), "금리 정상화, 경기 긴축 목적 아냐"
* 세이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이미 인플레에 대해 충분히 예방적"
- "수익률 곡선, Fed의 정상화 속도조절 필요성 암시"
* 미네아폴리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고용시장에 보이지 않는 Slack 있는 듯"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6.0%(+14.4%p)
* 프랑스 ECB 위원, "봄까지 통화정책 수정 기다려야"
- "유로존 경기약화 조짐 있고 세계경제 전망 불투명"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총재,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할 것"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7% (+0.01%p)
미 10년 국채 2.7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9%p (+0.002%pp)
미 BBB 회사채 4.56% (-0.01%p)
미 하이일드 7.27% (-0.09%p)
이머징 국채 6.78% (-0.06%p)
이머징 주식 8.98% (-0.19%p)
한국 주식 11.09% (-0.07%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4개, -3개) vs. 최저(6개, +3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Fast Retailing CFO, "중국 사업, 무역분쟁 이슈 거의 없어. 하지만 긍정적이지 않아"
* Yasakawa Electric, 2019회계연 영업익 가이던스 590억엔 -> 530억엔 하향 vs. 예상 568억엔
- 반도체 투자, 중국 자동화 투자 둔화 영향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46%)
* 미국 대출펀드, 지난주 3.2억달러 순유출. 유출규모 감소 <Lipper>
[재정]
[무역]
* 미 대통령, 정부폐쇄 여파로 다보스 포럼 불참 계획
[경협]
[반도체]
[원자재]
* Saudi Aramco, 2분기 중 글로벌본드 발행계획. Sabic 인수용 자금마련 <블룸버그>
- 에너지 장관, "달러 표시로 발행할 가능성 높아"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7.25 (+0.55%) 외인 +3,431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25원 (-1.3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8.5 (-0.6)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3.0 (-0.1)
- 금융 22.6 (+0.0)
- 정유화학 10.8 (-0.1)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50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6조원 +0.02조원
- 비중, 2.02%, +0.00%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2019년 1월 10일 목요일
daily_2019.01.10
2019년 1월 10일 데일리
세줄요약
- FOMC 의사록이 공개됐습니다. 12월 FOMC는 성명보다 더 비둘기파적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 인민은행이 1월말께 새로운 Target 중기 대출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답장을 받고 2차 정상회담을 확신해 중국을 방문한 것이라고 아사히가 보도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1.3%(-1.2%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OMC 위원들, 추가 금리인상 시기와 폭 불투명해져. 통화정책에 인내심 가질 것 <12월 의사록>
- 성명에 추가된 'some' 문구, 제한적 긴축 시사한 것
* 애틀랜타연은 총재(비둘기파), "통화정책 긴축으로 가져가야 할 필요성 거의 없어"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추가 금리인상 경기침체 초래할 것" <WSJ>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기준금리, 궁극에는 3.00~3.25%까지 높아질 것"
- "향후 발표될 경제지표 기다릴 여력 있다"
* 보스턴연은 총재(매파), "경기둔화시 B/S 정책 변화 배제 안해"
- "레버리지론, 하이일드 회사채 시장 주시중"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1.6%(-5.2%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총재, "과도한 신용긴축과 과도한 경기부양 모두 억제하겠다"
- "1월말께 Target MLT 프로그램 시행"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6% (-0.02%p)
미 10년 국채 2.73%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7%p (+0.030%pp)
미 BBB 회사채 4.57% (-0.01%p)
미 하이일드 7.36% (-0.13%p)
이머징 국채 6.84% (0.00%p)
이머징 주식 9.17% (0.00%p)
한국 주식 11.16% (-0.32%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7개, -1개) vs. 최저(3개, -4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Constellation Brands, 2019 회계연 EPS 전망 하향
- CEO, "맥주 출하 부진. Canopy 인수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 증가"
* Lennar, 4분기 수주 44% 증가. 금리하락으로 트래픽 증가
- CEO, "올 봄 금리하락의 수혜 기대. 샌안토니오, 텍사스 주택시장 강세"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55%)
* KKR CIO, "투자 포트폴리오 내 레버리지론 비중 제로"
[재정]
* 미 대통령, 민주당 지도부와 협상 도중 퇴장. 시간낭비한 회의
[무역]
* 미 무역대표부, "중국. 미국산 농산물 등 상품 더 수입키로"
[경협]
* 북 국무위원장, 연초 미 대통령 답장 받고 중국 방문. 2차 정상회담 확신 <Asahi>
[반도체]
* Berstein, Micron 투자의견 Marketperform -> Outperform으로 상향
- "평소보다 회복 빠를 것. 비트 증가율 하락 공급 감소 빨라"
[원자재]
* 사우디 에너지장관, "원유재고, 정상수준 넘지 않게 관리하겠다"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7.25 (+0.45%) 외인 +2,388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30원 (-4.98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9.1 (-3.5)
- KOSDAQ 7.6 (-0.1)
- 전기전자 53.4 (-3.3)
- 금융 22.6 (-0.1)
- 정유화학 10.9 (-0.0)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8배, -0.06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4조원 +0.04조원
- 비중, 2.02%, -0.02%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FOMC 의사록이 공개됐습니다. 12월 FOMC는 성명보다 더 비둘기파적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 인민은행이 1월말께 새로운 Target 중기 대출 프로그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답장을 받고 2차 정상회담을 확신해 중국을 방문한 것이라고 아사히가 보도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1.3%(-1.2%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OMC 위원들, 추가 금리인상 시기와 폭 불투명해져. 통화정책에 인내심 가질 것 <12월 의사록>
- 성명에 추가된 'some' 문구, 제한적 긴축 시사한 것
* 애틀랜타연은 총재(비둘기파), "통화정책 긴축으로 가져가야 할 필요성 거의 없어"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추가 금리인상 경기침체 초래할 것" <WSJ>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기준금리, 궁극에는 3.00~3.25%까지 높아질 것"
- "향후 발표될 경제지표 기다릴 여력 있다"
* 보스턴연은 총재(매파), "경기둔화시 B/S 정책 변화 배제 안해"
- "레버리지론, 하이일드 회사채 시장 주시중"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1.6%(-5.2%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총재, "과도한 신용긴축과 과도한 경기부양 모두 억제하겠다"
- "1월말께 Target MLT 프로그램 시행"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6% (-0.02%p)
미 10년 국채 2.73%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7%p (+0.030%pp)
미 BBB 회사채 4.57% (-0.01%p)
미 하이일드 7.36% (-0.13%p)
이머징 국채 6.84% (0.00%p)
이머징 주식 9.17% (0.00%p)
한국 주식 11.16% (-0.32%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7개, -1개) vs. 최저(3개, -4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Constellation Brands, 2019 회계연 EPS 전망 하향
- CEO, "맥주 출하 부진. Canopy 인수에 따른 이자비용 부담 증가"
* Lennar, 4분기 수주 44% 증가. 금리하락으로 트래픽 증가
- CEO, "올 봄 금리하락의 수혜 기대. 샌안토니오, 텍사스 주택시장 강세"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55%)
* KKR CIO, "투자 포트폴리오 내 레버리지론 비중 제로"
[재정]
* 미 대통령, 민주당 지도부와 협상 도중 퇴장. 시간낭비한 회의
[무역]
* 미 무역대표부, "중국. 미국산 농산물 등 상품 더 수입키로"
[경협]
* 북 국무위원장, 연초 미 대통령 답장 받고 중국 방문. 2차 정상회담 확신 <Asahi>
[반도체]
* Berstein, Micron 투자의견 Marketperform -> Outperform으로 상향
- "평소보다 회복 빠를 것. 비트 증가율 하락 공급 감소 빨라"
[원자재]
* 사우디 에너지장관, "원유재고, 정상수준 넘지 않게 관리하겠다"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7.25 (+0.45%) 외인 +2,388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7.30원 (-4.98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9.1 (-3.5)
- KOSDAQ 7.6 (-0.1)
- 전기전자 53.4 (-3.3)
- 금융 22.6 (-0.1)
- 정유화학 10.9 (-0.0)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8배, -0.06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4조원 +0.04조원
- 비중, 2.02%, -0.02%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2019년 1월 9일 수요일
daily_2019.01.09
2019년 1월 9일 데일리
세줄요약
- 미중 무역협상에서 진전이 있었다는 보도로 위험자산 선호가 이어졌습니다.
- 레버리지론 지수가 1% 가까이 올랐습니다. BofaML은 반등이 최대 수개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삼성전자의 어닝쇼크로 미국 반도체지수는 약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2.5%(+2.3%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8%(+2.3%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8% (+0.05%p)
미 10년 국채 2.72%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37%p (-0.025%pp)
미 BBB 회사채 4.58% (+0.02%p)
미 하이일드 7.49% (-0.20%p)
이머징 국채 6.84% (-0.08%p)
이머징 주식 9.17% (-0.11%p)
한국 주식 11.48% (-0.09%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 미 12월 NFIB 소기업 심리지수, 104.4. 예상 103.0, 전월 104.8
* 미 11월 JOLTS 구인자수, 688.8만명. 예상 705.0만명, 전월 713.1만명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8개, 0개) vs. 최저(7개, +4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IBM, 이르면 2년 내 퀀텀 컴퓨팅 매출 일어날 것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96%)
* 레버리지 론 랠리, 비둘기파적 Fed 힘입어 수주 또는 수개월 간 지속 <BofAML>
[재정]
* 미 대통령, 오늘 대국민 담화서 국경장벽 건설 위한 국가비상사태 선포하지 않을 것 <WP>
* Fitch, 중국 정부 부채에 기반한 경기부양 지속시 신용등급 또는 등급전망 강등 경고
[무역]
* 미중 무역협상단 이견 크게 줄여. 아직 타결 준비는 안돼 <WSJ>
[경협]
* 북 국무위원장 중국방문, 북한의 미국 견제 시그널 <WP>
[반도체]
[원자재]
* 올해 중국 가솔린 수출 증가로 크랙마진 약화 전망 <블룸버그>
- 중국 자동차 판매 부진, 에너지 효율 기준 강화 영향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1.00 (+0.10%) 외인 +2,25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1.82원 (-2.07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42.6 (-0.2)
- KOSDAQ 7.7 (-0.0)
- 전기전자 56.7 (-0.0)
- 금융 22.7 (-0.0)
- 정유화학 10.9 (-0.1)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1)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54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0조원 +0.00조원
- 비중, 2.04%, +0.01%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미중 무역협상에서 진전이 있었다는 보도로 위험자산 선호가 이어졌습니다.
- 레버리지론 지수가 1% 가까이 올랐습니다. BofaML은 반등이 최대 수개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삼성전자의 어닝쇼크로 미국 반도체지수는 약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2.5%(+2.3%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8%(+2.3%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8% (+0.05%p)
미 10년 국채 2.72%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37%p (-0.025%pp)
미 BBB 회사채 4.58% (+0.02%p)
미 하이일드 7.49% (-0.20%p)
이머징 국채 6.84% (-0.08%p)
이머징 주식 9.17% (-0.11%p)
한국 주식 11.48% (-0.09%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3% (0.00%p)
- 상향 :
- 하향 :
* 미 12월 NFIB 소기업 심리지수, 104.4. 예상 103.0, 전월 104.8
* 미 11월 JOLTS 구인자수, 688.8만명. 예상 705.0만명, 전월 713.1만명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8개, 0개) vs. 최저(7개, +4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IBM, 이르면 2년 내 퀀텀 컴퓨팅 매출 일어날 것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5.64(+0.96%)
* 레버리지 론 랠리, 비둘기파적 Fed 힘입어 수주 또는 수개월 간 지속 <BofAML>
[재정]
* 미 대통령, 오늘 대국민 담화서 국경장벽 건설 위한 국가비상사태 선포하지 않을 것 <WP>
* Fitch, 중국 정부 부채에 기반한 경기부양 지속시 신용등급 또는 등급전망 강등 경고
[무역]
* 미중 무역협상단 이견 크게 줄여. 아직 타결 준비는 안돼 <WSJ>
[경협]
* 북 국무위원장 중국방문, 북한의 미국 견제 시그널 <WP>
[반도체]
[원자재]
* 올해 중국 가솔린 수출 증가로 크랙마진 약화 전망 <블룸버그>
- 중국 자동차 판매 부진, 에너지 효율 기준 강화 영향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61.00 (+0.10%) 외인 +2,25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1.82원 (-2.07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42.6 (-0.2)
- KOSDAQ 7.7 (-0.0)
- 전기전자 56.7 (-0.0)
- 금융 22.7 (-0.0)
- 정유화학 10.9 (-0.1)
- 자동차 5.6 (0.0)
- 철강 4.3 (-0.1)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54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60조원 +0.00조원
- 비중, 2.04%, +0.01%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