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5월 7일 금요일

macro daily_2021.05.07

 2021년 5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오늘밤 미 고용 발표를 앞두고 은행주는 오르고 ARK 혁신 ETF는 급락했습니다.


(2) 바이든 행정부가 곧 중국과 만나 1단계 무역협정을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Fed가 위험자산 가격의 취약성을 경고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77%, -0.034%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3.9조원 -4.0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37.8%(+0.3%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3.7%(+0.1%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8%

1개월 NDF 환율 1,120.50원 (-5.2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90%(+0.00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2.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브레이너드 Fed 이사(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위험자산 선호 약해지면 자산가격 취약"

- "Archegos 사태, 헤지펀드 투명성의 한계 보여줘" 


* 댈러스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테이퍼링 논의, 늦게보단 일찍 시작했으면 한다"

- "올 연말 실업률 4% 하회할 것. 내년 물가와 고용 목표 모두 도달"


* 애틀랜타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4월 고용자수 100만명 기록해도 놀라지 않을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13%(-0.23%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6%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90%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6% (0.00%p) 

미 2년 국채 0.15% (+0.00%p)

미 10년 국채 1.57%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417%p (-0.000%pp)


미 BBB 회사채 2.67% (+0.00%p)

미 하이일드 3.94% (-0.01%p)


이머징 국채 4.73% (+0.00%p)

이머징 주식 6.87% (+0.02%p) 

한국 주식 7.99% (-0.01%p) 


한국 3년 국채 1.13% (-0.02%p)

한국 10년 국채 2.09%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960%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1.22% (-0.02%p)

한국 3년 CRS 금리 0.43%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80개 +60개)

 

* 글로벌 은행 (1분기 실적 호조)

- JP Morgan (미국 복합은행), US Bancorp (미국 복합은행)


52주 최저, (13개 -7개)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9.7 (0.0) 

- KOSDAQ 13.1 (0.0)


- 전기전자 73.9 (-0.0)

- 커뮤니케이션 8.9 (0.0)

- 자동차 11.6 (0.0)

- 화장품 2.7 (-0.0)


- 정유화학 18.4 (+0.6)

- 조선건설기계 6.4 (-0.6)

- 철강 7.8 (0.0)

- 금융 32.1 (+0.2)


5. 뉴스 


1)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49.8만건. 펜데믹 이후 첫 50만건 하회

- 오늘 밤 4월 비농업고용자수, 100만명 증가 예상


2) 미-중, 1단계 무역합의 검토 위해 조만간 대화 가능성 <SCMP>


3) 바이든 행정부,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국 투자 금지 이어갈 듯 <블룸버그>


4) ARK 혁신 ETF서 7일 연속 자금 유출. ETF 출시 이후 최장


5) BMW CEO, "2년 내 자동차 반도체 수급 맞춰질 것"

- Volkswagen, 배터리 자회사 IPO 추진

2021년 5월 6일 목요일

macro daily_2021.05.06

 2021년 5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옐런이 경기과열 가능성과 금리상승을 언급하면서 테크가 조정받았습니다.


(2) 미국 정부가 원자력발전에 보조금 지급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3) G7이 신장과 홍콩을 언급하며 중국의 인권 상황을 비판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711%, +0.038%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77.9조원 +19.5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37.5%(+0.1%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3.6%(+0.1%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3%

1개월 NDF 환율 1,125.20원 (+2.5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87%(-0.00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2.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클라리다 Fed 부의장(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아직 테이퍼링 논의할 때 아니다"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2.4~2.6% 인플레, 높다고 봐도 될 것"


* 보우만 Fed 이사(중립 투표권있음), "실물경제, 예상한 것보다 회복 빨라"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투표권있음),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 서두르지 않고 있다"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2021년 인플레, Fed의 금리인상 촉발하지 않을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36%(0.00%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6%


* ECB 수석 이코노미스트, "인플레 오버슈팅 지속되지 않을 것"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97%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6% (+0.01%p) 

미 2년 국채 0.15% (-0.01%p)

미 10년 국채 1.57%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417%p (-0.018%pp)


미 BBB 회사채 2.67% (-0.01%p)

미 하이일드 3.95% (0.00%p)


이머징 국채 4.73% (+0.01%p)

이머징 주식 6.85% (+0.06%p) 

한국 주식 8.00% (+0.04%p) 


한국 3년 국채 1.15% (+0.01%p)

한국 10년 국채 2.13%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973%p (+0.006%p)


한국 3년 IRS 금리 1.24% (0.00%p)

한국 3년 CRS 금리 0.41%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20개 +40개)

 

* 글로벌 은행 (1분기 실적 호조)

- PNC Financial (미국 복합은행), Bank of NewYork Mellon (미국 복합은행)


52주 최저, (20개 +2개) 


* 글로벌 필수소비재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마진 훼손 우려)

- Lion (일본 개인용품), Pigeon (일본 식료품소매)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9.7 (+0.2) 

- KOSDAQ 13.1 (-0.0)


- 전기전자 73.9 (+0.0)

- 커뮤니케이션 8.9 (+0.0)

- 자동차 11.6 (0.0)

- 화장품 2.7 (0.0)


- 정유화학 17.8 (+0.1)

- 조선건설기계 7.0 (0.0)

- 철강 7.8 (0.0)

- 금융 31.9 (0.0)


5. 뉴스 


1) 미 재무장관, "경제 과열되지 않게 금리 다소 올라야 할지도" <Atlantic>

- "추가 재정지출 상대적으로 적지만 완만한 금리인상 유발할 수도"


2) 미 정부, 원자력 발전에도 보조금 지급 고려 <로이터>  


3) Ford-BMW, 미국 전고체 배터리 기업 Soild Power에 1.3억달러 투자


4) G7, 중국 인권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 표명. 신장, 홍콩 언급


5) Uber, "연말까지 흑자전환 확신" 

2021년 5월 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1.05.04

 2021년 5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정부가 미국에서 생산한 화이자 백신의 수출을 허용했습니다. 


(2) 뉴욕시가 집합인원 제한을 없애고 유럽도 완화를 검토하며 경기민감주가 올랐습니다.


(3) 빌 게이츠가 멜린다와 이혼을 발표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624%, +0.036%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58.4조원 -1.0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37.4%(+0.5%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3.5%(0.0%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1%

1개월 NDF 환율 1,120.55원 (-3.3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97%(+0.004%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2.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경제전망 밝지만 침체에서 완전히 빠져나오진 못해"


* 뉴욕연은 총재(중립 투표권있음), "견고한 회복을 달성하기까지 갈 길 멀어"

- "올해 GDP 성장률 7%. 내년 인플레 2% 부근 안착 예상"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36%(0.00%p)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6%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97%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5% (-0.01%p) 

미 2년 국채 0.16% (+0.01%p)

미 10년 국채 1.59%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435%p (-0.032%pp)


미 BBB 회사채 2.68% (-0.04%p)

미 하이일드 3.95% (-0.05%p)


이머징 국채 4.72% (-0.05%p)

이머징 주식 6.79% (+0.13%p) 

한국 주식 7.96% (+0.44%p) 


한국 3년 국채 1.14% (+0.01%p)

한국 10년 국채 2.11%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967%p (-0.026%p)


한국 3년 IRS 금리 1.24% (+0.00%p)

한국 3년 CRS 금리 0.41%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80개 +80개)

 

* 글로벌 은행 (1분기 실적 호조)

- PNC Financial (미국 복합은행), Lloyds Banking (미국 복합은행)


52주 최저, (18개 +1개) 


* 글로벌 필수소비재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마진 훼손 우려)

- Lion (일본 개인용품), Pigeon (일본 식료품소매) 


4. 한국시장


* 2021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9.5 (+2.1) 

- KOSDAQ 13.1 (+0.1)


- 전기전자 73.9 (+0.2)

- 커뮤니케이션 8.9 (+0.0)

- 자동차 11.6 (0.0)

- 화장품 2.7 (+0.1)


- 정유화학 17.7 (+0.1)

- 조선건설기계 7.0 (-0.0)

- 철강 7.8 (0.0)

- 금융 31.9 (+0.0)


5. 뉴스 


1) 미 행정부, Pfizer의 미국내 생산 백신 수출 허용키로 

- 다음주부터 12~15세 청소년 화이자 백신 접종


2) 워렌 버핏, 후계자로 그렉 아벨 부회장 낙점 <CNBC>

- 아지트 자인 부회장이 차순위


3) 뉴욕시, 집합인원 제한 없애기로. 유럽도 완화 검토 


4) LG전자 배터리 분리막 공장 LG화학에 이관 추진 <헤경>


5) 빌 게이츠, 멜린다 게이츠와 이혼 발표 

2021년 5월 3일 월요일

macro daily_2021.05.03

 2021년 5월 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댈러스연은 총재가 테이퍼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2) 버크셔 헤더웨이가 1분기에 현금을 더 늘렸습니다.


(3) 중국 정부가 일부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관세를 철폐했습니다.


미 5년 breakeven rate 2.587%, -0.000%p (2% 상회시 유의, 2.5% 상회시 경고)

한국 고객예탁금, 59.4조원 -14.0조원


미국 백신 접종률 36.9%(+0.9%p, 집단면역 70%) 

한국 백신 접종률 3.5%(+0.7%p, 집단면역 70%)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8%

1개월 NDF 환율 1,117.81원 (+5.4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1년 12월 15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0.093%(-0.00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12.0% (0.0%p)


FOMC

- 극매파 : 0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댈러스연은 총재(매파 투표권없음), "테이퍼링 논의 시작하는 것이 적절"

- "금융시장의 과도함과 불균형 관측되는 중"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2.36%(+0.06%p)


* 중국 1분기 매크로 레버리지 비율, 276.8%로 2.6%p 하락


ECB : 중장기 인플레 2% 목표, 2021년 인플레 예상 1.6%


* 독일 ECB 위원, "회원국 재정당국, 긴축 연기해선 안돼"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097%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06% (-0.01%p) 

미 2년 국채 0.15% (-0.01%p)

미 10년 국채 1.6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1.468%p (-0.008%pp)


미 BBB 회사채 2.72% (-0.01%p)

미 하이일드 4.00% (-0.06%p)


이머징 국채 4.77% (-0.04%p)

이머징 주식 6.65% (+0.05%p) 

한국 주식 7.51% (+0.19%p) 


한국 3년 국채 1.13% (+0.01%p)

한국 10년 국채 2.13%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993%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1.24% (+0.00%p)

한국 3년 CRS 금리 0.41%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00개 

* 글로벌 REITs (글로벌 경기회복의 late cycle)

- CBRE (미국 부동산 서비스), Duke Realty (미국 산업용 REITS)


52주 최저, 17개 

* 글로벌 필수소비재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마진 훼손 우려)

- Hengan Intl (중국 개인용품), ICA Gruppen (스웨덴 식료품소매) 


4. 한국시장


* 2021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58.6 (+13.3) * 네이버 자회사 라인의 Z홀딩스 합병 완료에 따른 영업외 증가 

- KOSDAQ 9.7 (-0.0)


- 전기전자 55.1 (+1.1)

- 커뮤니케이션 19.2 (+9.9)

- 자동차 9.5 (0.0)

- 화장품 1.7 (+0.1)


- 정유화학 11.3 (+0.1)

- 조선건설기계 4.0 (+0.2)

- 철강 4.5 (+0.0)

- 금융 23.8 (+0.1)


5. 뉴스 


1) CLSA, 퇴사 막기 위해 주니어 연봉 30% 인상 


2) EU, Apple에 in-app 지출 관련 반독점 위반 경고 <블룸버그> 


3) 버크셔헤서웨이, 1분기 말 현금성자산 1,454억달러. 작년 4분기 말 1,383억달러 

- 워렌 버핏, "SPAC 열풍 영원하지 않을 것"

- "전세계적으로 도박 충동 매우 강해"


4) 미 재무장관, "미 행정부 재정부양 인플레 촉발하지 않을 것"

- "재정부양 기간 8~10년으로 길어"


5) 중국 재정부, 5월 1일부로 일부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관세 없애기로 

2021년 5월 1일 토요일

Column_차트 기울기 계산법_2021.05.01

 

- 빠른 순환매의 이유 -

 

* 순환매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주식시장의 피로감이 높습니다. 한국만 이런 건 아닙니다. 전세계 주식시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사고 싶은 주식은 많은데 돈이 부족해서 일 수도 있고, 주식시장에 모인 자금의 성격이 단기여서 일 수도 있습니다. 아마도 후자인 것 같습니다.

 

- 사기 전에 결정할 것 -

 

* 얼마 동안 갖고 있을지를 결정한 다음 사면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5일 동안 들고 있을 생각이었으면 5일선이 깨지면 팔면 됩니다. 이때부터 지난 5일 동안 산 사람들이 평균적으로 손실을 입기 시작합니다.

 

* 명심할 건 5일 선이 깨졌는데 난 원래 20일 동안 갖고 있으려 했다고 말을 바꾸고, 그러다 20일선도 깨지면 60일 동안 갖고 있으려 했다고 말을 바꾸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 그러다 200일 후면 자본이 다 녹아 없어질 것 같은 주식을 갖고 있게 되기도 하고 더 힘들어지면 자식에게 물려주겠다고 합니다. 중요한건 자식도 그런 주식을 갖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장기 투자자의 비자발적 단타 -

 

* 반대로 장기 투자자가 단기 투자에 열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 소수의 퇴직연금 아웃소싱 담당자가 빠른 순환매에 적극 가담을 지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런가 보험사 앞 흡연구역에 주식 매니저들이 너무 많습니다.

 

* 처음부터 장기투자를 생각했는데, 호가창을 보고 있을 이유가 없고 일봉 차트를 볼 이유도 없습니다. 장투할 주식을 매일 보는 이유는 하나밖에 없습니다. 할 일이 없어서입니다.

 

- 차트의 기울기 -

 

* 차트의 기울기는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투자자들의 평균 투자 듀레이션입니다.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절은 버블이 끼는 이유를 직관적으로 설명하는데, 빨리 돈을 벌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빠르게 늘어날 때 생긴다는 것입니다.

 

* 1월 초 한국 주식시장에도 그런 사람들이 가득했습니다. 계획이 좌절되자 그들은 말을 바꾸는 중입니다. 하지만 더 이상 자신을 속일 수 없을 때 그들은 이 바닥을 뜰 것입니다. 그때가 긴 듀레이션을 가진 투자자들이 시장에 들어올 때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