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12일 화요일

daily_2019.02.12

2019년 2월 12일 데일리

세줄요약

(1) 지난주 중국 에너지 관련 기업 두 곳이 만기 회사채를 상환하지 못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2)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의 올해 성장률 컨센서스가 하향조정됐습니다.

(3) 모건스탠리가 하반기 마이크론 주가의 회복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지난글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0.1%(-0.1%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16.4%(-4.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6.0%(+4.2%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기준 > 미 2년 국채,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48% (+0.01%p)
미 10년 국채 2.65%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8%p (+0.000%pp)

미 BBB 회사채 4.31% (+0.02%p)
미 하이일드 6.91% (+0.02%p)

이머징 국채 6.44% (+0.02%p)

이머징 주식 8.39% (+0.01%p) 
한국 주식 9.56% (-0.02%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05% (-0.02%p)
- 상향 :
- 하향 :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 프랑스 1월 기업심리지수, 99. 예상 103, 전월 102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65조달러(+0.03조달러), 순익 3.45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0.91%(-0.03%p)

5. 52주 최고(44개, +19개) vs. 최저(11개, -9개)

+ 52주 최고

* 미 클라우드 (구독 서비스 매출 증가) 
- Service Now (미국 IT S/W), Cadence Design (미국 IT S/W)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China Minsheng Investment-Wintime Energy, 지난주 회사채 부도 <블룸버그>

* EU, Thyssenkrupp-Tata Steel의 철강 합작법인 불허할 듯 <로이터>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8 (+0.00%)

* 지난주 유로존 레버리지론 35억유로 신규 발행. 11월 이후 최대

[재정]

* 미 대통령, 연방정부 업무정지 앞두고 민주당 비난
- "민주당 지나치게 독선적이고 화 나 있어"

[무역]

* 미중 정상, 3월 중순 미국서 회담 가능성. 3월1일 이전 통화할 듯 <Axios>

[경협]

* 북미, 2차 정상회담서 핵폐기와 상응조치 최우선 협의 중 <연합>

[반도체]

* Morgan Stanley, "Micron 하반기 회복 가능성 낮다"
- "올해 반도체 수요 35% 늘어야 재고증가 억제"

[원자재]

* 철광석 선물가격, 싱가포르서 4.3% 하락. 톤당 90달러 하회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82.55 (-0.04%) 외인 +36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5.05원 (+0.40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25.3 (-0.4) 
- KOSDAQ 7.3 (+0.1)

- 전기전자 44.2 (-0.2)
- 금융 21.9 (-0.1)
- 정유화학 10.0 (-0.1)
- 자동차 5.2 (0.0)
- 철강 4.0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34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5.07조원 -0.01조원
- 비중, 2.04%, -0.02%p (저점 1.5%~2.0% 고점)

2019년 2월 10일 일요일

daily_2019.02.11(Eng ver)

daily_2019.02.11

1. Centralbanks

Fed : hike twice in 2019 + continue to shrink balance sheet
- Probability to hike in 2019 0.2%(-2.2%p)
- Probability to cut in 2019 20.6%(+1.6%p)

FOMC

- Most hawkish : 1
- Hawkish : 5
- Neutral : 6
- Dovish : 3
- Most dovish : 2

European Central Bank : stop qunatitative easing in 2019 + hold key rate untill summer
- Probability to hike in 2019 41.8%(+0.2%p)

Bank of Japan : target 10Y JGB yield to 0%

People's Bank of China : prudent and flexible policy

2. Credit Cycle : US Fed Fund > US 2yr bill, US high yield rate > Emerging government bond rate

Fed Fund rate : 2.50%  
US 2Y T-bill : 2.47% (-0.01%p)
US 10Y T-Note : 2.63% (-0.02%p)
- US 10Y - 2Y : 0.168% (-0.002%pp)

US BBB corp bond : 4.29% (+0.00%p)
US high yield 6.89% (+0.19%p)

Emerging government bond 6.42% (+0.11%p)

Emerging stock yield 8.38% (+0.07%p) 
Korea stock yield 9.58% (+0.11%p)

3. Macro

G20 GDP growth rate consensus in 2019 : 3.07% (-0.00%p)
- Up :
- Down : Canada, Italy

4. HiLo in MSCI World Index 52week hig (25, -10 vs. 52week low (20, +4)

+ 52week high

* Global REITs
- Equity Residential (US REITs), Mirvac Group (Australia REITs)

+ 52week low

* Global Material
- Toray Indu (Japan Chemical), Thyssenkrupp (Germany Steel)


+ Korea Market


* Kospi200 futures on After hours , 282.15 (+0.09%) foreign investors +1,421constracts 
* KRW 1M NDF 1,123.20 Won (-0.55 Won)

* Net Income consensus in 2019 (trillion won)

- KOSPI 125.7 (-0.0) 
- KOSDAQ 7.2 (-0.0)

- IT 44.4 (0.0)
- Financial 22.0 (-0.1)
- Refiners & Chemicals 10.1 (-0.0)
- Auto 5.2 (0.0)
- Steel 4.0 (+0.0)
- Cosmetics 1.6 (-0.0)

* Samll-Mid cap / Big cap, 1.34X, +0.00X (1.78X in 2015.07.24)

* Kosdaq loan amount, 5.08 trillion won -0.00 trillion won 
- % of Market cap, 2.06%, -0.00%p (Low 1.5%~2.0% High)

daily_2019.02.11

2019년 2월 11일 데일리

세줄요약

(1) 비둘기파적 연준 인사들이 B/S 축소 종료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미 국채금리가 다시 하락했습니다. 

(2)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소재 업종이 약세를 보이고 REITs, 유틸리티 업종이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3) 미국 상무부가 자동차 관세안을 세가지로 준비했다고 독일 일간지가 보도했습니다. 25%, 10%, 전기차에만 관세를 물리는 방안입니다.

지난글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0.2%(-2.2%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20.6%(+1.6%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Fed, 이미 인플레에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 "금리 올려선 안돼. 좋은 수준에 있다"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비둘기파), "또다시 정부폐쇄 된다면 심리에 큰 영향"
- "B/S 축소 어느 수준에서 종료할지 결정해야"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8%(+0.2%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기준 > 미 2년 국채,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47% (-0.01%p)
미 10년 국채 2.63%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68%p (-0.002%pp)

미 BBB 회사채 4.29% (+0.00%p)
미 하이일드 6.89% (+0.19%p)

이머징 국채 6.42% (+0.11%p)

이머징 주식 8.38% (+0.07%p) 
한국 주식 9.58% (+0.11%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07% (-0.01%p)
- 상향 :
- 하향 : 캐나다, 이탈리아

* 이탈리아 12월 산업생산, 전년비 -2.5%. 예상 -3.3%, 전월 -2.6%
- 프랑스, -1.4%. 예상 -1.4%, 전월 -2.2%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62조달러(-0.02조달러), 순익 3.45조달러(-0.01조달러)
- 순이익률 10.94%(-0.00%p)

5. 52주 최고(25개, -10개) vs. 최저(20개, +4개)

+ 52주 최고

* 글로벌 REITs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시장금리 하락) 
- Equity Residential (미국 REITs), Mirvac Group (호주 REITs)

+ 52주 최저

* 글로벌 소재 (유럽 중심 글로벌 경기 모멘텀 둔화)
- Toray Indu (일본 화학), Thyssenkrupp (독일 철강)

6. News

[기업]

* Hasbro, 미국 유럽 소매재고 큰 폭 감소. Toys'R'US 청산 영향
- 2020년까지 중국생산 60% 축소. 대체 생산지 물색 지속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8 (+0.00%)

* Johnson Control, Brookfield AM 통해 100억달러 차입 예정

[재정]

* 중국 지방정부, 1월 4,179억위안 지방채 발행. 예산 조기집행 목적

[무역]

* 미중, 2월 11일부터 베이징서 무역회담 시작

* 미 상무부, 세 가지 자동차 관세 안 제시 <WIWO>
- 1)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 2) 모든 자동차에 10% 관세 3) 전기차에만 관세

[경협]

* 북미 2차 정상회담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서 개최
-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북한 예전보다 적극적. 추가 실무회담"

[반도체]

* Intel, 아일랜드에 70억유로 투자 제안 <Irish Times>

[원자재]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82.15 (+0.09%) 외인 +1,421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3.20원 (-0.5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25.7 (-0.0) 
- KOSDAQ 7.2 (-0.0)

- 전기전자 44.4 (0.0)
- 금융 22.0 (-0.1)
- 정유화학 10.1 (-0.0)
- 자동차 5.2 (0.0)
- 철강 4.0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34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5.08조원 -0.00조원
- 비중, 2.06%, -0.00%p (저점 1.5%~2.0% 고점)

2019년 2월 8일 금요일

daily_2019.02.08(Eng ver)

daily_2019.02.08

1. Centralbanks

Fed : hike twice in 2019 + continue to shrink balance sheet
- Probability to hike in 2019 3.4%(-2.6%p)
- Probability to cut in 2019 19.0%(+7.0%p)

FOMC

- Most hawkish : 1
- Hawkish : 5
- Neutral : 6
- Dovish : 3
- Most dovish : 2

European Central Bank : stop qunatitative easing in 2019 + hold key rate untill summer
- Probability to hike in 2019 41.6%(+4.6%p)

Bank of Japan : target 10Y JGB yield to 0%

People's Bank of China : prudent and flexible policy

2. Credit Cycle : US high yield rate > Emerging government bond rate

Fed Fund rate : 2.50%  
US 2Y T-bill : 2.48% (-0.04%p)
US 10Y T-Note : 2.65% (-0.04%p)
- US 10Y - 2Y : 0.170% (-0.002%pp)

US BBB corp bond : 4.29% (-0.04%p)
US high yield 6.70% (-0.05%p)

Emerging government bond 6.31% (-0.01%p)

Emerging stock yield 8.31% (+0.02%p) 
Korea stock yield 9.47% (-0.03%p)

3. Macro

G20 GDP growth rate consensus in 2019 : 3.07% (0.00%p)
- Up :
- Down :

4. HiLo in MSCI World Index 52week hig (35, +1 vs. 52week low (16, +11)

+ 52week high

* Global REITs
- Realty Income (US REITs), GDP Group (Australia REITs)

+ 52week low

* European Banks
- CaixaBank (Spain Bank), Societe General (France Bank)


+ Korea Market


* Kospi200 futures on After hours , 287.75 (-0.44%) foreign investors +822constracts 
* KRW 1M NDF 1,123.85 Won (-0.29 Won)

* Net Income consensus in 2019 (trillion won)

- KOSPI 125.7 (-0.1) 
- KOSDAQ 7.2 (-0.1)

- IT 44.4 (+0.2)
- Financial 22.1 (-0.2)
- Refiners & Chemicals 10.1 (-0.0)
- Auto 5.2 (0.0)
- Steel 4.0 (-0.0)
- Cosmetics 1.6 (-0.0)

* Samll-Mid cap / Big cap, 1.34X, -0.03X (1.78X in 2015.07.24)

* Kosdaq loan amount, 5.08 trillion won +0.02 trillion won 
- % of Market cap, 2.06%, -0.03%p (Low 1.5%~2.0% High)

daily_2019.02.08

2019년 2월 8일 데일리

세줄요약

- EU가 올해 유로존과 이탈리아의 성장 전망을 하향했습니다. 유럽 경기우려가 커졌습니다.

- 글로벌 경기우려로 미 2년국채 금리가 기준금리보다 낮아졌습니다. REITs가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 2월말로 예정됐던 미중 정상회담이 무산됐습니다. 백악관이 북미 미중 회담 연계에 회의적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글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4%(-2.6%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19.0%(+7.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콸스 Fed 부의장(중립), "금리 말고도 자산버블 억제할 수단 있다"
- "금융 산업, 충격 흡수에 충분한 여력 있어"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금리인상 중단과 인내심, 경기에 도움"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중립), "B/S 관련 결정 내린다면 비교적 이른 시점에 하게 될 것" <MNI>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6%(+4.6%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기준 > 미 2년 국채,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48% (-0.04%p)
미 10년 국채 2.65%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0%p (-0.002%pp)

미 BBB 회사채 4.29% (-0.04%p)
미 하이일드 6.70% (-0.05%p)

이머징 국채 6.31% (-0.01%p)

이머징 주식 8.31% (+0.02%p) 
한국 주식 9.47%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07% (0.00%p)
- 상향 :
- 하향 :

* EU, 2019년 유로존 경제성장률 전망치 1.9% -> 1.3% 하향
- 이탈리아 1.2% -> 0.2% 하향

* 독일 12월 산업생산, -0.4%. 예상 +0.8%, 전월 -1.3%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64조달러(-0.02조달러), 순익 3.46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0.94%(-0.01%p)

5. 52주 최고(35개, +1개) vs. 최저(16개, +11개)

+ 52주 최고

* 글로벌 REITs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시장금리 하락) 
- Realty Income (미국 REITs), GDP Group (호주 REITs)

+ 52주 최저

* 유럽 은행 (4분기 실적부진 + 유로존 경기우려)
- CaixaBank (스페인 은행), Societe General (프랑스 은행)

6. News

[기업]

* Arcelor Mittal, 올해 전세계 철강수요 소폭 증가할 듯

* Total, 올해 순투자 150억~160억달러 계획. 2018년 156억달러
- 곧 프랑스 가스발전 프로젝트 시작. 영속적인 미 쉐일사업 영위

* Vestas, 올해 매출 107.5억~122.5억달러. 예상 111.4억달러
- CEO, "지난 5개 분기동안 평균 판매가격 안정적"

* L'Oreal, 올해 매출 순익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상
- CEO, "아태 매출, 북미 매출 추월. 중국 둔화 조짐 없어"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8 (+0.17%)

* 지난주 대출펀드서 7.4억달러 순유출 <Lipper>

[재정]

* EU 집행위원장-영국 총리, 브렉시트 합의문 중 국경문제 안전장치 합의 불발

[무역]

* 2월말 미중 정상회담 불발. 북미-미중 정상회담 연계 회의적

[경협]

[반도체]

[원자재]

* 리비아 정부군, 반군 점령 사라라 지역 수복. 생산재개 가능성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87.75 (-0.44%) 외인 +82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3.85원 (-0.29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25.7 (-0.1) 
- KOSDAQ 7.2 (-0.1)

- 전기전자 44.4 (+0.2)
- 금융 22.1 (-0.0)
- 정유화학 10.1 (-0.0)
- 자동차 5.2 (0.0)
- 철강 4.0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34배, -0.03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5.08조원 +0.02조원
- 비중, 2.06%, -0.03%p (저점 1.5%~2.0% 고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