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11.18

 2025년 11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아마존이 160억달러 규모 회사채를 3년 만에 발행합니다. 


(2) 사모 크레딧 시장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며 미 지역은행 주식이 급락했습니다.  


(3) 피터 틸이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했다고 공개하며 필반도 1.7% 내렸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42% (오전 6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60.31원 (-0.34원)

테더 1,504.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76%(+0.00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제퍼슨 Fed 부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노동시장 약해졌다. 리스크 균형에 변화"


* 월러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인플레 가속 요인 안보여. 고용 수요 공급보다 빠르게 떨어져"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4%(+0.04%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71%, 프랑스 3.45%, 이탈리아 3.44%)


* ECB 부의장, "금융 안정 리스크 고조돼 있어"


일본은행 


* 일본 총리-일본은행 총재 오늘 회동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8% (+0.01%p) 

미 2년 국채 3.60% (0.00%p)

미 10년 국채 4.13%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5%p (-0.018pp)


미 BBB 회사채 5.21% (-0.01%p)

미 하이일드 6.88% (-0.03%p)


이머징 국채 6.51% (-0.02%p)

이머징 주식 6.41% (+0.11%p) 

한국 주식 9.03% (-0.18%p) 


한국 3년 국채 2.90% (-0.05%p)

한국 10년 국채 3.30%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95%p (+0.020%p)


한국 3년 IRS 금리 2.90%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7개 -6개)


* 미 정유사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

- Valero (미국 정유), Phillips66 (미국 정유)


52주 최저 (55개 -2개)


* 미 중소형 S/W (AI 관련 우려)

- Strategy (미국 S/W), HubSpot (미국 S/W)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5.7 (0.0) 

- KOSDAQ 10.5 (0.0)


- 전기전자 130.3 (+0.4)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0.9 (0.0)


- 정유화학 6.9 (+0.1)

- 조선건설기계 11.6 (-0.0)

- 철강 2.4 (0.0)

- 금융 36.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mazon, 160억달러 규모 회사채 발행


* J&J, 항암 바이오테크 Halda 30억달러에 현금 인수


* Novo Nordisk, 비만 치료제 현금가 Eli Lilly보다 낮춰


<펀드>


* 피터 틸 헤지펀드, Nvidia 보유지분 전량 매각


<정책, 지표>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11.17

 2025년 11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9월 고용지표가 20일 발표되는 가운데 주식시장은 혼조세를 이어갔습니다.


(2) DDR5 현물가격이 이틀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3) 외환당국의 조치 이후 NDF에서 원/달러 환율이 1,450원을 하회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42% (오전 6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6.40원 (-4.95원)

테더 1,50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68%(+0.01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추가 금리인하 인플레 높일 수 있다"


* 댈러스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고용시장, 9월보다 균형적으로 보인다"

- "추가 보험적 인하 불필요해"


한국은행


* 외환금융 당국, 국민연금 등 주요 수급주체들과 환율 안정방안 마련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72%, 프랑스 3.45%, 이탈리아 3.47%)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8% (+0.01%p) 

미 2년 국채 3.60% (+0.01%p)

미 10년 국채 4.14%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43%p (+0.015pp)


미 BBB 회사채 5.22% (+0.03%p)

미 하이일드 6.91% (+0.10%p)


이머징 국채 6.53% (-0.01%p)

이머징 주식 6.30% (+0.00%p) 

한국 주식 9.21% (+0.44%p) 


한국 3년 국채 2.95% (+0.03%p)

한국 10년 국채 3.33% (+0.07%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75%p (+0.040%p)


한국 3년 IRS 금리 2.92%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83개 -121개)


* 미 정유사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

- Valero (미국 정유), Phillips66 (미국 정유)


52주 최저 (57개 +28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5.7 (+3.4) 

- KOSDAQ 10.5 (-0.2)


- 전기전자 129.9 (+1.9)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0.9 (-0.1)


- 정유화학 6.8 (+0.0)

- 조선건설기계 11.6 (0.0)

- 철강 2.4 (0.0)

- 금융 36.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대기업 총수들, 약 700조원 투자 약속


* Google, 텍사스에 신규 데이터센터 400억달러 투자


* 중국 상무부, 네덜란드 경제장관에 반도체 밸류체인 시스템 리스크 우려 전달


<펀드>


* Berkshire, Alphabet 49억달러 투자


<정책, 지표> 


* 미 노동부, 11월 20일에 9월 고용지표 발표 예정


* 중국 정부, 자국민들의 일본 방문 자제 권고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Column_100베거_2025.11.15

 <100베거>

 

- 100배 주식의 법칙 -

 

* 주식시장이 좋아서인 것 같은데, 사람들은 10배 오르는 주식이 아니라 100배 오르는 주식을 찾고 있습니다. 찾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들도 많이 나와 있어서 공통점으로 몇 가지를 지목합니다.

 

- 충분히 작아야 한다 -

 

* 주가가 100배나 오르려면 성장하기 충분할 만큼작아야 합니다. 그런 주식들은 대부분 상장돼 있지 않아서 잘 눈에 띄지 않습니다.

 

* 한국 주식들 중에 100배 오른 주식들은 지금도 시가총액이 크지 않습니다. 한올바이오, 영원무역홀딩스가 2조원 정도 됩니다. 오르기 시작할 때 충분히 작았다는 겁니다.

 

- 유명하지 않아야 한다 -

 

* 100배 오른 주식들 중에 조선기자재 같은 시클리컬들이 끼어 있는 건 우연이 아닙니다. 회사가 IR에 관심이 없어야 하고 매니저들이 찾아가기 귀찮을 만큼 멀리 있어야 합니다.

 

* 그런 주식들이 급등한 시기는 우연치 않게 KTX가 개통과 맞물립니다. KTX 서울~부산 노선은 2004 1월에 열렸고, 지방에 가기 쉬워지면서 2000년대 중후반 시클리컬 랠리에 불이 붙었습니다.

 

- 생산성이 높아야 한다 -

 

* 경영자가 R&D 마인드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제품의 생산성이 높고 장기적으로 매출이 늘어납니다. 2010년 이후 100베거에 근접한 종목들이 바이오에 많은 게 이런 주장을 뒷받침합니다.

 

- 약간의 심리의 기술 -

 

* 책들은 100배 오르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린다고 알려주진 않습니다. 팔지 않아야 한다는 식으로 약간 무성의한 태도를 보이는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마켓타이밍을 제시합니다. 사람들이 싫어해서 주가를 골로 보낼 때 사면 100배까지 오르는 시간이 단축됩니다.

 

* 사실 작고, 유명하지 않고, 기술만 있는 주식들은 사람들의 오해를 쉽게 삽니다. 유동성이 조금만 긴축돼도 망할 것 같아 보이기 십상입니다. 이때 망하지는 않을 거라는 작은 증거를 찾을 수만 있다면 100배는 수월해집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11월 14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11.14

 2025년 11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관계자들이 인플레를 경계하고 12월 인하 가능성이 50%를 밑돌며 주가가 내렸습니다.


(2) 텐센트 CEO가 내부용 GPU는 충분하다고 말했습니다.


(3) 사모펀드 아폴로 글로벌이 AI S/W 기업 대출 가치가 23%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2.17% (오전 6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68.40원 (+2.40원)

테더 1,526.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50%(+0.01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12월 금리인하에 강하게 끌리지 않는다"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금리 중립에 가까워지고 있어 신중할 필요"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없음), "인플레 낮추기 위해 약간 억제적일 필요"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8%, 프랑스 3.41%, 이탈리아 3.41%)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0%p) 

미 2년 국채 3.59% (+0.00%p)

미 10년 국채 4.12%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8%p (+0.014pp)


미 BBB 회사채 5.19% (+0.05%p)

미 하이일드 6.81% (+0.06%p)


이머징 국채 6.54% (+0.04%p)

이머징 주식 6.30% (-0.02%p) 

한국 주식 8.75% (-0.04%p) 


한국 3년 국채 2.92% (+0.01%p)

한국 10년 국채 3.26%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35%p (-0.015%p)


한국 3년 IRS 금리 2.88%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04개 +24개)


* 글로벌 금융 (금리상승과 스타일 로테이션)

- KB 금융 (한국 은행), Nomura Hldgs (일본 금융)


52주 최저 (29개 +9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2.3 (-0.2) 

- KOSDAQ 10.7 (0.0)


- 전기전자 128.0 (+0.1)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8 (+0.1)

- 조선건설기계 11.6 (-0.0)

- 철강 2.4 (+0.0)

- 금융 36.1 (+0.2)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Tencent CEO, "내부용 GPU는 충분. 외부용은 일부 제한"


* xAI, 시리즈 E에 150억달러 조달


* AI 코딩 스타트업 Cursor, 293억달러 밸류에 23억달러 조달 


* 가상자산 운용사 Grayscale Investment IPO 신청


<펀드>


* Apollo Global, "AI S/W 기업 Medallia향 사모대출 가치 23% 하락" 


<정책, 지표> 

2025년 11월 12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11.12

 2025년 11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소프트뱅크가 AI 투자를 위해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처분했다고 밝혔습니다.


(2) 미 증시는 로테이션이 나타나며 다우지수, 헬스케어 업종이 올랐습니다.


(3) AMD가 향후 3~5년간 AI 데이터센터 매출이 8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8.87원 (-3.38원)

테더 1,495.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08%(-0.01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한국은행


* 금통위원들, 주택시장 우려. 소수 인하 시급성 지적 <10월 의사록>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2%(+0.02%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5%, 프랑스 3.42%, 이탈리아 3.40%)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3.87% (0.00%p) 

미 2년 국채 3.59% (0.00%p)

미 10년 국채 4.11%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5%p (0.000pp)


미 BBB 회사채 5.17% (-0.01%p)

미 하이일드 6.78% (-0.13%p)


이머징 국채 6.52% (-0.03%p)

이머징 주식 6.33% (-0.08%p) 

한국 주식 8.90% (-0.06%p) 


한국 3년 국채 2.82% (-0.04%p)

한국 10년 국채 3.19%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70%p (+0.002%p)


한국 3년 IRS 금리 2.77%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80개 +22개)


* 글로벌 금융 (금리상승과 스타일 로테이션)

- KB 금융 (한국 은행), American Express (미국 카드)


52주 최저 (20개 -11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이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92.5 (+0.4) 

- KOSDAQ 10.7 (-0.1)


- 전기전자 127.9 (-0.7)

- 커뮤니케이션 8.1 (+0.0)

- 자동차 19.9 (0.0)

- 화장품 1.0 (-0.0)


- 정유화학 6.7 (+0.1)

- 조선건설기계 11.6 (+0.0)

- 철강 2.4 (0.0)

- 금융 35.9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Softbank, 10월에 Nvidia 지분 58.3억달러에 처분 

- CFO, "AI 투자확대 목적"


* AMD CEO, "향후 3~5년 간 매출 연평균 35% 증가 전망"

- "이 기간 AI 데이터센터 매출 80% 증가 전망"


* CoreWeave, 올해 매출 가이던스 53.5억달러 -> 50.5억~51.5억달러 하향

- CEO, "3자 데이터센터 지연으로 고객 계약 연기"


<펀드>


<정책, 지표> 


* 미 하원, 셧다운 종료 위한 상원 법안 표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