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2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3.12

 2025년 3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주식시장이 헤지 수요가 여전한 가운데 고점대비 -10%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2) 공화당이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감세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3) 미 1월  JOLTS 구인자수가 예상과 달리 증가하며 금리가 올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9.26원 (-4.8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23%(+0.00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3%(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89%, 이탈리아 4.01%, 스프레드 1.12%p)


* 핀란드 중앙은행장, "국방지출이 ECB 금리인하 속도 늦추지 않을 것"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4% (+0.05%p)

미 10년 국채 4.28%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31%p (-0.001pp)


미 BBB 회사채 5.46% (+0.10%p)

미 하이일드 7.49% (+0.27%p)


이머징 국채 7.31% (+0.12%p)

이머징 주식 6.93% (+0.09%p) 

한국 주식 10.05% (+0.12%p) 


한국 3년 국채 2.55% (-0.04%p)

한국 10년 국채 2.75%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07%p (-0.005%p)


한국 3년 IRS 금리 2.53%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31개 -47개)


* 글로벌 국방 (유럽 국방 투자)

- Aselsan Elektronik (터키 국방), 한국항공우주 (한국 국방)


52주 최저 (75개 +23개)


* 미 기술주 (실적우려 등장)

- AMD (미국 반도체), Hewlett Packard (미국 IT H/W)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7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미 대통령, "Tesla 구매할 것. 사람들이 Tesla CEO 부당하게 대해"


<펀드>


<정책, 지표> 


* 미 1월 JOLTS 구인자수, 774만명. 예상 760만명, 전월 750.8만명


* 독일 녹색당수, 이번주 국방 합의 희망


* 우크라이나, 미국의 30일 휴전 제안 수용


2025년 3월 11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3.11

 2025년 3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1분기 매출이 줄었을 것이라는 예상으로 테슬라 주가가 15% 급락했습니다.


(2) 헤지펀드와 CTA의 매도강도가 이번주 완화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3) 지수 하락으로 S&P500 예상 PER이 20배까지 떨어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8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6.73원 (+1.6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18%(-0.004%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불확실성 높아진 가운데 금리 위치는 적절"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3%(+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83%, 이탈리아 3.96%, 스프레드 1.13%p)


* 독일중앙은행장, "다음 회의 결과 예측하지 않아. 금리인하 자동적으로 결정되지 않아"


일본은행 


* 일본은행 총재, 기업과 노조에 높은 임금 상승률 요청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89% (-0.11%p)

미 10년 국채 4.22% (-0.08%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31%p (+0.030pp)


미 BBB 회사채 5.36% (-0.08%p)

미 하이일드 7.22% (-0.13%p)


이머징 국채 7.19% (-0.12%p)

이머징 주식 6.84% (+0.00%p) 

한국 주식 9.92% (-0.03%p) 


한국 3년 국채 2.59% (+0.03%p)

한국 10년 국채 2.80%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2%p (+0.015%p)


한국 3년 IRS 금리 2.56%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8개 +7개)


* 글로벌 제약 (경기방어적 성격)

- Roche (스위스 제약), AbbVie (미국 제약)


52주 최저 (52개 +14개)


* 미 기술주 (실적우려 등장)

- MongoDB (미국 S/W), Hewlett Packard (미국 IT H/W)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7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Oracle, 회계연 3분기 클라우드인프라 매출 27억달러. 예상 27.1억달러 


* Apple, 완성 AI Siri 발표 내년으로 연기

- "주요 S/W 개편 준비돼 있다" 


* Tesla CEO, "X, 중대한 사이버 공격 받아"


<펀드>


<정책, 지표> 


* 독일 녹색당, 군사비 지출 확대 반대

2025년 3월 10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03.10

 2025년 3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2월 비농업 고용이 예상을 소폭 밑돌면서 전날 급락한 금리가 반등했습니다.


(2) 침체를 우려하던 주식시장도 나스닥을 중심으로 반등했습니다.


(3) 미 정부가 세금으로 가상자산을 매입하진 않을 것으로 전해져 코인이 급락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3%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5.22원 (-4.23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22%(+0.02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Fed, 서두를 필요 없다. 더 확실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어"

- "인플레 2%로 가는 과정은 들쭉날쭉할 것"

- "관세, 단기 인플레 기대 높이는 중" 


* 쿠글러 Fed 이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최근 기대 인플레 상승. 금리동결 적절"

- "주요 인플레 항목들, 2% 목표 향한 진전 보여주지 못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2%(+0.02%p)


* 인민은행, 2025년 지급준비율 0.5~1.0%p 인하할 듯 <신화통신>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83%, 이탈리아 3.95%, 스프레드 1.12%p)


일본은행 


* 일본은행 부총재, "회의 때마다 금리인상하진 않을 것"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4.00% (+0.03%p)

미 10년 국채 4.30%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01%p (-0.018pp)


미 BBB 회사채 5.44% (+0.04%p)

미 하이일드 7.35% (+0.17%p)


이머징 국채 7.31% (+0.09%p)

이머징 주식 6.84% (-0.10%p) 

한국 주식 9.95% (+0.05%p) 


한국 3년 국채 2.56% (-0.03%p)

한국 10년 국채 2.76%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97%p (-0.013%p)


한국 3년 IRS 금리 2.54%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1개 -42개)


* 한국 방산 (유럽발 특수 기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 방산), 한국항공우주 (한국 방산)


52주 최저 (38개 -13개)


* 미 기술주 (실적우려 등장)

- MongoDB (미국 S/W), Hewlett Packard (미국 IT H/W)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7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미 가상화폐 책임자, "세금을 가상화폐 취득에 사용하지 않을 것"

- 미 대통령, 디지털 자산 비축을 위한 행정명령 서명


* SK하이닉스, 이미지센서 부서 직원 AI 메모리로 이동


<펀드>


<정책, 지표> 


* 미 2월 비농업 고용자수, 15.1만명 증가. 예상 16.0만명, 전월 12.5만명

- 실업률, 4.1%. 예상 4.0%, 전월 4.0%


* 중국 2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0.7% 하락. 예상 -0.4%, 전월 +0.5%

- 1년 만에 마이너스 전환

2025년 3월 8일 토요일

Column_생경한 대한민국(2)_2025.03.08

  

- 더 낯설어지다 -

 

* 2025년 대한민국은 작년보다 더 낯설어졌습니다. 2023년까지의 모든 변화보다 2024년부터의 변화가 더 큰 것 같습니다. 예전보다 변화를 못 따라가고 있어서 그렇게 느껴지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 작년 우리나라 법인 파산은 1,940건으로 법인 회생 1,700건 보다 많았습니다. 파산이 회생보다 많아진 건 2020년부터인데, 사업하는 사람들이 근성이 없어진 게 아니라 똑똑해진 것 같습니다. 해도 안된다는 걸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 방향에서 위치까지 바뀌다 -

 

* 2024년 쿠팡 혼자 40조원 매출을 올릴 동안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다 합쳐서 매출 41조원 했습니다. 쿠팡은 더 잘 할거고 홈플러스는 더 못할 거니까 올해 뒤집어지는 건 확정입니다.

 

* 전세계 데이터센터 투자는 연 29%씩 성장해 2029년에 1조달러에 도달할 전망입니다. 전세계 부동산 투자가 한해 1조달러입니다. 4년 뒤면 현실의 공간보다 가상의 공간 투자가 더 많아집니다.

 

- 능력 양극화 -

 

* 올해부터 AI를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AI가 전문가가 되는 것보다 전문가가 AI를 쓰는 게 쉽습니다.

 

* 그러니 소득 양극화, 자산 양극화처럼 능력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고, 애매하면 애매한 상태로 남기보다 그냥 사라질 겁니다. AI를 못 쓰는 자 도태될 것입니다. 걱정이 또 하나 늘었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3월 7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3.07

 2025년 3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몽고DB와 마블테크놀로지가 예상을 크게 밑도는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미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2) 미국 2월 해고 발표가 코로나 이후 최대로 증가하며 경기우려가 제기됐습니다.


(3) VIX가 25.3까지 올라 작년 12월 18일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1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5.09원 (-2.4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02%(-0.01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월러 Fed 이사 (매파 투표권있음), "3월에 금리인하 생각하지 않고 있다"

- "올해 두 차례 인하 전망에 잘못 된 것 없어"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불확실성 감안했을 때 빨리 움직이길 원치 않아"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0%(+0.02%p)


* 인민은행 총재, "미국이 추가 관세 부과시 대응할 것"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83%, 이탈리아 3.95%, 스프레드 1.12%p)


* ECB, 기준금리 2.5%로 25bp 인하

- "금리, 의미있게 덜 제약적이 됐다"

- 총재, "내년 매우 이른 시점에 인플레 2% 도달"


* ECB 위원들, 4월 금리인하 동결 두고 의견 갈릴 듯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6% (-0.03%p)

미 10년 국채 4.28%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19%p (+0.040pp)


미 BBB 회사채 5.40% (-0.02%p)

미 하이일드 7.17% (-0.09%p)


이머징 국채 7.22% (-0.04%p)

이머징 주식 6.95% (-0.16%p) 

한국 주식 9.90% (-0.06%p) 


한국 3년 국채 2.59% (+0.02%p)

한국 10년 국채 2.80%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0%p (+0.009%p)


한국 3년 IRS 금리 2.57%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3개 +18개)


* 유럽 은행 (유럽 금리 상승)

- Societe General (프랑스 은행), UniCredit (이탈리아 은행)


52주 최저 (51개 +22개)


* 미 기술주 (실적우려 등장)

- MongoDB (미국 S/W), On Semi (미국 반도체)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7 (+0.1)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Marvell Technology, 1분기 조정 EPS 가이던스 0.56~0.66달러 제시. 예상 0.60달러


* MongoDB, 2026년 조정 EPS 가이던스 2.44~2.62달러 제시. 예상 3.37달러


<펀드>


<정책, 지표> 


* 미 2월 해고 발표, 전년대비 103% 증가한 17.2만명 <Challenger, Gray>

- 2020년 7월 이후 최대 규모 

- 2월 기준 2009년 이후 최대


* 미 정부, 캐나다 멕시코 관세 적용 4월 2일까지 유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