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 토요일

Column_50/30/20_2025.04.12

  

- 블랙록 -

 

* 지난달 블랙록은 주식과 채권에 6040 또는 4060으로 배분하던 걸 5030 또는 3050으로 배분하고 남는 20을 대체자산에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1) 전통자산의 수익률이 낮아졌고 2) 주식과 채권 간 상관관계가 높아졌고 3) 대체자산의 접근성이 좋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 높아진 인플레 -

 

* 주식과 채권에 자금을 배분할 때엔 물가가 2% 안팎으로 오르는 디스인플레이션 상황을 가정합니다. 물가가 살짝 오르면 주식, 살짝 내리면 채권이 좋은데 앞으로 기본 물가 상승률이 2%보다 높아질 것 같으니 인플레를 반영하는 자산을 추가해야 합니다.

 

* 이미 사모대출, 인프라처럼 물가가 오르면 현금흐름에 바로 반영시킬 수 있는 자산의 인기가 높고 개인 투자자들도 이런 자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대출, 인프라뿐 아니라 벤처, 부동산, 코인에도 접근할 길이 열렸습니다. 괜히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을 ETF에 넣은 게 아닙니다.

 

- 블랙스톤 -

 

* 블랙록은 사모펀드 블랙스톤에서 시작했습니다. 블랙스톤 안에서 채권과 리스크를 관리하던 회사였는데, 블랙록의 래리 핑크가 블랙스톤 지분을 더 달라는 걸 스티브 슈워츠먼 블랙스톤 회장이 막았습니다. 핑크는 분사해서 나갔습니다.

 

* 블랙록의 시가총액은 1,330억달러, 블랙스톤의 시가총액은 1,560억달러입니다. 올해 블랙록은 블랙스톤보다 돈을 더 벌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내년엔 뒤집힙니다. 돈은 대체자산에서 벌리는 것 같습니다. 블랙스톤 PER34배로 골드만삭스 PER11배의 3배가 넘습니다.

 

* 요즘 주식과 채권이 또 같이 빠집니다. 관세, 미 재정적자 등을 얘기할 수 있는데, 대체자산에 비중을 나눠줘야 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4월 10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04.10

 2025년 4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가 보복하지 않은 나라들에 대한 관세를 90일 유예했습니다.


(2) 베센트가 동맹국들과 협상한 뒤 중국에 공동대응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3) VIX가 52에서 33으로 급락했습니다. 역외 위안/달러는 7.42에서 7.34로 하락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5.2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3.64원 (-28.4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6월 18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09%(+0.21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FOMC, 3월 회의서 스태그플레이션 위험 경고 <의사록>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없음), "관세로 금리인하의 허들 높아졌다"


* 리치몬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관세, 인플레이션과 고용 모두 영향"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시장 위축됐지만 작동하는 중"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7%(-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9%, 이탈리아 3.88%, 스프레드 1.29%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2% (+0.19%p)

미 10년 국채 4.34%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23%p (-0.139pp)


미 BBB 회사채 5.78% (+0.07%p)

미 하이일드 8.65% (-0.11%p)


이머징 국채 7.83% (+0.02%p)

이머징 주식 8.82% (-0.05%p) 

한국 주식 11.16% (+0.16%p) 


한국 3년 국채 2.43% (+0.02%p)

한국 10년 국채 2.72%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95%p (+0.031%p)


한국 3년 IRS 금리 2.33%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6개 +2개)


52주 최저 (336개 +96개)


* 미 주택건설 (미국 경기우려 증폭)

- DR Horton (미국 주택건설), Lennar (미국 주택건설)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4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Volkswagen, 1분기 매출 780억유로. 예상 785억유로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보복하지 않은 나라들에 90일 관세 유예 조치

- 이 기간 최저 관세 10% 적용 

- 대중국 관세 125%로 인상. 즉시 적용

- "대중국 관세 추가 인상 상상하기 어렵다"


* 미 재무장관, "동맹국들과 협상한 뒤 중국에 공동 대응할 것"

- 중국에 위안화 절하하지 말 것을 권고


2025년 4월 9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4.09

 2025년 4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중간 관세분쟁이 치킨게임 양상을 띠면서 S&P500이 장중 6.7% 움직였습니다.


(2) 역외에서 위안/달러 환율이 7.4위안까지 올랐고 원/달러도 1.480원을 상회했습니다.


(3) 미 재무장관이 협상 우선 대상국을 정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5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84.50원 (+3.8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6월 18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899%(-0.113%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대규모 관세 보복으로 인플레 다시 높아질 수 있다"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불확실한 환경에서 정책 좋은 위치"


한국은행


* 한은, "미 관세의 수출 영향, 4월 이후 나타날 것"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8%(+0.13%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3%, 이탈리아 3.85%, 스프레드 1.22%p)


일본은행 


* 일본 민주당, "미 관세, 경제 영향시 금리인하 해야 할 수도"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72% (+0.01%p)

미 10년 국채 4.28% (+0.1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62%p (+0.144pp)


미 BBB 회사채 5.71% (+0.16%p)

미 하이일드 8.76% (+0.26%p)


이머징 국채 7.81% (+0.16%p)

이머징 주식 8.87% (+0.78%p) 

한국 주식 11.00% (-0.02%p) 


한국 3년 국채 2.41% (+0.01%p)

한국 10년 국채 2.67%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64%p (+0.022%p)


한국 3년 IRS 금리 2.34%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4개 +4개)


52주 최저 (240개 -420개)


* 경기소비재 (글로벌 경기우려 증폭)

- 현대차 (한국 자동차), Las Vegas Sands (미국 카지노)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4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Micron, 관세관련 비용 제품가격에 반영 


<펀드>


<정책, 지표> 


* 미 백악관 대변인, "대중국 관세 104% 부과 진행"

- 중국, "미국, 관세 부과시 반격하겠다. 끝까지 싸울 것"


* 중국 정부, Shein에 공급망 전환 중단 촉구


* 미 재무장관, "어젯밤 어느나라와 우선 협상할지 논의"

2025년 4월 8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4.08

 2025년 4월 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MSCI AC World 종목 2,000개 중 52주 신고가가 0개 신저가가 660개를 기록했습니다.


(2) 브로드컴 CATL이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3) 트럼프가 중국이 관세를 철회할 때까지 모든 대화를 중단한다고 말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9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67.99원 (-4.0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6월 18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12%(+0.034%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쿠글러 Fed 이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관세, 인플레이션에 시급한 영향"


한국은행


* 한은, "미 관세 불확실성 높다.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 즉각 시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5%(0.00%p)


* 중국서 위안화 평가절하 루머 돌아 <블룸버그>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1%, 이탈리아 3.86%, 스프레드 1.25%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71% (+0.06%p)

미 10년 국채 4.18% (+0.1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18%p (+0.076pp)


미 BBB 회사채 5.54% (+0.26%p)

미 하이일드 8.49% (+0.55%p)


이머징 국채 7.65% (+0.34%p)

이머징 주식 8.08% (-0.02%p) 

한국 주식 11.06% (+0.61%p) 


한국 3년 국채 2.40% (-0.06%p)

한국 10년 국채 2.64%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42%p (+0.015%p)


한국 3년 IRS 금리 2.33% (-0.08%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0개 -44개)


52주 최저 (660개 +287개)


* 경기소비재 (글로벌 경기우려 증폭)

- Honda (일본 자동차), Las Vegas Sands (미국 카지노)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4 (0.0)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Broadcom, 100억달러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 Apple, 관세로 인도로부터 iPhone 제조 확대 계획 <WSJ> 


* CATL, 40억~80억 위안 A주 자사주 매입 계획


<펀드>


* 중국 국부펀드, ETF 보유 확대 계획 발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중국이 관세 철회할 때까지 모든 대화 중단"

- "4월9일부터 중국에 50% 추가 관세 부과할 수도"

- "일본 총리와 대화 시작"


* 미 재무장관, "일본, 빠른 답변 우선권 갖게 될 것"

2025년 4월 7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04.07

 2025년 4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VIX가 45까지 올라 2020년 4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2) 파월이 트럼프의 금리인하 요구를 일축하고 관세의 영향을 인플레에 맞췄습니다.


(3) 헤지펀드들이 글로벌 주식에 대해 넷 숏 포지션으로 전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3.6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7.13원 (-5.0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6월 18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978%(-0.09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관세 경제적 영향 예상보다 훨씬 클 것. 서두를 필요 없다"

- "관세로 인한 인플레 일시적일 수도 있으나 더 지속될 수도" 


* 월러 Fed 이사 (매파 투표권있음), "스테이블 코인, 시스템에 경쟁과 속도 가져다줄 것"


* 바 Fed 부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AI 단기적으로 과열. 장기적으로 유용할 것"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5%(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7%, 이탈리아 3.76%, 스프레드 1.19%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65% (-0.04%p)

미 10년 국채 3.99%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42%p (+0.004pp)


미 BBB 회사채 5.28% (+0.04%p)

미 하이일드 7.94% (+0.36%p)


이머징 국채 7.31% (+0.12%p)

이머징 주식 8.10% (+0.08%p) 

한국 주식 10.45% (+0.10%p) 


한국 3년 국채 2.46% (-0.08%p)

한국 10년 국채 2.69%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27%p (+0.026%p)


한국 3년 IRS 금리 2.41% (-0.1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44개 -43개)


* 경기방어주 (글로벌 경기우려 증폭)

- East Japan Railway (일본 철도), Toho (일본 필름TV)


52주 최저 (373개 +133개)


* 경기민감주 (글로벌 경기우려 증폭)

- Ingersoll Rand (미국 유량제어장비), Illinois Tool Works (미국 복합산업재)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4 (+0.1)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미 행정부, 바이든 시절 시행한 비만약 메디케어 커버리지 제외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외국인 투자자들에 정책 변경 가능성 일축

- "Fed 의장, 금리 인하하기에 완벽한 타이밍"  


* 미 재무장관, "관세, 경기침체 리스크 유발하지 않는다"


* Tesla CEO, "미국-유럽 제로 관세로 나아가길 희망"


* 미 3월 비농업 고용자수, 22.8만명 증가. 예상 +14.0만명, 전월 +15.1만명

- 실업률, 4.2%. 예상 4.1%, 전월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