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7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3.07

 2025년 3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몽고DB와 마블테크놀로지가 예상을 크게 밑도는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하며 미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2) 미국 2월 해고 발표가 코로나 이후 최대로 증가하며 경기우려가 제기됐습니다.


(3) VIX가 25.3까지 올라 작년 12월 18일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1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5.09원 (-2.4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02%(-0.01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월러 Fed 이사 (매파 투표권있음), "3월에 금리인하 생각하지 않고 있다"

- "올해 두 차례 인하 전망에 잘못 된 것 없어"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불확실성 감안했을 때 빨리 움직이길 원치 않아"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80%(+0.02%p)


* 인민은행 총재, "미국이 추가 관세 부과시 대응할 것"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83%, 이탈리아 3.95%, 스프레드 1.12%p)


* ECB, 기준금리 2.5%로 25bp 인하

- "금리, 의미있게 덜 제약적이 됐다"

- 총재, "내년 매우 이른 시점에 인플레 2% 도달"


* ECB 위원들, 4월 금리인하 동결 두고 의견 갈릴 듯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6% (-0.03%p)

미 10년 국채 4.28%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19%p (+0.040pp)


미 BBB 회사채 5.40% (-0.02%p)

미 하이일드 7.17% (-0.09%p)


이머징 국채 7.22% (-0.04%p)

이머징 주식 6.95% (-0.16%p) 

한국 주식 9.90% (-0.06%p) 


한국 3년 국채 2.59% (+0.02%p)

한국 10년 국채 2.80% (+0.03%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0%p (+0.009%p)


한국 3년 IRS 금리 2.57%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3개 +18개)


* 유럽 은행 (유럽 금리 상승)

- Societe General (프랑스 은행), UniCredit (이탈리아 은행)


52주 최저 (51개 +22개)


* 미 기술주 (실적우려 등장)

- MongoDB (미국 S/W), On Semi (미국 반도체)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7 (+0.1) 

- KOSDAQ 5.8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Marvell Technology, 1분기 조정 EPS 가이던스 0.56~0.66달러 제시. 예상 0.60달러


* MongoDB, 2026년 조정 EPS 가이던스 2.44~2.62달러 제시. 예상 3.37달러


<펀드>


<정책, 지표> 


* 미 2월 해고 발표, 전년대비 103% 증가한 17.2만명 <Challenger, Gray>

- 2020년 7월 이후 최대 규모 

- 2월 기준 2009년 이후 최대


* 미 정부, 캐나다 멕시코 관세 적용 4월 2일까지 유예

2025년 3월 6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03.06

 2025년 3월 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S&P500지수가 200일 이평선을 이틀 연속 터치한 뒤 반등했습니다. 


(2) 독일 정부가 적극적인 국방지출 계획을 공개하며 10년 금리가 30bp 뛰었습니다.


(3) OPEC+의 증산, 관세 우려 등으로 WTI가 6개월래 최저로 떨어졌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07%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42.20원 (-3.3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13%(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8%(-0.17%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79%, 이탈리아 3.90%, 스프레드 1.11%p)


일본은행 


* 일본은행 부총재, "매 회의때마가 금리인상할 것 같진 않아"

- "봄 임금 협상에서 견고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 커"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9% (+0.04%p)

미 10년 국채 4.27%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80%p (+0.010pp)


미 BBB 회사채 5.41% (+0.05%p)

미 하이일드 7.25% (-0.01%p)


이머징 국채 7.25% (+0.01%p)

이머징 주식 7.11% (+0.14%p) 

한국 주식 9.96% (-0.11%p) 


한국 3년 국채 2.57% (+0.03%p)

한국 10년 국채 2.77% (+0.07%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01%p (+0.036%p)


한국 3년 IRS 금리 2.56%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5개 -5개)


* 유럽 은행 (유럽 금리 상승)

- Societe General (프랑스 은행), UniCredit (이탈리아 은행)


52주 최저 (29개 -88개)


* 글로벌 에너지 (국제유가 6개월래 최저 하락)

- ConocoPhillips (미국 에너지), China Petroleum (중국 에너지)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6 (0.0) 

- KOSDAQ 5.8 (-0.1)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펀드>


<정책, 지표> 


* 미 정부, 멕시코-캐나다에 자동차 관세 1달 유예


* 독일, EU에 국방비 확대 위해 재정준칙 완화 촉구


* 미 2월 ISM 서비스업지수, 53.5. 예상 52.5, 전월 52.8

2025년 3월 5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3.05

 2025년 3월 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독일이 5,000억유로 국방펀드를 조성하고 이를 위해 부채한도를 조정합니다.


(2) 미 재무장관이 금융시장보다 실물경제가 중요하다고 발언해 장막판 반등이 약해졌습니다.  


(3) 아람코가 올해 배당을 32% 축소해 사우디 재정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0.90원 (-8.05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13%(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뉴욕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관세 요인이 물가에 영향주기 시작"

- "지금 정책에 변화를 줄 필요는 없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8%(-0.17%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49%, 이탈리아 3.62%, 스프레드 1.13%p)


일본은행 


* 일본 총리, "일본 정부, 엔화 약세를 통한 부당한 이득 추구하지 않는다"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5% (-0.00%p)

미 10년 국채 4.21%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59%p (+0.054pp)


미 BBB 회사채 5.36% (+0.05%p)

미 하이일드 7.25% (+0.15%p)


이머징 국채 7.23% (+0.08%p)

이머징 주식 6.97% (-0.00%p) 

한국 주식 10.11% (+0.02%p) 


한국 3년 국채 2.54% (-0.02%p)

한국 10년 국채 2.70%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65%p (+0.025%p)


한국 3년 IRS 금리 2.52%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00개 -65개)


* 글로벌 국방 (유럽 국방비 투자)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한민국 국방), Thales (프랑스 국방)


52주 최저 (117개 +22개)


* 미국 AI 밸류체인 (AI 투자 둔화 우려)

- Mircosoft (미국 S/W), AMD (미국 반도체)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6 (0.0) 

- KOSDAQ 5.9 (0.0)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사우디 Aramco, 2025년 배당 1,240억달러 -> 850억달러 축소 계획

- 사우디 아라비아 재정에도 영향 불가피 


<펀드>


<정책, 지표> 


* 독일, 5,000억유로 규모 특별 국방펀드 설립

- 국방비 조달 위해 정부부채 한도 개편 계획


* 러시아 대통령, 미국-이란 핵협상 중재 의향 


* 우크라이나, 미국과 광물협정 서명 계획 <로이터>

2025년 3월 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3.04

 2025년 3월 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2월 ISM 제조업지수가 관세 우려로 예상을 밑돌았습니다.


(2) ISM 부진으로 미 금리선물이 연말 세 차례 금리인하 가능성을 반영했습니다.


(3) 미 주식시장이 경기민감주들을 중심으로 어제 오른 것 이상으로 내렸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57.84원 (-2.4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3월 19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313%(-0.009%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1명 

- 극비둘기파 : 4명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없음), "완만한 자산축소 기대"


* 시카고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부분적으로 성장률 둔화 우려"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인플레 제어 확인까지 통화정책 완만하게 제약적이어야"


한국은행


* 한은, "환율 떨어져도 잠재적 물가상승 요인일 수도"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95%(-0.25%p)


* 인민은행, "기업들 직면한 자금조달 문제 해결할 것"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49%, 이탈리아 3.60%, 스프레드 1.11%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95% (-0.03%p)

미 10년 국채 4.15%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03%p (-0.016pp)


미 BBB 회사채 5.30% (-0.01%p)

미 하이일드 7.09% (-0.02%p)


이머징 국채 7.15% (-0.03%p)

이머징 주식 6.97% (+0.14%p) 

한국 주식 10.09% (0.00%p) 


한국 3년 국채 2.56% (-0.03%p)

한국 10년 국채 2.70%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40%p (-0.018%p)


한국 3년 IRS 금리 2.53%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65개 +66개)


* 유럽 국방 (유럽 국방비 투자)

- Dassault Aviation (프랑스 국방), Thales (프랑스 국방)


52주 최저 (95개 +90개)


* 미국 반도체 (AI 투자 둔화 우려)

- Applied Materials (미국 반도체), AMD (미국 반도체)


4. 한국시장


* 2025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49.6 (+0.0) 

- KOSDAQ 5.9 (-0.1)


- 전기전자 64.8 (0.0)

- 커뮤니케이션 7.1 (0.0)

- 자동차 27.6 (0.0)

- 화장품 1.4 (0.0)


- 정유화학 12.0 (+0.0)

- 조선건설기계 7.3 (0.0)

- 철강 3.0 (0.0)

- 금융 44.0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I 스타트업 Anthropic, 615억달러 가치에 35억달러 조달


* BYD, 52억달러 규모 유상증자 추진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3월 4일 멕시코 캐나다에 관세 부과 확인


* 한국 2월 수출, 전년비 1.0% 증가. 예상 +3.7%, 전월 -10.2%


* 미 2월 ISM 제조업지수, 50.3. 예상 50.7, 전월 50.9

- 신규주문, 48.6. 예상 54.6, 전월 55.1

- 물가, 62.4. 예상 56.0, 전월 54.9


* OPEC+ 대변인, 4월 증산 예정대로 진행 


* S&P, 프랑스 신용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

2025년 3월 1일 토요일

Column_3월의 마지막 승부_2025.03.01

  

- 한국 주식시장 거시구조 -

 

* 한국 주식시장의 계절성은 유동성과 세금으로 만들어집니다. 은행 대출은 연초, 분기초에 늘고 연말, 분기말에 줄어듭니다. 그래서 시중에 가장 돈이 없는 날은 12월 마지막 날이고 3월의 어느날 가장 돈이 많습니다.

 

* 세금은 연초부터 3월까진 돌려받고, 5월부터 내기 시작해서 12월까지 냅니다. 5월 종합소득세, 6월 자동차세, 7월 재산세, 8월 주민세, 9월 토지분 재산세, 10 11월에 잠깐 쉬고 12월 종부세로 클라이막스를 찍습니다.

 

* 실적과 통화정책이 이 계절성을 이겨내느냐만 판단하면 됩니다. 애매하다 싶으면 4월부터 짐 쌀 준비해야 합니다.

 

- 4월 한달 전 3-

 

* 올해 4월엔 빅 이벤트가 많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4 2일 우리나라에도 관세를 준비 중이고, 3월 말부터 공매도도 다시 허용됩니다. 사람들은 4 1일에 거짓말처럼 주식시장이 녹아내릴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올해 3월을 맞는 투자자들의 각오는 비장하고 벳 사이즈를 키울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한 후배는 매년 3월만 되면 올해가 또 다 갔습니다고 읊조리는데, 정말 올해는 3월에 끝날지도 모르겠습니다.

 

- 쎌온의 쎌온 -

 

* 하지만 프로들만 뛰는 국장은 쎌온이 핵심이고 그 쎌온을 예측하고 쎌온을 쎌온해야 합니다. 그렇게 모두 먼저 움직이면 어느 지점에선 쎌온이 딥바이로 바뀌고 밀어도 밀리지 않는 곳에 도달합니다.

 

* 더 못 오르면 빠지고, 더 못 내리면 오릅니다. 최근 엔비디아는 쎌온의 정석처럼, 삼성전자는 딥바이의 정석처럼 움직였습니다. 한국 개미들이 작년에 미국으로 뛰어갈 때 이럴 줄 알았습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