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6월 16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06.16

 2022년 6월 1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가 기준금리를 75bp 올렸습니다. 금리선물은 연말 3.7% -> 3.5%로 내렸습니다.


(2) ECB가 회원국 간 금리차 확대를 막기 위한 수단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3) 엑슨모빌이 가솔린 가격 안정을 위한 규제완화를 요구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72%p (+0.028%p)

한국 고객예탁금, 58.7조원 -0.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07%

1개월 NDF 환율 1,278.75원 (-11.6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33%(-0.18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OMC, Fed Fund 금리 1.50~1.75%로 75bp 인상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 50bp 인상 소수의견


* Fed 의장, "인플레 상향 위험 보고 있다. 오늘 큰 폭 인상 계기"

- "75bp 인상이 일상적이지 않을 것. 다음 회의에서 50bp 또는 75bp 인상"

- "경기 광범위하게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 없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3%(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0%p)


* ECB, 긴급회의 열어 PEPP 재투자 포함 논의. 위기방지 수단 논의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6%(+0.007%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3.21% (-0.22%p)

미 10년 국채 3.28% (-0.1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72%p (+0.028pp)


미 BBB 회사채 5.21% (-0.19%p)

미 하이일드 8.35% (-0.18%p)


이머징 국채 7.38% (-0.22%p)

이머징 주식 8.88% (-0.01%p) 

한국 주식 11.21% (+0.05%p) 


한국 3년 국채 3.65% (+0.10%p)

한국 10년 국채 3.76% (+0.0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14%p (-0.016%p)


한국 3년 IRS 금리 3.76% (+0.1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6개 +1개)


52주 최저 (77개 -146개)


* 아시아 반도체 (반도체 공급부족 완화 가능성)

- 삼성전자 (한국 반도체), TSMC (대만 반도체)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6.0 (-0.1) 

- KOSDAQ 15.6 (-0.1)


- 전기전자 94.7 (-0.1)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6 (+0.0)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8 (0.0)

- 금융 39.8 (0.0)


5. 뉴스 


1) 미 5월 소매판매, 전월비 0.3% 감소. 예상 +0.1%

- 자동차, 가구, 가전, 잡화 감소

- 가솔린(+4.0%), 백화점, 운동용품


2) JP Morgan, Tiger Global 펀드 고액자산가에 매도 중개


3) ExxonMobil, 미 대통령 증산요청에 '존스법' 면책 등 요구

- 존스법, 미국 내 물자 나르는 선박은 미국민 소유로 제한 


4) Baidu, Iqiyi에 지분매각 논의 <로이터>

2022년 6월 15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6.15

 2022년 6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D램 현물가격이 5월 30일 이후 처음으로 올랐습니다.


(2) 금융위가 은행의 비금융 자회사 허용 등 금산분리 완화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3) 코인베이스와 워너브러더스가 감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4%p (-0.002%p)

한국 고객예탁금, 59.0조원 +1.7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73%

1개월 NDF 환율 1,290.34원 (+3.8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720%(+0.098%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1.5%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 다수 금통위원, 선제적 대응 언급 <의사록>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3%(-0.02%p)


* 인민은행, 금리 및 지준율 인하 여력 있어 <증권보>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0%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9%(-0.008%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3.43% (+0.06%p)

미 10년 국채 3.47% (+0.1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44%p (+0.042pp)


미 BBB 회사채 5.40% (+0.15%p)

미 하이일드 8.53% (+0.53%p)


이머징 국채 7.60% (+0.23%p)

이머징 주식 8.89% (+0.29%p) 

한국 주식 11.16% (+0.37%p) 


한국 3년 국채 3.55% (+0.02%p)

한국 10년 국채 3.68%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30%p (-0.018%p)


한국 3년 IRS 금리 3.64%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5개 -2개)


52주 최저 (223개 -69개)


* 글로벌 주택 밸류체인 (금리상승으로 주택건설 부진)

- Carrier (미국 건자재), OTIS (미국 산업용 기계)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6.1 (+0.2) 

- KOSDAQ 15.7 (-0.1)


- 전기전자 94.8 (-0.1)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6 (0.0)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8 (-0.1)

- 금융 39.8 (0.0)


5. 뉴스 


1) 금융위원회, 금산분리 완화 시동

- 은행의 사업범위 확대 허용. 비금융 자회사 인수 용이해질 듯


2) Coinbase, 2분기 내 직원 6,100명 -> 5,000명 감원 계획

- Warner Brothers, 광고인력 30% 감원 


3) 미 대통령, 7월 사우디 아라비아 방문. 왕세자와 회담  


4) Texas LNG 터미널 기업 Freeport LNG, 화재로 3개월간 가동 중단 

- 미 천연가스 가격 16% 하락. 영국 가스가격 27% 상승 


5) Fedex, 분기배당 0.75달러 -> 1.15달러 상향

- 행동주의 펀드 요구 수용키로

2022년 6월 1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06.14

2022년 6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이번주 FOMC가 75bp를 올릴 수도 있다고 WSJ가 보도했습니다. 


(2) 미 금리선물 시장이 연말 기준금리 3.68%를 반영했습니다. 이틀간 75bp 올랐습니다.


(3) 미 풋콜 비율이 코로나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2%p (-0.095%p)

한국 고객예탁금, 57.3조원 +0.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66%

1개월 NDF 환율 1,289.66원 (+5.71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622%(+0.387%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관계자들, 이번 주 75bp 인상 고려할 수도 <WSJ>


한국은행


* 기재부-한은, 원화의 과도한 변동성에 대해 각별한 경계감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5%(+0.03%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7.0% +0.2%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3%(+0.002%p) 


* 일본은행 총재, "확장적 통화정책 끈질기게 계속할 필요 있어"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3.37% (+0.31%p)

미 10년 국채 3.37% (+0.2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02%p (-0.095pp)


미 BBB 회사채 5.25% (+0.26%p)

미 하이일드 8.00% (+0.38%p)


이머징 국채 7.37% (+0.25%p)

이머징 주식 8.60% (+0.08%p) 

한국 주식 10.78% (+0.15%p) 


한국 3년 국채 3.53% (+0.25%p)

한국 10년 국채 3.67% (+0.18%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48%p (-0.067%p)


한국 3년 IRS 금리 3.60% (+0.2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7개 -6개)


52주 최저 (292개 +153개)


* 글로벌 가전 (높은 재고 수준)

- Whirlpool (미국 가전제품), Electrolux (미국 가전제품)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5.9 (0.0) 

- KOSDAQ 15.8 (0.0)


- 전기전자 94.9 (-0.0)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6 (+0.1)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9 (0.0)

- 금융 39.8 (+0.1)


5. 뉴스 


1) 가상화폐 시장 시가총액, 1조달러 하회


2) Oracle, 회계연 4분기 매출 118억달러. 예상 116억달러

- CEO, "클라우드 매출 하반기에 가속"


3) Bofa CFO, "소비지출 견조하고 기업 대차대조표 양호" 


4) CATL, 심천시장서 45억위안 조달할 듯 

- 공모가 하단 339.67위안. 전일 종가 443.03위안

2022년 6월 13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6.13

 2022년 6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5월 CPI가 예상을 웃돌면서 연말 기준금리 선물이 3.25%를 반영했습니다. 


(2) 래리 서머스가 2년내 미 경제가 경기침체에 빠질 위험이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3) 중국 5월 유동성 지표가 예상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2%p (-0.136%p)

한국 고객예탁금, 56.9조원 -0.5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33%

1개월 NDF 환율 1,279.04원 (+10.4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235%(+0.32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한국은행


* 한은 총재, "인플레 파이터로서 중앙은행 본연 역할 다시 중요"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2%(-0.03%p)


* 중국 5월 신규 위안화 대출, 1.89조위안. 예상 1.22조위안

- 사회 총융자, 2.79조위안. 예상 2.03조위안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8%)


* 독일 중앙은행장, "ECB의 마이너스 금리 시기 끝났다"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53%(+0.002%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3.06% (+0.24%p)

미 10년 국채 3.15% (+0.1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092%p (-0.136pp)


미 BBB 회사채 4.99% (+0.13%p)

미 하이일드 7.62% (+0.22%p)


이머징 국채 7.12% (+0.19%p)

이머징 주식 8.51% (+0.05%p) 

한국 주식 10.63% (-0.04%p) 


한국 3년 국채 3.27% (+0.10%p)

한국 10년 국채 3.49%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15%p (-0.088%p)


한국 3년 IRS 금리 3.35%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3개 -18개)


52주 최저 (139개 +64개)


* 글로벌 R&D (기업 R&D 지출 축소 우려)

- Experian (영국 리서치 컨설팅), Equifax (미국 리서치 컨설팅)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5.9 (+0.2) 

- KOSDAQ 15.8 (+0.0)


- 전기전자 94.9 (+0.0)

- 커뮤니케이션 9.3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0)


- 정유화학 24.5 (+0.0)

- 조선건설기계 4.5 (-0.0)

- 철강 11.9 (0.0)

- 금융 39.7 (0.0)


5. 뉴스 


1) 미 5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8.6% 상승. 예상 +8.3%, 전월 +8.3%

- 근원 CPI, +6.0%. 예상 +5.9%, 전월 +6.2%


2) Tesla, 3대1 액면분할 주주총회 안건 상정


3) 중국 군장성, 미국에 대만 해협 영유권 주장 <블룸버그>


4) 미 6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50.2. 예상 58.1, 전월 58.4


5) TSMC 5월 매출, 전년비 65.3% 증가

2022년 6월 11일 토요일

Column_적응력의 가치_2022.06.11

  

- 정신을 차려야 할 때 -

 

* 요즘 TV에서 이름 한번 정도 들어본 비상장 회사들이 탑급 연예인까지 동원해 광고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 저러면 매출이야 늘겠지만 비용이 더 커져서 적자는 더 늘텐데, 괜찮나 싶은 생각이 드는데, 요즘 금융시장 분위기를 잘 모르나 싶기도 합니다.

 

* 상장 바이오 기업에서 IR을 하는 B는 기업하시는 분들이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잘 몰라 걱정이라며 앞으로 자금조달이 만만치 않을 것 같아 큰일이라고 말했습니다.

 

- 보수적 가이던스 -

 

* 근래 가이던스를 낮추거나 언론을 통해서라도 보수적인 시황을 언급하는 회사들이 있습니다. 그런 회사들의 주가는 하락하는데, 오히려 더 좋아 보입니다.

 

*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CEO는 직원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생산직이 아니라 관리직에 국한한 얘기고 임시직은 반대로 늘릴 것이라고 했습니다.

 

*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헬스케어 회사도 올해 가이던스를 보수적으로 제시한 뒤 주가가 급락했는데, 곧바로 임대료가 낮은 지역으로 본사를 옮긴다고 발표했습니다. 주주의 돈을 아까워하는 회사라 계속 응원하기로 했습니다.

 

- 적응력의 가치 -

 

* 가치주 하우스의 반란군 C는 정유주에서 언제 뛰어내릴지를 고민하고 있는데, 미국 에너지 기업들도 투자를 늘린다고 발표하면 주가가 빠진다고 지적했습니다.

 

* 성장주와 기치주를 나누는 기준은 늘 모호하지만 탑라인에 반응하면 성장주, 바텀라인에 반응하면 가치주인 것 같습니다.

 

* 훌륭한 회사는 상황에 따라 스스로를 성장주, 가치주로 바꿀 줄 압니다. 어려울 때 비용을 줄일 줄 아는 회사가 좋아질 때 매출도 극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지금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하는 건 회사의 적응력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