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6일 일요일

macro daily_2025.07.07

 2025년 7월 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관세 데드라인이 다가온 가운데 일본 총리가 협상이 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2) 프랑스가 중국에 대해 관세장벽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고, 중국은 보복했습니다.


(3) 미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2021년 11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60.24원 (-2.96원)


고객예탁금 66.2조원 (+0.2조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146%(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7.5%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애틀랜타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인플레, 목표수준으로 회귀"

- "고용시장, 기본적으로 Fed 목표에 부합"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2%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0%, 이탈리아 3.44%, 스프레드 0.84%p)


* 프랑스 중앙은행장, "유로화 강세 지속되면 물가 2% 목표 하회할 듯"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88% (0.00%p)

미 10년 국채 4.34%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66%p (0.000pp)


미 BBB 회사채 5.37% (-0.02%p)

미 하이일드 6.94% (-0.13%p)


이머징 국채 7.14% (-0.08%p)

이머징 주식 7.32% (0.00%p) 

한국 주식 8.51% (+0.14%p) 


한국 3년 국채 2.47% (+0.02%p)

한국 10년 국채 2.83%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61%p (-0.004%p)


한국 3년 IRS 금리 2.43%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65개 -28개)


* 한국 은행 (규제 변화 가능성)

- KB금융 (한국 은행), 신한지주 (한국 은행)


52주 최저 (2개 -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7.8 (-0.1) 

- KOSDAQ 7.8 (-0.0)


- 전기전자 65.5 (-0.3)

- 커뮤니케이션 7.4 (+0.1)

- 자동차 20.7 (+0.0)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4 (+0.0)

- 조선건설기계 8.1 (+0.0)

- 철강 1.5 (-0.1)

- 금융 33.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Tesla CEO, 아메리카당 창당 의지


<펀드>


<정책, 지표> 


* 미 하원, 트럼프 감세법 통과. 대통령 서명 남아


* 미 정부, AI 반도체 규제 말레이시아 태국으로 확대

- 중국과 관계 우려


* 프랑스 재무장관, "유럽, 중국산 수입품에 대항해 관세 장벽 세워야"

- 중국, 유럽산 의료기기 브랜디에 보복 관세 및 조치 


* OPEC+, 8월 55만b/d 증산 합의

2025년 7월 5일 토요일

Column_쌍바닥이 없어진 이유_2025.07.05

  

- 유명해져라 -

 

* 그러면 똥을 싸도 박수를 받을 것이다는 말을 앤디 워홀은 한 적이 없습니다. 대신 워홀은 1968년 스웨덴에서 열린 전시회에서 팸플릿에 미래에는 모든 사람이 15분 동안 세계적으로 유명해질 것이다고 썼습니다.

 

* TV의 시대가 시작될 때 예언은 SNS의 시대에 현실이 됐습니다. 지금은 그의 말처럼 누구나 유명해질 수 있습니다.

 

- 정보의 소비 속도 -

 

* 하지만 유명한 사람들이 계속 등장하기에 유명세는 오래 가지 않습니다. 정보는 만들어지는 속도, 유통되는 속도, 플랫폼에서 소비되는 속도 모두 빨라지는 중입니다.

 

* 그러니 이 정보들을 소화하려면 소비도 폐기도 빨라져야 합니다. 유일하게 달라지지 않는 것이 시간입니다. 15분의 유명함은 이 시대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쌍바닥이 없어진 주식시장 -

 

* 코로나 즈음부터인 것 같은데, 주식시장에 쌍바닥(double bottom)이 없어졌습니다. 이중천장도 없어졌습니다. 쌍바닥이 만들어지는 이유를 찾아보면 바닥에서 매수가 시작돼도 미처 못 판 사람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한번 더 밀린다고 설명돼 있습니다. 결국 사고 파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겁니다.

 

* 그런데 지금은 사고 파는 게 쉬워졌습니다. 가격대를 정해주면 기계가 알아서 사고팔아주고 사람들은 텔레그램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습니다. 매수-매도는 한 틱에 다 녹아 있습니다.

 

* 그래서 지금 주식시장의 추세는 정보가 많아질 때 시작돼서 정보가 사라질 때 끝납니다. 이번 추세의 고점은 정보 증분의 고점, 유동성 증분의 고점과 같을 겁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7월 3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07.03

 2025년 7월 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국과 베트남에 20% 관세에 합의했습니다. 베트남의 대미국 관세는 0%입니다. 


(2) 관세 합의가 불확실성 완화로 받아들여지며 주식 비트코인 등이 올랐습니다.


(3) 정부가 가계대출 한도를 연소득으로 제한하고 카드론도 포함시키기로 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4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53.37원 (-2.88원)


고객예탁금 70.4조원 (+1.4조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42%(-0.006%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7.5%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리치몬드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금리인하 서두를 필요 없다"

- "소비자들, 물가로 힘들지만 줄이지 않아"

- "기업들, 투자 안하지만 줄이지 않아"


한국은행


* 한은 총재, "추경, 올해 성장률 0.2%p 끌어올리는 효과"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8%(-0.02%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6%, 이탈리아 3.51%, 스프레드 0.85%p)


* 핀란드 중앙은행장, "유로화 절상으로 2% 물가 목표 달성 수월해져"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78% (+0.01%p)

미 10년 국채 4.28%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98%p (+0.031pp)


미 BBB 회사채 5.36% (+0.02%p)

미 하이일드 7.04% (-0.04%p)


이머징 국채 7.17% (-0.02%p)

이머징 주식 7.36% (-0.06%p) 

한국 주식 8.46% (+0.04%p) 


한국 3년 국채 2.49% (+0.04%p)

한국 10년 국채 2.83%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45%p (+0.012%p)


한국 3년 IRS 금리 2.44%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3개 -4개)


* 미국 은행 (규제완화)

- Citigroup (미국 은행), JP Morgan (미국 은행)


52주 최저 (5개 +1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7.9 (-0.3) 

- KOSDAQ 7.8 (+0.1)


- 전기전자 65.8 (-0.0)

- 커뮤니케이션 7.3 (+0.0)

- 자동차 20.7 (+0.1)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4 (+0.0)

- 조선건설기계 8.1 (-0.0)

- 철강 1.6 (+0.0)

- 금융 33.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Tesla 2분기 인도대수 38.4만대. 예상 38.9만대, 작년 2분기 44.3만대


* Microsoft, 2차 감원조치. 9,000명 감원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베트남 수입품에 관세 20% 합의. 베트남 미국산 수입품에 0% 관세" 


* 미 6월 ADP 민간고용자수, 3.3만명 감소. 예상 +9.8만명, 전월 +2.9만명 


* 정부, 가계대출 한도 차주의 연소득으로 한정. 카드론도 포함

2025년 7월 2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7.02

 2025년 7월 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트럼프 감세법안이 상원을 통과했고 달러가 22년 2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2) 규제완화를 업고 미 은행들이 배당을 확대하며 다우는 상승, 나스닥은 하락했습니다.


(3) ECB 부총재가 1.2달러까지 유로화가 오르는 건 반기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0%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55.30원 (-2.65원)


고객예탁금 68.9조원 (+1.2조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48%(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 (비둘기파 투표권있음), "올 여름 관세 영향 나타나며 인플레 상승 전망"

- "대다수 위원들, 올해 늦은 시기에 금리인하 예상"


한국은행


* 한은 총재, "문제는 인플레가 아니라 관세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0%(-0.35%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7%, 이탈리아 3.44%, 스프레드 0.87%p)


* ECB 부총재, "달러/유로, 1.2달러 넘어가면 상황 복잡해져"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77% (+0.05%p)

미 10년 국채 4.24%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67%p (-0.039pp)


미 BBB 회사채 5.34% (-0.01%p)

미 하이일드 7.08% (+0.03%p)


이머징 국채 7.19% (+0.02%p)

이머징 주식 7.42% (+0.05%p) 

한국 주식 8.43% (-0.05%p) 


한국 3년 국채 2.45% (-0.00%p)

한국 10년 국채 2.78%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33%p (-0.019%p)


한국 3년 IRS 금리 2.40%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97개 -28개)


* 미국 은행 (규제완화)

- Citigroup (미국 은행), Wells Fargo (미국 은행)


52주 최저 (4개 -4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8.2 (+0.1) 

- KOSDAQ 7.7 (-0.1)


- 전기전자 65.8 (-0.2)

- 커뮤니케이션 7.3 (0.0)

- 자동차 20.6 (-0.1)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4 (-0.0)

- 조선건설기계 8.1 (+0.0)

- 철강 1.6 (+0.0)

- 금융 33.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JP Morgan, 분기배당 1.4달러 -> 1.5달러 상향

- BofA Wells Fargo도 분기배당 상향


* Tesla CEO, 부회장 퇴사로 유럽지역 관할키로 


<펀드>


<정책, 지표> 


* 미 6월 ISM 제조업지수, 49.0. 예상 48.8, 전월 48.5

- 신규주문, 46.4. 예상 48.1, 전월 47.6

- 고용, 45.0. 예상 47.1, 전월 46.8


* 미 5월 JOLTS 구인자수, 776만명. 예상 730만명, 전월 739만명


* 미 상원, 트럼프 감세법 통과. 하원 이송

- 미 하원의장. 7월 4일까지 통과 위해 신속히 움직일 것

2025년 7월 1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7.01

 2025년 7월 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재무장관이 현금리 수준에서 장기물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해 금리가 내렸습니다.


(2) 캐나다, EU 등이 미국과 협상에서 양보하며 주가가 올랐습니다.


(3) 애플이 오픈AI 등 외부의 도움으로 시리를 개선하는 방안을 고려 중입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2%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50.17원 (-3.58원)


고객예탁금 67.71조원 (-1.34조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48%(-0.00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5.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 애틀랜타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기업들 관세 대응 내년으로 넘어갈 수도"

- "관세 가격전가 아직 시장에 나타나지 않아"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95%(+0.1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0%, 이탈리아 3.47%, 스프레드 0.87%p)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72% (-0.02%p)

미 10년 국채 4.23%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07%p (-0.022pp)


미 BBB 회사채 5.35% (-0.05%p)

미 하이일드 7.05% (-0.05%p)


이머징 국채 7.17% (-0.08%p)

이머징 주식 7.37% (-0.01%p) 

한국 주식 8.47% (-0.05%p) 


한국 3년 국채 2.45% (0.00%p)

한국 10년 국채 2.80%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52%p (+0.022%p)


한국 3년 IRS 금리 2.40% (-0.00%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25개 -6개)


* 글로벌 AI 밸류체인 (AI 수요 급증)

- MicroSoft (미국 S/W), Broadcomm (미국 반도체)


52주 최저 (8개 -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8.1 (0.0) 

- KOSDAQ 7.8 (0.0)


- 전기전자 66.0 (-0.2)

- 커뮤니케이션 7.3 (0.0)

- 자동차 20.7 (-0.2)

- 화장품 1.1 (-0.0)


- 정유화학 3.4 (+0.0)

- 조선건설기계 8.1 (-0.0)

- 철강 1.6 (0.0)

- 금융 33.1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pple, Siri에 Open AI 혹은 Anthropic AI 기능 탑재

- "아직 결정은 아냐. 자체 모델 고려 중"


<펀드>


<정책, 지표> 


* 미 재무장관, "현 금리 수준에서 장기물 발행 확대 비합리적"


* EU, 미국의 기본관세 받아들이기로. 주요 품목 면제 노려


* 캐나다, 미국과 무역협상 진전 위해 디지털 서비스세 폐지


* 중국 6월 제조업 PMI, 49.7. 예상 49.6, 전월 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