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13일 금요일

macro daily_2022.05.13

 2022년 5월 13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올해 투자를 보수적으로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홍하이가 서버 시장이 올해 최고의 해를 맞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3) 테라폼이 블록체인 가동을 중단한 뒤 재가동했다고 밝혔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93%p (+0.014%p)

한국 고객예탁금, 59.9조원 -1.6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6%

1개월 NDF 환율 1,291.56원 (+3.0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2.693%(-0.069%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6월과 7월 50bp 인상 기조 재확인


* 샌프란시스코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다음 두번의 회의서 50bp 인상 기조 바꿀 필요 없어"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5%(0.00%p)


* 인민은행 부총재, "성장세 안정에 더 높은 우선순위 두고 있다"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5%)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8%(0.000%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2.56% (-0.07%p)

미 10년 국채 2.86%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93%p (+0.014pp)


미 BBB 회사채 4.71% (-0.04%p)

미 하이일드 7.48% (+0.05%p)


이머징 국채 6.92% (-0.04%p)

이머징 주식 8.97% (-0.05%p) 

한국 주식 11.23% (-0.01%p) 


한국 3년 국채 2.90% (-0.01%p)

한국 10년 국채 3.17% (-0.09%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70%p (-0.073%p)


한국 3년 IRS 금리 2.96% (-0.05%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개 개)


52주 최저 (개 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4.4 (+0.7) 

- KOSDAQ 15.1 (0.0)


- 전기전자 95.5 (-0.0)

- 커뮤니케이션 9.6 (-0.0)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0 (-0.4)


- 정유화학 23.6 (+0.2)

- 조선건설기계 5.0 (0.0)

- 철강 11.7 (0.0)

- 금융 39.9 (0.0)


5. 뉴스 


1) Softbank, 2021 회계년 순손실 2.64조엔 기록

- 손정의, "투자 보수적으로 실행할 것"

- 손정의, "중국 조심하고 있지만 투자 0은 아니다"


2) Hon Hai, "2022년 서버 가장 좋은 해 맞을 것"

- "올해 PC 태블릿 의미있는 성장. 총이익률 상승 예상"

- "2024년부터 태국서 전기차 생산시작. 2025년 전기차 점유율 5% 목표"


3) 미 4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11.0% 상승. 예상 +10.7%, 전월 +11.5%

- 근원 PPI, +8.8%. 예상 +8.9%, 전월 +9.6%


4) 러시아 원유 수입, 올해 50% 증가 관측 <IEA>

- Lukoil, Shell의 러시아 내 다운스트림 자산 매입 합의 


5) 테라폼,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위해 중단 후 블록체인 재가동

2022년 5월 12일 목요일

macro daily_2022.05.12

 2022년 5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5월 근원 CPI MoM 상승률이 전월보다 확대됐습니다. 


(2) 불라드가 스테이블 코인 사태는 시스템 리스크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3) 디즈니+ 구독자수가 예상을 웃돌았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79%p (-0.103%p)

한국 고객예탁금, 61.5조원 -0.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86%

1개월 NDF 환율 1,279.27원 (+3.97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2.762%(+0.054%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애틀랜타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금리 중립수준 도달할 때까지 50bp 인상 지지"

- "Fed B/S 초과 유동성 2조달러 수준"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75bp 인상 나의 기본 시나리오 아니다"

- "금융시장 혼란 초래에 민감. 스테이블 코인은 시스템 리스크로 보이지 않아"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5%(0.00%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5%)


* ECB 총재, "자산매입 중단 수주 후 기준금리 인상"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8%(+0.00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2.64% (+0.04%p)

미 10년 국채 2.92% (-0.06%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79%p (-0.103pp)


미 BBB 회사채 4.75% (-0.05%p)

미 하이일드 7.43% (-0.03%p)


이머징 국채 6.96% (-0.04%p)

이머징 주식 9.02% (+0.03%p) 

한국 주식 11.24% (+0.37%p) 


한국 3년 국채 2.91% (-0.13%p)

한국 10년 국채 3.26% (-0.1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43%p (-0.012%p)


한국 3년 IRS 금리 3.01% (-0.1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개 개)


52주 최저 (개 개)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3.7 (0.0) 

- KOSDAQ 15.1 (0.0)


- 전기전자 95.5 (-0.0)

- 커뮤니케이션 9.6 (+0.1)

- 자동차 14.8 (0.0)

- 화장품 2.4 (+0.0)


- 정유화학 23.4 (+0.3)

- 조선건설기계 5.0 (0.0)

- 철강 11.7 (0.0)

- 금융 39.9 (+0.3)


5. 뉴스 


1) 미 4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8.3% 상승. 예상 +8.1%, 전월 +8.5%

- 근원 CPI, 전월비 +0.6%. 예상 +0.4%, 전월 +0.3%


2) Disney, 회계연 2분기 Disney+ 구독자 1.377억명. 예상 1.344억명 상회


3) 중국 총리, 고용 경제 안정위해 재정 및 통화 정책 활용 촉구 


4) Rivian, 올해 생산목표 2만 5,000대 유지 


5) 홍콩달러, 달러당 7.85홍콩달러 절하. 2019년 이후 최저

2022년 5월 11일 수요일

macro daily_2022.05.11

 2022년 5월 11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금융시장의 미국 인플레 기대가 2월말 이후 처음으로 3%를 밑돌았습니다. 


(2) 5~6월 중국의 인프라 투자를 위한 특수채 발행이 2020년의 두배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3) BMW가 2025년부터 가격이 30% 낮은 원통형 배터리 장착 계획을 공개했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83%p (-0.057%p)

한국 고객예탁금, 61.8조원 +1.5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4%

1개월 NDF 환율 1,276.86원 (+0.76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2.708%(+0.03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뉴욕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2024년에 인플레 2% 수렴할 듯"

- "경기 연착륙, 추세 밑도는 성장률일 수 있다"


* 클리블랜드연은 총재 (매파 투표권있음), "하반기에 인플레 완화되지 않으면 긴축 속도낼 수도"

- "인플레 올해말 내년에 2%로 떨어질 걸로 기대하지 않아"


* 애틀랜타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MBS 보유로 주택시장 지원해선 안돼"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5%(-0.13%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5%)


* 독일 중앙은행장, 7월에 첫 금리인상 지지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7%(-0.001%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2.60% (+0.01%p)

미 10년 국채 2.98%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83%p (-0.057pp)


미 BBB 회사채 4.80% (-0.01%p)

미 하이일드 7.46% (+0.27%p)


이머징 국채 7.00% (+0.14%p)

이머징 주식 8.99% (+0.03%p) 

한국 주식 10.89% (+0.16%p) 


한국 3년 국채 3.05% (-0.02%p)

한국 10년 국채 3.41%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55%p (+0.007%p)


한국 3년 IRS 금리 3.15% (-0.02%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개 -7개)


52주 최저 (61개 -204개)


* 글로벌 명품 (중국 수요 둔화 우려)

- Hermes (프랑스 명품), Burberry (영국 명품)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3.0 (0.0) 

- KOSDAQ 15.1 (0.0)


- 전기전자 95.5 (+0.0)

- 커뮤니케이션 9.5 (+0.0)

- 자동차 14.8 (+0.1)

- 화장품 2.4 (-0.0)


- 정유화학 23.1 (+0.2)

- 조선건설기계 5.0 (-0.1)

- 철강 11.7 (0.0)

- 금융 39.6 (+0.2)


5. 뉴스 


1) 중국 지방정부 특수채 발행, 5~6월 2.25조위안 관측 <21세기 비즈니스해럴드>

- 두달 기준 사상최대 규모. 2020년의 두배 


2) BMW, 2025년부터 가격 30% 낮은 원통형 배터리 채용 계획 


3) Tesla, 상해공장 가동중단 보도 부인


4) Pfizer, Biohaven Pharmaceutical 116억달러에 인수

- 신경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

2022년 5월 10일 화요일

macro daily_2022.05.10

 2022년 5월 10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골드만삭스가 스팩 스폰서 업무에서 철수한다고 밝힌 영향으로 중소형 성장주가 급락했습니다. 


(2) 52주 최저 종목수가 260개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3월20일에 476개였습니다.


(3)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주환원을 늘릴 것으로 관측됐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40%p (+0.044%p)

한국 고객예탁금, 60.3조원 -3.0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90%

1개월 NDF 환율 1,276.15원 (+2.5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2.677%(-0.15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1명 


* Fed, 시장 유동성 악화 가능성 경고 <반기 보고서>


* 애틀랜타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50bp 이상 금리 올릴 필요 없어"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소비원천, 저축 아닌 소득으로 보여"

- "인플레 끌어내릴 수 있을 걸로 확신"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78%(+0.18%p)


* 중국, 위안화 안정시킬 충분한 수단 보유 <증권보>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5%)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4%(+0.013%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2.59% (-0.13%p)

미 10년 국채 3.03% (-0.0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40%p (+0.044pp)


미 BBB 회사채 4.81% (-0.09%p)

미 하이일드 7.19% (-0.01%p)


이머징 국채 6.85% (-0.07%p)

이머징 주식 8.96% (+0.28%p) 

한국 주식 10.70% (+0.18%p) 


한국 3년 국채 3.07% (-0.07%p)

한국 10년 국채 3.42%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48%p (+0.073%p)


한국 3년 IRS 금리 3.17% (-0.07%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21개 -21개)


52주 최저 (265개 +182개)


* 글로벌 언택트 (엔데믹 도래)

- Amazon (미국 인터넷소매), Airbnb (미국 호텔)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2.7 (0.0) 

- KOSDAQ 15.5 (0.0)


- 전기전자 95.5 (+0.4)

- 커뮤니케이션 9.5 (-0.0)

- 자동차 14.7 (+0.1)

- 화장품 2.4 (-0.1)


- 정유화학 22.9 (+0.2)

- 조선건설기계 5.1 (-0.0)

- 철강 11.7 (0.0)

- 금융 39.4 (+0.0)


5. 뉴스 


1) GoldmanSachs, SPAC 스폰서 업무 철수 계획 <블룸버그>

- Citigroup 이어 두번째, BofA도 업무 축소


2) 러시아 대통령, 전승절 기념식서 종전 핵 언급 안해 


3) 중국 인터넷 기업들 주주환원 늘려 <WSJ>

- Alibaba, 특별배당 자사주 매입 실시 관측


4) Infineon, 2022년 매출 가이던스 130억유로 -> 135억유로 상향

- 글로벌 반도체 부족 상황 지속 전망

2022년 5월 9일 월요일

macro daily_2022.05.09

 2022년 5월 9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관계자들이 FOMC 이전과 같은 스탠스를 유지했습니다.


(2) 중국 봉쇄 여파로 아디다스가 마진율 가이던스를 낮추고 사우디가 OSP를 인하했습니다.


(3)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가 40bp 부근까지 다시 확대됐습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96%p (+0.061%p)

한국 고객예탁금, 63.3조원 +1.1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03%

1개월 NDF 환율 1,270.30원 (-3.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2년 12월 14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2.828%(+0.01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25.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5명

- 비둘기파 : 2명 

- 극비둘기파 : 1명 


* 월러 Fed 이사 (매파 투표권있음), "작년 4분기 가이던스 통해 25bp 인상 효과 내"


* 세인트루이스연은 총재 (극매파 투표권있음), "테일러 준칙에 입각하면 금리수준 확장적"

- "수분기 내 기준금리 3.5%까지 인상해야"


* 리치몬드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없음), "75bp 인상 가능성 제외하지 말아야"


* 미니애폴리스연은 총재 (극비둘기파 투표권없음), "Fed, 가이던스 통해 이미 장기금리 움직여"

- "장기금리는 얼추 중립 수준에 도달"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60%(-0.26%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2022년 인플레 컨센서스 6.5%)


* 프랑스 중앙은행장, "연말까지 제로금리 벗어나는 게 합리적"

- "필요하면 PEPP 재개할 수도 있어"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목표 0% vs. 0.244%(+0.013%p)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0.83% (0.00%p) 

미 2년 국채 2.73% (+0.03%p)

미 10년 국채 3.12% (+0.09%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396%p (+0.061pp)


미 BBB 회사채 4.90% (+0.09%p)

미 하이일드 7.20% (+0.06%p)


이머징 국채 6.92% (+0.04%p)

이머징 주식 8.67% (+0.08%p) 

한국 주식 10.52% (+0.08%p) 


한국 3년 국채 3.14% (-0.03%p)

한국 10년 국채 3.42%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272%p (+0.022%p)


한국 3년 IRS 금리 3.24% (-0.03%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42개 +23개)


* 일본 주식 (엔화 약세로 가격메리트 부각)

- Daiichi Sankyob (일본 제약), KDDI (일본 통신)


52주 최저 (83개 +40개)


* 글로벌 언택트 (엔데믹 도래)

- Just Eat Takeaway (네덜란드 인터넷소매), Splunk (미국 S/W) 


4. 한국시장


* 2022년 영업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52.7 (+0.4) 

- KOSDAQ 15.5 (-0.0)


- 전기전자 95.1 (0.0)

- 커뮤니케이션 9.5 (-0.1)

- 자동차 14.6 (0.0)

- 화장품 2.5 (0.0)


- 정유화학 22.7 (+0.2)

- 조선건설기계 5.1 (0.0)

- 철강 11.7 (0.0)

- 금융 39.4 (-0.0)


5. 뉴스 


1) 미 4월 임금 상승률, +5.5%. 예상 +5.5%, 전월 +5.6% 

- 비농업 고용자수, +42.8만명. 예상 +38만명, 전월 +42.8만명


2) 중국 총리, "봉쇄로 고용 상황 엄중하고 심각"


3) Adidas, 올해 영업이익률 가이던스 10.75% -> 9.50%로 하향. 중국 봉쇄 여파


4) 사우디 아라비아, 6월 아시아향 OSP 9.35달러 -> 4.40달러로 인하


5) G7,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