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7월 17일 수요일

macro daily_2019.07.17

2019년 7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ed 관계자들의 금리인하 시사에도 피로 누적으로 미 증시가 내렸습니다.  

(2) 미 쉐일유전들의 생산 증가율이 둔화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3) J&J가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야간선물, 273.65 (+0.38%) 외인 -1,552계약
1개월 NDF 환율 1,178.95원 (+1.32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금리동결 + 9월에 자산축소 종료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0.0%(0.0%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100.0%(0.0%p)

- 2019년 7월 25bp 인하 확률 72.5%(-2.0%p)
- 2019년 7월 50bp 인하 확률 27.5%(+2.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의장(중립/투표권 있음), "불확실성 커진 상황에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적절"
- "중립금리 하락요인 여전히 지속"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투표권 없음), "장단기 금리차에 미뤄볼 때 전술적 금리조정 가능"
- "잠재적 금리인하 가능성 제한적. 금리가 성장 누르고 있는 것으로 안보여"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투표권 있음), "약간 경기부양 늘리는 것이 도움될 것"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부총재, "중국, 금융시장 추가개방 여력 충분"

ECB : 2019년 QE 중단. 2020년 중반이후까지 금리동결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1.85% (-0.00%p)
미 10년 국채 2.11%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55%p (-0.019%pp)

한국 3년 국채 1.43% (+0.01%p)
한국 10년 국채 1.57%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43%p (-0.005%p)

미 BBB 회사채 3.54% (-0.01%p)
미 하이일드 5.90% (+0.02%p)

이머징 국채 5.66% (-0.02%p)
이머징 주식 7.66% (-0.05%p) 
한국 주식 7.82% (-0.04%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83% (-0.01%p)
- 상향 : 
- 하향 : 인도, 멕시코, 터키

* 미 6월 소매판매, 전월비 +0.4%. 예상 +0.2%, 전월 +0.4%

* 미 7월 NAHB 주택시장지수, 65. 예상 64, 전월 64

4.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8.11 (+0.08%)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4.4%(-0.1%p)

* 미 민주당 하원대표, "이달말 재무장관과 부채한도 상향-예산제한에 합의할 것"

[무역]

* 미 대통령, "원하면 중국에 추가 관세 부과할 수 있다"

[경협]

[반도체]

[원자재]

* 미 Permian 쉐일유전, 생산 증가세 둔화조짐 <블룸버그>

market daily_2019.07.17

2019년 7월 17일 마켓 데일리

1. 52주 최고(77개, -2개) vs. 최저(8개, -1개)

+ 52주 최고

* 미 산업재 (미국 Capex 사이클 기대)
- Jacobs Engineering (미국 건설 엔지니어링), Ingersol Rand (미국 산업용 기계)

+ 52주 최저

2. 기업

+ 가이던스 상향 

* JNJ (미국 제약/2019년 매출) : CFO, "파이프라인 강화 위해 투자확대"

* United Airlines (미국 항공/2019년 EPS) 

+ 가이던스 하향                                                   

3.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00.1 (-0.1) 
- KOSDAQ 7.0 (-0.1)

- 전기전자 28.0 (+0.0)
- 커뮤니케이션 5.1 (+0.1)
- 금융 17.2 (-0.0)
- 정유화학 7.5 (-0.0)
- 자동차 5.7 (0.0)
- 철강 3.3 (0.0)

* 중소형주/대형주, 1.05배, -0.01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5.37조원 +0.04조원
- 비중, 2.32%, +0.02%p (저점 1.5%~2.0% 고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19년 7월 16일 화요일

macro daily_2019.07.16

2019년 7월 1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이르면 2주 안으로 미 기업들의 화웨이 공급이 허용될 것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습니다. 

(2)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0.9% 올랐습니다. 고점까지 4% 남았습니다. 

(3) Sinopec이 마진하락으로 3분기 정제량을 축소할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전했습니다. 

야간선물, 273.45 (-0.02%) 외인 -154계약
1개월 NDF 환율 1,179.29원 (+0.04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금리동결 + 9월에 자산축소 종료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0.0%(0.0%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100.0%(0.0%p)

- 2019년 7월 25bp 인하 확률 74.5%(-6.0%p)
- 2019년 7월 50bp 인하 확률 25.5%(+6.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뉴욕연은 총재(중립/투표권 있음), "리보(Libor)로부터의 전환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ECB : 2019년 QE 중단. 2020년 중반이후까지 금리동결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1.85% (-0.01%p)
미 10년 국채 2.1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74%p (+0.002%pp)

한국 3년 국채 1.42% (+0.00%p)
한국 10년 국채 1.57%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48%p (+0.015%p)

미 BBB 회사채 3.55% (-0.03%p)
미 하이일드 5.88% (-0.08%p)

이머징 국채 5.68% (+0.05%p)
이머징 주식 7.71% (-0.04%p) 
한국 주식 7.86%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84% (-0.01%p)
- 상향 : 
- 하향 : 인도, 한국

* 미 7월 뉴욕연은 엠파이어 제조업지수, 4.3. 예상 2.0, 전월 -8.6

4.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8.03 (+0.07%)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4.5%(0.0%p)

* 미 재무장관, "부채한도 소진으로 연방정부 폐쇄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아"

[무역]

* 미 정부, 이르면 2주내 미 기업들의 화웨이 부품공급 허용할 듯 <로이터> 

[경협]

[반도체]

[원자재]

* Sinopec, 마진 하락으로 3분기 원유 정제량 축소 계획 <블룸버그> 

market daily_2019.07.16

2019년 7월 16일 마켓 데일리

1. 52주 최고(79개, +16개) vs. 최저(9개, +1개)

+ 52주 최고

* 미 반도체 (이르면 2주안으로 화웨이 공급재개 가능성)
- Marvell Technology (미국 반도체), Texas Instrument (미국 반도체)

+ 52주 최저

2. 기업

+ 가이던스 상향 

+ 가이던스 하향                                                   

3. 한국시장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00.2 (-0.1) 
- KOSDAQ 7.1 (-0.0)

- 전기전자 28.0 (+0.0)
- 커뮤니케이션 5.0 (-0.1)
- 금융 17.2 (+0.0)
- 정유화학 7.5 (-0.1)
- 자동차 5.7 (0.0)
- 철강 3.3 (-0.0)

* 중소형주/대형주, 1.06배, -0.01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5.33조원 +0.01조원
- 비중, 2.30%, +0.03%p (저점 1.5%~2.0% 고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2019년 7월 15일 월요일

macro daily_2019.07.15

2019년 7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나이키 공급업체 Eclat이 중국에 이어 베트남에서도 철수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2) 주말 발표된 중국과 유럽 경제지표들이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3) 다임러가 리콜과 환경부담금을 이유로 올해 영업익 전망을 하향했습니다.

야간선물, 273.55 (+0.04%) 외인 -1,038계약
1개월 NDF 환율 1,176.65원 (-2.29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금리동결 + 9월에 자산축소 종료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0.0%(0.0%p)
- 2019년 금리인하 확률 100.0%(0.0%p)

- 2019년 7월 25bp 인하 확률 80.5%(-3.0%p)
- 2019년 7월 50bp 인하 확률 19.5%(+3.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4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브레이너드 Fed 이사(중립/투표권 있음), "계속되는 저인플레로 어려운 도전 직면"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투표권 있음), "인플레 2%로 높이려면 추가 정책지원 필요"
- "낮은 인플레, 지나치게 긴축적인 통화정책 의미"

* 리치몬드연은 총재(중립/투표권 없음), "리스크, 균형보다 하강 쪽으로 기울어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통화정책국장, "금융기관들에 적절한 수준의 유동성 공급 계획"

ECB : 2019년 QE 중단. 2020년 중반이후까지 금리동결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2. Credit Cycle : 미 2년 국채금리-기준금리, 미 하이일드-이머징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1.85% (-0.01%p)
미 10년 국채 2.1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274%p (+0.002%pp)

한국 3년 국채 1.42% (+0.00%p)
한국 10년 국채 1.57%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148%p (+0.015%p)

미 BBB 회사채 3.55% (-0.03%p)
미 하이일드 5.88% (-0.08%p)

이머징 국채 5.68% (+0.05%p)
이머징 주식 7.71% (-0.04%p) 
한국 주식 7.86%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2.85% (-0.00%p)
- 상향 : 
- 하향 : 호주, 멕시코

* 중국 6월 수출, 전년비 -1.3%. 예상 -1.4%, 전월 +1.1%

* 중국 6월 사회총융자, 2.26조위안. 예상 1.90조위안, 전월 1.40조위안

4. News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7.96 (+0.14%)

[정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지율 44.5%(+0.1%p)

* 미 재무장관, 9월 초 부채한도 도달 경고

[무역]

* Nike 공급업체 Eclat, 중국 이어 베트남서도 철수 결정 
- 회장, "다변화가 중요 한 국가서 생산하지 않을 것"

* 백악관 무역제조자문위원장, "미중 무역회담 진행상황 훌륭하다"

[경협]

[반도체]

[원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