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월 22일 데일리
세줄요약
- 미국 금융시장이 마틴루터킹 데이로 휴장했습니다.
- 민주당이 새로운 패키지 딜을 들고 나오면서 미국 셧다운 종료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 LNG 선물 거래가 작년 한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중앙은행들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4.3%(-11.9%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09% (-0.00%p)
- 상향 :
- 하향 : 러시아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2개, -7개) vs. 최저(3개, -4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Sandvik CEO, "올해 채굴부문 호조가 제조부문 부진 만회할 것"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5 (0.00%)
[재정]
* 미 민주당, 확대된 드리머 추방 유예와 장벽 예산 교환 준비 <블룸버그>
[무역]
[경협]
* 북미 스웨덴서 첫 실무협상 종료. 건설적 평가 <연합>
[반도체]
[원자재]
* LNG 선물 거래, 생산량의 23% 수준까지 증가 <블룸버그>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4.80 (0.00%) 외인 +391계약
* 1개월 NDF 환율 1,130.50원 (+2.43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4 (-0.1)
- KOSDAQ 7.3 (+0.0)
- 전기전자 51.2 (-0.0)
- 금융 22.3 (-0.1)
- 정유화학 10.5 (-0.0)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3배, -0.01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85조원 +0.04조원
- 비중, 2.07%, +0.02%p (저점 1.5%~2.0% 고점)
2019년 1월 22일 화요일
2019년 1월 21일 월요일
daily_2019.01.21
2019년 1월 21일 데일리
세줄요약
-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 수입을 2025년까지 1조달러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회의적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이 2월말 베트남에서 열릴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 미국 기업들이 예상에 부합하는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VF는 노스페이스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3.4%(+2.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뉴욕연은 총재(매파), "Fed, 신중함 인내 좋은 결정 필요"
- "경기상황 달라지면 B/S 축소 재검토하겠다"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Fed, 금리인상 잠시 멈추기에 좋은 포지션. 인플레 우려 없어"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6.2%(-2.3%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이르면 이번주 주식 ETF 매입규모 축소 결정할 듯 <블룸버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61% (+0.04%p)
미 10년 국채 2.78%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1%p (-0.008%pp)
미 BBB 회사채 4.55% (-0.02%p)
미 하이일드 7.05% (-0.11%p)
이머징 국채 6.67% (-0.08%p)
이머징 주식 8.69% (-0.14%p)
한국 주식 10.55% (-0.10%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러시아
- 하향 :
* 미 1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90.7. 예상 96.8, 전월 98.3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9개, +7개) vs. 최저(7개, +4개)
+ 52주 최고
* 유럽 산업재 (영국, 스페인 건설경기 회복 기대)
- Ferrovial (스페인 건설), Edenred (프랑스, 상업서비스)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VF, 2019년 전망 상향. North Face, VANS 가 실적 견인
* Schlumberger, 2019년 Capex 15억~16억달러. 2018년 22억달러
- CEO, "2019년 쉐일 드릴링 작년과 같거나 줄어들 것. cashflow 증가 예상"
* Citizen Financial, 1Q 대출 1% 증가 전망. 올해 3~5% 증가
* Tesla, 정규직 직원 7% 감축 계획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5 (+0.11%)
* 미 대출펀드, 16일까지 한주간 9.4억달러 순유출 <Lipper>
[재정]
* 미 대통령, 장벽 예산-드리머 추방 유예 교환 제안. 민주당 즉각 거부
[무역]
* 중국 정부, 대미 무역흑자 축소위해 2025년까지 미국 제품 1조달러 수입 제안
- 미 USTR, 중국 제안에 회의적
* 미 행정부, 중국 통신사들의 미국내 영업 금지 행정명령 준비 <블룸버그>
[경협]
* 북미 정상회담, 2월말 베트남에서 개최될 듯 <블룸버그>
[반도체]
[원자재]
* Rio Tinto, 올해 철광석 출하량 전년비 3.5% 증가 전망
- 구리 생산, 최대 13%까지 감소 예상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6.65 (+0.69%) 외인 +1,929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4.25원 (+2.72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5 (-0.3)
- KOSDAQ 7.3 (-0.3)
- 전기전자 51.2 (0.0)
- 금융 22.4 (-0.1)
- 정유화학 10.5 (-0.1)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4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81조원 +0.04조원
- 비중, 2.05%, -0.01%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중국 정부가 미국산 제품 수입을 2025년까지 1조달러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회의적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이 2월말 베트남에서 열릴 것이라고 블룸버그가 보도했습니다.
- 미국 기업들이 예상에 부합하는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VF는 노스페이스가 실적을 견인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3.4%(+2.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뉴욕연은 총재(매파), "Fed, 신중함 인내 좋은 결정 필요"
- "경기상황 달라지면 B/S 축소 재검토하겠다"
* 시카고연은 총재(비둘기파), "Fed, 금리인상 잠시 멈추기에 좋은 포지션. 인플레 우려 없어"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6.2%(-2.3%p)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이르면 이번주 주식 ETF 매입규모 축소 결정할 듯 <블룸버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61% (+0.04%p)
미 10년 국채 2.78%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1%p (-0.008%pp)
미 BBB 회사채 4.55% (-0.02%p)
미 하이일드 7.05% (-0.11%p)
이머징 국채 6.67% (-0.08%p)
이머징 주식 8.69% (-0.14%p)
한국 주식 10.55% (-0.10%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러시아
- 하향 :
* 미 1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90.7. 예상 96.8, 전월 98.3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9개, +7개) vs. 최저(7개, +4개)
+ 52주 최고
* 유럽 산업재 (영국, 스페인 건설경기 회복 기대)
- Ferrovial (스페인 건설), Edenred (프랑스, 상업서비스)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VF, 2019년 전망 상향. North Face, VANS 가 실적 견인
* Schlumberger, 2019년 Capex 15억~16억달러. 2018년 22억달러
- CEO, "2019년 쉐일 드릴링 작년과 같거나 줄어들 것. cashflow 증가 예상"
* Citizen Financial, 1Q 대출 1% 증가 전망. 올해 3~5% 증가
* Tesla, 정규직 직원 7% 감축 계획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65 (+0.11%)
* 미 대출펀드, 16일까지 한주간 9.4억달러 순유출 <Lipper>
[재정]
* 미 대통령, 장벽 예산-드리머 추방 유예 교환 제안. 민주당 즉각 거부
[무역]
* 중국 정부, 대미 무역흑자 축소위해 2025년까지 미국 제품 1조달러 수입 제안
- 미 USTR, 중국 제안에 회의적
* 미 행정부, 중국 통신사들의 미국내 영업 금지 행정명령 준비 <블룸버그>
[경협]
* 북미 정상회담, 2월말 베트남에서 개최될 듯 <블룸버그>
[반도체]
[원자재]
* Rio Tinto, 올해 철광석 출하량 전년비 3.5% 증가 전망
- 구리 생산, 최대 13%까지 감소 예상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6.65 (+0.69%) 외인 +1,929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4.25원 (+2.72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5 (-0.3)
- KOSDAQ 7.3 (-0.3)
- 전기전자 51.2 (0.0)
- 금융 22.4 (-0.1)
- 정유화학 10.5 (-0.1)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4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81조원 +0.04조원
- 비중, 2.05%, -0.01%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2019년 1월 18일 금요일
daily_2019.01.18
2019년 1월 18일 데일리
세줄요약
- 미 재무장관이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대중국 관세 제거를 고려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 넷플릭스가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1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예상을 소폭 하회했습니다.
- 미 하이일드펀드로 한주간 32.8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2016년 12월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콸스 Fed 부의장(중립), "물가 잘 제어되고 있고 고용 양호"
- "일부 중국과 유럽 경제지표 성장둔화 나타내"
- "일부 주식과 상업용 부동산 밸류에이션 높아"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8.5%(+6.7%p)
* ECB 독일 위원, "올해 금리인상할 가능성 여전" <Politico>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부총재, "중국 채권시장 개방해야. 채권 ETF 인덱스 상품 연구중"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7% (+0.02%p)
미 10년 국채 2.75%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9%p (+0.001%pp)
미 BBB 회사채 4.57% (+0.02%p)
미 하이일드 7.16% (-0.06%p)
이머징 국채 6.75% (-0.02%p)
이머징 주식 8.83% (-0.03%p)
한국 주식 10.65%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호주
* 미 1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 17.0. 예상 9.0, 전월 9.1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2개, +8개) vs. 최저(3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Morgan Stanley CEO, "M&A 파이프라인 견조. 심리도 양호. 레버리지론 시장 기대"
* Netflix, 1분기 매출 가이던스 44.9억달러. 예상 46.0억달러
- CEO, "HBO보다 Fortnite가 더 큰 위협"
* PPG, 달러강세로 4억~5억달러 매출 손실. 금리상승으로 상반기 주택시장 둔화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55 (+0.02%)
* 미 하이일드펀드로 주간 33억달러 유입. 2016년 12월 이후 최대규모
[재정]
* 미 하원 셧다운 막기 위한 예산안 통과. 미 대통령 거부할 듯
[무역]
* 미 정부, 시장 안정 위해 대중국 관세 제거 방안 고려 <WSJ>
- 미 재무부, WSJ 관련 보도 부인
[경협]
[반도체]
* TSMC, 2019년 메모리 제외 반도체시장 1% 성장 전망
- CEO, "High Performance Computing이 향후 5년간 성장 견인"
[원자재]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3.70 (+0.50%) 외인 +1,508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0.55원 (-1.90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8 (-0.1)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2 (-0.2)
- 금융 22.5 (+0.1)
- 정유화학 10.6 (-0.0)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2배, -0.03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7조원 +0.02조원
- 비중, 2.06%, +0.03%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미 재무장관이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대중국 관세 제거를 고려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 넷플릭스가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1분기 매출 가이던스가 예상을 소폭 하회했습니다.
- 미 하이일드펀드로 한주간 32.8억달러의 자금이 유입됐습니다. 2016년 12월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콸스 Fed 부의장(중립), "물가 잘 제어되고 있고 고용 양호"
- "일부 중국과 유럽 경제지표 성장둔화 나타내"
- "일부 주식과 상업용 부동산 밸류에이션 높아"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8.5%(+6.7%p)
* ECB 독일 위원, "올해 금리인상할 가능성 여전" <Politico>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부총재, "중국 채권시장 개방해야. 채권 ETF 인덱스 상품 연구중"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7% (+0.02%p)
미 10년 국채 2.75%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9%p (+0.001%pp)
미 BBB 회사채 4.57% (+0.02%p)
미 하이일드 7.16% (-0.06%p)
이머징 국채 6.75% (-0.02%p)
이머징 주식 8.83% (-0.03%p)
한국 주식 10.65% (-0.03%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호주
* 미 1월 필라델피아연은 제조업지수, 17.0. 예상 9.0, 전월 9.1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2개, +8개) vs. 최저(3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Morgan Stanley CEO, "M&A 파이프라인 견조. 심리도 양호. 레버리지론 시장 기대"
* Netflix, 1분기 매출 가이던스 44.9억달러. 예상 46.0억달러
- CEO, "HBO보다 Fortnite가 더 큰 위협"
* PPG, 달러강세로 4억~5억달러 매출 손실. 금리상승으로 상반기 주택시장 둔화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55 (+0.02%)
* 미 하이일드펀드로 주간 33억달러 유입. 2016년 12월 이후 최대규모
[재정]
* 미 하원 셧다운 막기 위한 예산안 통과. 미 대통령 거부할 듯
[무역]
* 미 정부, 시장 안정 위해 대중국 관세 제거 방안 고려 <WSJ>
- 미 재무부, WSJ 관련 보도 부인
[경협]
[반도체]
* TSMC, 2019년 메모리 제외 반도체시장 1% 성장 전망
- CEO, "High Performance Computing이 향후 5년간 성장 견인"
[원자재]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3.70 (+0.50%) 외인 +1,508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0.55원 (-1.90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8 (-0.1)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2 (-0.2)
- 금융 22.5 (+0.1)
- 정유화학 10.6 (-0.0)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2배, -0.03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7조원 +0.02조원
- 비중, 2.06%, +0.03%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2019년 1월 17일 목요일
daily_2019.01.17
2019년 1월 17일 데일리
세줄요약
-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CLO 익스포져도 적다고 덧붙였습니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 상원의원이 전했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 일자가 2월 중으로 당겨질 경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1절에 서울을 답방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4%(-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대다수 지역서 성장세. 취약한 부분도 드러나 <베이지북>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8%(+4.6%p)
* ECB 오스트리아 위원, "브렉시트로 은행들에 큰 변화 없을 것"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2019회계년 인플레이션 전망 하향할 듯 <블룸버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통계국장, "낮아진 M2 증가율에 익숙해져야"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5% (+0.02%p)
미 10년 국채 2.72%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8%p (-0.008%pp)
미 BBB 회사채 4.55% (+0.00%p)
미 하이일드 7.22% (-0.06%p)
이머징 국채 6.77% (-0.03%p)
이머징 주식 8.86% (-0.12%p)
한국 주식 10.68% (-0.06%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러시아
* 미 1월 NAHB 주택시장지수, 58. 예상 56, 전월 56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4개, -8개) vs. 최저(5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BofA CFO, "예금 증가가 순이자 이익 증가 이끌어. 대출 성장 지속될 것"
- "CLO 익스포져 거의 없다"
* CSX, 2019년 낮은 한 자릿수 매출 증가 예상. 석탄, 곡물 출하 둔화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52 (+0.18%)
* 골드만삭스 CFO, "레버리지론과 CLO 익스포져에 불편함 없어"
- "CLO 익스포져 20억달러 수준. LBO 금융위기 때와 달라"
[재정]
* 영국 의회, 정부 불신임안 부결. 다음주 초 메이 총리 '플랜 B' 제시
- 플랜 B 의회 통과 무산시 제2 국민투표 가능성
[무역]
* 미 상원 금융위원장, "대통령,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쪽으로 쏠려"
* CNPC, "무역분쟁으로 미국산 LNG 수입 중단하고 다른 나라서 수입할 수도"
[경협]
[반도체]
[원자재]
* Chevron-Total-Reliance,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트레이딩 플랫폼 Vakt Hldgs에 투자
* 미 국가안보위 대변인, "베네수엘라산 원유에 대한 수입금지 고려중" <CNN>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3.20 (+0.40%) 외인 +1,67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9.30원 (-0.8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9 (-0.2)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4 (-0.0)
- 금융 22.4 (-0.1)
- 정유화학 10.6 (-0.0)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1)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5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5조원 +0.03조원
- 비중, 2.03%, +0.00%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가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CLO 익스포져도 적다고 덧붙였습니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 상원의원이 전했습니다.
- 북미 정상회담 일자가 2월 중으로 당겨질 경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3.1절에 서울을 답방할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4%(-0.5%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Fed, 대다수 지역서 성장세. 취약한 부분도 드러나 <베이지북>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41.8%(+4.6%p)
* ECB 오스트리아 위원, "브렉시트로 은행들에 큰 변화 없을 것"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 일본은행, 2019회계년 인플레이션 전망 하향할 듯 <블룸버그>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통계국장, "낮아진 M2 증가율에 익숙해져야"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5% (+0.02%p)
미 10년 국채 2.72%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78%p (-0.008%pp)
미 BBB 회사채 4.55% (+0.00%p)
미 하이일드 7.22% (-0.06%p)
이머징 국채 6.77% (-0.03%p)
이머징 주식 8.86% (-0.12%p)
한국 주식 10.68% (-0.06%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러시아
* 미 1월 NAHB 주택시장지수, 58. 예상 56, 전월 56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4개, -8개) vs. 최저(5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BofA CFO, "예금 증가가 순이자 이익 증가 이끌어. 대출 성장 지속될 것"
- "CLO 익스포져 거의 없다"
* CSX, 2019년 낮은 한 자릿수 매출 증가 예상. 석탄, 곡물 출하 둔화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52 (+0.18%)
* 골드만삭스 CFO, "레버리지론과 CLO 익스포져에 불편함 없어"
- "CLO 익스포져 20억달러 수준. LBO 금융위기 때와 달라"
[재정]
* 영국 의회, 정부 불신임안 부결. 다음주 초 메이 총리 '플랜 B' 제시
- 플랜 B 의회 통과 무산시 제2 국민투표 가능성
[무역]
* 미 상원 금융위원장, "대통령,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쪽으로 쏠려"
* CNPC, "무역분쟁으로 미국산 LNG 수입 중단하고 다른 나라서 수입할 수도"
[경협]
[반도체]
[원자재]
* Chevron-Total-Reliance,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트레이딩 플랫폼 Vakt Hldgs에 투자
* 미 국가안보위 대변인, "베네수엘라산 원유에 대한 수입금지 고려중" <CNN>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3.20 (+0.40%) 외인 +1,672계약
* 1개월 NDF 환율 1,119.30원 (-0.85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5.9 (-0.2)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4 (-0.0)
- 금융 22.4 (-0.1)
- 정유화학 10.6 (-0.0)
- 자동차 5.5 (-0.0)
- 철강 4.2 (-0.1)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5배, -0.00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5조원 +0.03조원
- 비중, 2.03%, +0.00%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2019년 1월 16일 수요일
daily_2019.01.16
2019년 1월 16일 데일리
세줄요약
- Fed 내에서 가장 매파로 분류되는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가 금리인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중국의 12월 사회 총융자가 전년동기대비 두 배 증가한 1.58조위안으로 집계됐습니다.
- Netflix가 미국 월 구독가격을 18% 인상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2%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미네아폴리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낮은 인플레 환경에서 브레이크 밟을 필요 없다"
- "임금 상승률, 아직 올라오지 않아"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극매파), "통화정책, 중립에 가까워져.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 "금리 정상화 잠시 멈출 좋은 시기"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불확실한 시기. 어떻게 드러날지 지켜봐야"
- "Fed의 인내 기간, 한개 또는 두개 분기일 것"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7.2%(-6.8%p)
* ECB 총재, "유럽경기 둔화 중. 침체는 아니다"
- "경기둔화, 예상보다 오래 갈 수도 있다"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통계국장, "현재 유동성 충분. 시장금리 안정적"
- "인민은행, 중장기 유동성 적절히 늘려갈 것"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3% (-0.01%p)
미 10년 국채 2.7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86%p (+0.015%pp)
미 BBB 회사채 4.55% (+0.01%p)
미 하이일드 7.28% (+0.07%p)
이머징 국채 6.80% (-0.00%p)
이머징 주식 8.98% (+0.04%p)
한국 주식 10.74% (-0.25%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 중국 12월 사회총융자, 1.58조위안. 예상 1.30조위안, 전월 1.52조위안
- 신규대출, 1.08조위안. 예상 0.82조위안, 전월 1.25조위안
* 미 12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2.5%. 예상 +2.5%, 전월 +2.5%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2개, +2개) vs. 최저(7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JP모건, 1분기 순이자이익 4분기 수준 전망
- CFO, "신용 사이클 뒤집어졌다고 생각하지 않아"
* Netflix, 미국 월 구독가격 10.99달러 -> 12.99달러로 인상키로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35 (-0.24%)
* Morgan Stanley, 올해 레버리지론 수익률 전망 1.3% -> 4.3%로 상향
[재정]
* 영국 의회, 메이 총리 브렉시트 안 432대202로 부결
- EU, 영국에 EU 잔류 촉구속 합의 없는 브렉시트 대비
[무역]
[경협]
* 미 대통령, 북한 국무위원장에 지난주말 친서 전달 <CNN>
- 북 통일전선부장, 이르면 이번주 미국 방문 가능성
[반도체]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제 진짜 실력 나온다. 올해 반도체 수요 증가"
* Nanya Technology, 2019년 Capex 50% 감소한 100억뉴타이완달러 예상
* Micron, Intel과 설립한 JV IM 지분 취득 콜옵션 행사키로. 현금 15억달러
[원자재]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0.05 (-0.30%) 외인 -2,373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1.72원 (+0.91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6.1 (-0.8)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4 (-0.5)
- 금융 22.5 (-0.0)
- 정유화학 10.6 (-0.1)
- 자동차 5.5 (-0.1)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5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2조원 +0.02조원
- 비중, 2.03%, -0.01%p (저점 1.5%~2.0% 고점)
세줄요약
- Fed 내에서 가장 매파로 분류되는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가 금리인상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 중국의 12월 사회 총융자가 전년동기대비 두 배 증가한 1.58조위안으로 집계됐습니다.
- Netflix가 미국 월 구독가격을 18% 인상했습니다.
1.중앙은행들
Fed : 2019년 2번 금리인상 + 자산축소 지속
- 2019년 2번 금리인상 확률 0.9%(+0.2%p)
FOMC
- 극매파 : 1명
- 매파 : 5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3명
- 극비둘기파 : 2명
* 미네아폴리스연은 총재(극비둘기파), "낮은 인플레 환경에서 브레이크 밟을 필요 없다"
- "임금 상승률, 아직 올라오지 않아"
* 캔자스시티연은 총재(극매파), "통화정책, 중립에 가까워져. 조심스럽게 진행해야"
- "금리 정상화 잠시 멈출 좋은 시기"
* 댈러스연은 총재(중립), "불확실한 시기. 어떻게 드러날지 지켜봐야"
- "Fed의 인내 기간, 한개 또는 두개 분기일 것"
ECB : 2019년 QE 중단. 여름까지 금리동결
- 2019년 금리인상 확률 37.2%(-6.8%p)
* ECB 총재, "유럽경기 둔화 중. 침체는 아니다"
- "경기둔화, 예상보다 오래 갈 수도 있다"
일본은행 : 10년 국채금리 0% 목표
인민은행 : 신중하고 유연한 통화정책
* 인민은행 통계국장, "현재 유동성 충분. 시장금리 안정적"
- "인민은행, 중장기 유동성 적절히 늘려갈 것"
2. Credit Cycle : 미 하이일드 > 이머징 국채 "역전"
미 기준금리 2.50%
미 2년 국채 2.53% (-0.01%p)
미 10년 국채 2.7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186%p (+0.015%pp)
미 BBB 회사채 4.55% (+0.01%p)
미 하이일드 7.28% (+0.07%p)
이머징 국채 6.80% (-0.00%p)
이머징 주식 8.98% (+0.04%p)
한국 주식 10.74% (-0.25%p)
3. Macro
G20 2019년 경제성장률 컨센서스 3.11% (0.00%p)
- 상향 :
- 하향 :
* 중국 12월 사회총융자, 1.58조위안. 예상 1.30조위안, 전월 1.52조위안
- 신규대출, 1.08조위안. 예상 0.82조위안, 전월 1.25조위안
* 미 12월 생산자물가, 전년비 +2.5%. 예상 +2.5%, 전월 +2.5%
4. 기업이익
MSCI World 기업 매출 31.71조달러(0.00조달러), 순익 3.51조달러(0.00조달러)
- 순이익률 11.10%(0.00%p)
5. 52주 최고(12개, +2개) vs. 최저(7개, -2개)
+ 52주 최고
+ 52주 최저
6. News
[기업]
* JP모건, 1분기 순이자이익 4분기 수준 전망
- CFO, "신용 사이클 뒤집어졌다고 생각하지 않아"
* Netflix, 미국 월 구독가격 10.99달러 -> 12.99달러로 인상키로
[레버리지 론] S&P/LSTA 지수, 96.35 (-0.24%)
* Morgan Stanley, 올해 레버리지론 수익률 전망 1.3% -> 4.3%로 상향
[재정]
* 영국 의회, 메이 총리 브렉시트 안 432대202로 부결
- EU, 영국에 EU 잔류 촉구속 합의 없는 브렉시트 대비
[무역]
[경협]
* 미 대통령, 북한 국무위원장에 지난주말 친서 전달 <CNN>
- 북 통일전선부장, 이르면 이번주 미국 방문 가능성
[반도체]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제 진짜 실력 나온다. 올해 반도체 수요 증가"
* Nanya Technology, 2019년 Capex 50% 감소한 100억뉴타이완달러 예상
* Micron, Intel과 설립한 JV IM 지분 취득 콜옵션 행사키로. 현금 15억달러
[원자재]
+ 한국시장
* 야간선물, 270.05 (-0.30%) 외인 -2,373계약
* 1개월 NDF 환율 1,121.72원 (+0.91원)
* 2019년 순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136.1 (-0.8)
- KOSDAQ 7.6 (+0.0)
- 전기전자 51.4 (-0.5)
- 금융 22.5 (-0.0)
- 정유화학 10.6 (-0.1)
- 자동차 5.5 (-0.1)
- 철강 4.3 (-0.0)
- 화장품 1.6 (0.0)
* 중소형주/대형주, 1.45배, -0.02배 (2015년 7월24일 1.78배)
* 코스닥 신용금액, 4.72조원 +0.02조원
- 비중, 2.03%, -0.01%p (저점 1.5%~2.0% 고점)
라벨:
daily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