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Column_FOMO 작동원리_2025.10.18

  

- 도덕 감정론

 

* 지금부턴 투자에 심리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겁니다. 심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레퍼런스의 레퍼런스를 찾아가다 보면 애덤 스미스의 도덕 감정론을 만나게 됩니다.

 

* 이 책은 애덤 스미스를 스타로 만들었고, 그 덕에 귀족 자제의 여행에 자문역으로 동행하게 됐는데 그때 쓴 책이 국부론입니다.

 

- 가난을 숨기려는 본성 -

 

* 사람은 남의 슬픔보다 기쁨에 공감합니다. 그래서 가난을 숨기고 부를 과시합니다. 힘듦을 드러내도 다른 사람들은 내가 겪고 있는 고통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됩니다.

 

* 도덕감정론은 먹고 사는데 필요한 돈은 어렵지 않게 벌 수 있지만 누구도 거기에 만족하지 않는다며, 돈을 어렵게 벌어서 사치에 써버리는 것도 다른 사람들로부터 공감을 얻고 싶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 이 모방적 경쟁심리는 지위 개선이라는 인생의 위대한 동기에서 발로되고 사람은 인정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살아갑니다.

 

- 동일시 기재 -

 

* 모두가 부자가 되려고 하면 사회는 불안정해질 것 같지만 안정이 유지되는데, 그건 더 나은 사람들과 나 자신을 동일시하기 때문입니다. 주제 파악을 못하고, 분수를 모르며, 정신 승리하기 때문에 이 사회의 안녕이 유지된다는 겁니다. 국뽕이 잘 팔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 권력이 부자를 괴롭히면 가난한 자들이 분노합니다. 그러니 가난하게 태어난 사람들이 부자가 된 이야기를 사회에 공급해야 하고 주식시장엔 성공 신화가 들려야 합니다. 사람은 부자가 아니라는 사실이 아니라 부자가 될 길이 막혔다는 사실에 분노합니다.

 

* 그러니 FOMO는 이 세상을 작동시키고 안정시키고 유지하게 하는 아주 바람직하고 건전한 도덕적 상태입니다. FOMO가 와서 사치를 하느냐 투자를 하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macro daily_2025.10.17

 2025년 10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중소은행 두 곳이 상업용모기지 펀드 대출을 상각했다고 밝혀 크레딧 우려가 부각됐습니다.  


(2) TSMC가 생산능력이 빠듯하다고 밝혀 AI 밸류체인 주식들은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3) 미 10년 국채금리가 4월 이후 처음으로 4%를 하회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3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15.10원 (-1.85원)

테더 1,536.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568%(-0.06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3.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마이런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10월 50bp 인하해야"


* 월러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기준금리 25bp씩 추가 인하 가능"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8%(-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7%, 프랑스 3.33%, 이탈리아 3.35%)


* ECB 총재, "미래 충격 대비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일본은행 


* 일본은행 총재, "경제전망 강화되면 금리인상 계속할 것"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10% (0.00%p) 

미 2년 국채 3.42% (-0.07%p)

미 10년 국채 3.97% (-0.05%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52%p (+0.019pp)


미 BBB 회사채 4.98% (-0.06%p)

미 하이일드 6.69% (-0.20%p)


이머징 국채 6.59% (-0.12%p)

이머징 주식 6.38% (-0.12%p) 

한국 주식 6.92% (-0.16%p) 


한국 3년 국채 2.58% (+0.06%p)

한국 10년 국채 2.92% (+0.06%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40%p (+0.003%p)


한국 3년 IRS 금리 2.53% (+0.06%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4개 +14개)


* 글로벌 필수소비재 (경기우려 점증)

- Monster Beverage (미국 필수소비재), Walmart (미국 필수소비재)


52주 최저 (31개 +11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7.7 (+2.5) 

- KOSDAQ 6.6 (-0.1)


- 전기전자 71.1 (+0.2)

- 커뮤니케이션 6.8 (-0.0)

- 자동차 19.4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7 (-0.0)

- 조선건설기계 8.0 (+0.0)

- 철강 1.2 (-0.1)

- 금융 34.2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Zion Bancorp, 5,000만달러 충당금 공개

- 상업용 모기지 투자하는 펀드에 대출 사기


* TSMC, 미국내 생산시설 확장에 속도내고 있다. 생산능력 매우 타이트

- 2025년 Capex 가이던스 380억~420억달러 -> 400억~420억달러 상향

- 올해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 30% 중반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러시아 대통령과 2주내 만날 것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macro daily_2025.10.16

 2025년 10월 1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베센트가 한국과 협상은 10일내 타결되고, 중국은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2) ASML이 2026년 순매출이 2025년보다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3) LVMH가 3분기 일본 제외 아시아 매출이 2% 늘었다고 발표해 12% 올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6%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20.19원 (-2.31원)

테더 1,531.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628%(+0.01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3.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마이런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무역 불확실성으로 금리인하 시급"


* 월러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AI, GDP와 소득 높일 것 확실"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9%(+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57%, 프랑스 3.34%, 이탈리아 3.38%)


* EU, 공공조달 계약에서 유럽 기업 우대 논의 예정 <블룸버그>

- 프랑스 주도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10% (0.00%p) 

미 2년 국채 3.47% (-0.01%p)

미 10년 국채 4.0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33%p (-0.015pp)


미 BBB 회사채 5.05% (-0.02%p)

미 하이일드 6.90% (-0.09%p)


이머징 국채 6.71% (+0.03%p)

이머징 주식 6.51% (+0.07%p) 

한국 주식 7.01% (-0.18%p) 


한국 3년 국채 2.52% (-0.01%p)

한국 10년 국채 2.85%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37%p (+0.008%p)


한국 3년 IRS 금리 2.47%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00개 +16개)


* 글로벌 금광산 (금 현물 가격 상승)

- Kinross Gold (캐나다 금광산), Gold Fields (남아공 금광산)


52주 최저 (20개 -19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5.2 (-0.1) 

- KOSDAQ 6.7 (0.0)


- 전기전자 70.9 (+2.3)

- 커뮤니케이션 6.8 (-0.1)

- 자동차 19.4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7 (-0.2)

- 조선건설기계 8.0 (+0.1)

- 철강 1.3 (-0.0)

- 금융 34.1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SML, 3분기 수주 54.0억유로. 예상 48.9억유로

- "2026년 순매출, 2025년보다 높을 것"

- CFO, "희토류 수출통제 준비하고 있다"


* LVMH, 3분기 유기적 매출 2% 감소. 예상 -3.5%

- 일본 제외 아시아 매출 2.0% 증가. 예상 -3.6%


<펀드>


* Two Sigma, 1.2억달러 규모 Eclipse 펀드 폐쇄키로


<정책, 지표> 


* 미 재무장관, "10일내 한국과 협상 마무리할 듯"


* 미 재무장관, 대중국 무역협상 시한 연장 제안 

- 11월 10일 만료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10.15

 2025년 10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제이미 다이먼이 서브프라임 캐피탈 회사 파산이 더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2) 다이먼 경고로 하락 출발한 주식시장이 파월의 자산축소 중단 시사로 낙폭을 줄였습니다.


(3) 프랑스 총리가 연금개혁 중단을 시사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9%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27.01원 (-1.49원)

테더 1,509.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618%(+0.00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3.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Fed 의장 (중립 투표권있음), "B/S 축소 몇개월 내 종료할 수도"

- "9월 FOMC와 생각 크게 안달라져"


* 보우만 Fed 이사 (극비둘기파 투표권있음), "계속 연말까지 두 차례 금리인하 예상" 


* 보스턴연은 총재 (중립 투표권있음), "아마 추가 25bp 인하 적절할 수도"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8%(0.09%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1%, 프랑스 3.39%, 이탈리아 3.39%)


* 프랑스 중앙은행장, "다음 금리 움직임은 인상보단 인하일 듯"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10% (0.00%p) 

미 2년 국채 3.48% (-0.02%p)

미 10년 국채 4.0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47%p (+0.017pp)


미 BBB 회사채 5.07% (0.00%p)

미 하이일드 6.99% (0.00%p)


이머징 국채 6.68% (0.00%p)

이머징 주식 6.44% (+0.06%p) 

한국 주식 7.20% (+0.03%p) 


한국 3년 국채 2.53% (-0.02%p)

한국 10년 국채 2.86% (-0.04%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29%p (-0.026%p)


한국 3년 IRS 금리 2.48%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84개 +48개)


* 글로벌 금광산 (금 현물 가격 상승)

- Kinross Gold (캐나다 금광산), Gold Fields (남아공 금광산)


52주 최저 (39개 +20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5.3 (-0.5) 

- KOSDAQ 6.7 (0.0)


- 전기전자 68.6 (+0.1)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4 (0.0)

- 화장품 0.8 (+0.1)


- 정유화학 1.9 (-0.1)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1.3 (0.0)

- 금융 34.2 (+0.1)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JP Morgan, 올해 순이자이익 955억달러 -> 958억달러 상향

- CEO, "높아져 있는 자산가격이 리스크"

- CEO, Tricolor Firstbrands 바퀴벌레에 비유

- "한 마리 봤으면 더 있는 것"  


<펀드>


<정책, 지표> 


* IEA, 2026년 전세계 원유공급 초과 400만b/d로 상향 


* 프랑스 총리, 연금개혁 중단 시사


* EU, 중국에 투자 대가로 기술이전 요구 고려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10.14

 2025년 10월 14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JP모건이 미 안보 분야에 10년간 1.5조달러를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2) 헤지펀드 씨타델이 독일 전력거래 회사 플렉스파워를 인수합니다.


(3) 미 주식시장에서 에너지 희토류 인프라 주식들이 급등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68%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425.13원 (+0.13원)

테더 1,488.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12월 10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3.616%(+0.005%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3.0% (0.0%p)


FOMC


- 극매파 : 2명 

- 매파 : 3명 

- 중립 : 7명

- 비둘기파 : 4명 

- 극비둘기파 : 3명 


* 필라델피아연은 총재 (비둘기파 투표권없음), "고용시장 리스크 증가. 관세가 지속적인 인플레 야기하지 않아"

- "연내 2차례 금리인하 선호"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8%(+0.08%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3%, 프랑스 3.47%, 이탈리아 3.43%)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10% (0.00%p) 

미 2년 국채 3.50% (0.00%p)

미 10년 국채 4.03% (0.00%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31%p (0.000pp)


미 BBB 회사채 5.07% (+0.04%p)

미 하이일드 6.99% (+0.26%p)


이머징 국채 6.68% (+0.11%p)

이머징 주식 6.38% (+0.04%p) 

한국 주식 7.17% (+0.05%p) 


한국 3년 국채 2.55% (-0.03%p)

한국 10년 국채 2.90% (-0.05%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55%p (-0.017%p)


한국 3년 IRS 금리 2.49% (-0.04%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36개 -37개)


52주 최저 (19개 -1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5.8 (0.0) 

- KOSDAQ 6.7 (0.0)


- 전기전자 68.5 (+0.2)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4 (-0.2)

- 화장품 0.7 (-0.1)


- 정유화학 2.0 (-0.0)

- 조선건설기계 7.9 (-0.1)

- 철강 1.3 (+0.0)

- 금융 34.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JP Morgan, 미 안보 분야에 향후 10년간 1.5조달러 투입

- 기존 계획 대비 5,000억달러 추가 투입

- 주식, 채권 발행 중개 및 제3자 금융 주선 등 포함


* Open AI-Broadcom, 2026년 맞춤형 반도체 개발 협력

- 10GW 연산 능력


* Citadel, 독일 전력거래사 FlexPower 인수 


<펀드>


<정책, 지표> 


* 미 재무장관, "미 대통령과 중국 주석 만날 것으로 봐. 모든 가능성 열려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