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7일 수요일

macro daily_2025.09.17

 2025년 9월 17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FOMC를 하루 앞두고 미 주식시장이 보합권에서 움직였습니다.


(2) 미 기업들이 틱톡 미국 사업부를 인수합니다. 바이낸스도 준법이슈 해소에 근접했습니다.  


(3) 미 주택심리지표가 코로나 당시로 하락한 가운데 Fed의 장기금리 의무가 부각됐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76.65원 (-3.12원)

테더 1,389.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70%(0.000%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 한은 위원들, 추가 금리인하 공감대 불구 부동산 내외금리차 우려 잔존 <8월 의사록>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50%(+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9%, 프랑스 3.48%, 이탈리아 3.47%)


일본은행 


* 일본은행, 총리 사임으로 이번주 기준금리 동결 관측 <블룸버그>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50% (-0.03%p)

미 10년 국채 4.02% (-0.01%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21%p (+0.022pp)


미 BBB 회사채 5.01% (-0.02%p)

미 하이일드 6.58% (-0.03%p)


이머징 국채 6.68% (+0.01%p)

이머징 주식 6.60% (-0.00%p) 

한국 주식 7.34% (-0.09%p) 


한국 3년 국채 2.41% (-0.03%p)

한국 10년 국채 2.79%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85%p (+0.006%p)


한국 3년 IRS 금리 2.38%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16개 +8개)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

- 삼성전자 (한국 반도체), SK하이닉스 (한국 반도체)


52주 최저 (29개 +3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2.8 (+0.2) 

- KOSDAQ 6.6 (0.0)


- 전기전자 65.3 (+0.3)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7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7 (+0.1)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1.4 (0.0)

- 금융 34.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Andreessen-Silverlake-Oracle, TikTok 미국 법인 운영 <WSJ>


* Binance, 미 법무부가 부과한 준법감시 의무 중단하는데 근접 <블룸버그>


* Nvidia의 중국용 GPU RTX6000D 중국 수요 미지근 <로이터>


<펀드>



<정책, 지표> 


* 미 8월 소매판매, 전월비 0.6% 증가. 예상 +0.2%, 전월 +0.6%


* 미 9월 NAHB 주택시장지수, 32. 예상 33, 전월 32 


2025년 9월 16일 화요일

macro daily_2025.09.16

 2025년 9월 16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일론 머스크가 테슬라 주식을 10억달러 매입했고 나스닥이 0.9% 올랐습니다.


(2) 유로화 출범 이후 처음으로 프랑스 10년 금리가 이탈리아를 웃돌았습니다.


(3) 고객 예탁금이 72조원까지 늘었습니다. 가장 많을 때 77.9조원이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3.18원 (-3.12원)

테더 1,395.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70%(-0.001%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6%(-0.03%p)


* 중국 8월 부동산판매, ytd 7.0% 감소. 전월 -6.2%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9%, 프랑스 3.47%, 이탈리아 3.47%)


* 프랑스 중앙은행, 2026년 경제성장률 0.9%로 0.1%p 하향


일본은행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53% (-0.02%p)

미 10년 국채 4.03% (-0.03%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99%p (-0.010pp)


미 BBB 회사채 5.03% (-0.05%p)

미 하이일드 6.61% (-0.02%p)


이머징 국채 6.67% (-0.04%p)

이머징 주식 6.60% (-0.08%p) 

한국 주식 7.43% (-0.02%p) 


한국 3년 국채 2.44% (+0.01%p)

한국 10년 국채 2.82% (+0.01%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79%p (-0.006%p)


한국 3년 IRS 금리 2.39%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08개 -39개)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

- 삼성전자 (한국 반도체), SK하이닉스 (한국 반도체)


52주 최저 (26개 +7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2.6 (0.0) 

- KOSDAQ 6.6 (0.0)


- 전기전자 65.0 (+0.3)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7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6 (0.0)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1.4 (0.0)

- 금융 34.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Tesla CEO, 지난 12일 Tesla 주식 10억달러 매입


* 중국 정부, 2027년까지 신형 에너지 저장 설비 용량 180GW로 확대

- 2024년 말 73.76GW


* Webtoon, Disney와 온라인 만화 합작

- Disney, Webtoon 지분 2% 취득


<펀드>



<정책, 지표> 


* 미 대통령, 금요일에 중국 주석과 회담. TikTok 미국 사업부 매각 합의 관측

2025년 9월 15일 월요일

macro daily_2025.09.15

 2025년 9월 15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주식시장이 AI 관련 업종만 오르고 나머지는 내렸습니다.


(2)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진전 없이 귀국했습니다. 


(3) 피치가 프랑스 신용등급을 한단계 내렸고 국채 금리는 이탈리아와 붙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14%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90.40원 (-3.15원)

테더 1,390.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71%(+0.009%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6%(-0.03%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71%, 프랑스 3.50%, 이탈리아 3.52%)


* 프랑스 중앙은행장, "인플레 상방 리스크보다 하방 리스크가 더 크다"

- "추후 회의들에서 추가 금리인하 가능"

- "프랑스, 재정문재 해결해야. 해결할 수 있다"


일본은행 


* 미일 재무장관, "과도한 외환 움직임 부정적 영향 미쳐"

- "경쟁력 확보 위해 환율조작 않을 것"

- "엔저에 개입 대신 금리로 대응"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55% (+0.02%p)

미 10년 국채 4.06% (+0.04%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509%p (+0.026pp)


미 BBB 회사채 5.08% (+0.03%p)

미 하이일드 6.63% (-0.02%p)


이머징 국채 6.71% (+0.01%p)

이머징 주식 6.68% (-0.01%p) 

한국 주식 7.45% (-0.12%p) 


한국 3년 국채 2.43% (+0.02%p)

한국 10년 국채 2.81% (+0.00%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385%p (-0.015%p)


한국 3년 IRS 금리 2.38%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47개 -18개)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

- Micron (미국 반도체), SK하이닉스 (한국 반도체)


52주 최저 (19개 -8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2.6 (-0.0) 

- KOSDAQ 6.6 (+0.0)


- 전기전자 64.7 (0.0)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7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6 (-0.0)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1.4 (-0.0)

- 금융 34.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김정관 산업부 장관, 미국과 무역협상 후속논의 진전없이 귀국 


* SK하이닉스, 세계최초 HBM4 양산 성공


* 중국 정부, 일부 미국산 반도체에 대한 반덤핑 조사 착수


<펀드>



<정책, 지표> 


* 9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55.4. 예상 58.0, 전월 58.2


* Fitch, 프랑스 신용등급 AA- -> A+로 하향. 전망 안정적

- S&P, 스페인 신용등급 A -> A+로 상향. 전망 안정적

- Fitch, 포르투갈 신용등급 A- -> A로 상향. 전망 안정적

2025년 9월 13일 토요일

Column_AI 시대 인플레이션_2025.09.13

  

- 가속상각과 보조금 -

 

* 2028년까지 빅테크들의 AI Capex는 총 2조달러로 예상됐습니다. 이제 주가를 어디까지 땡길지 점이 찍혔습니다. 2024 AI Capex 1,200억달러였는데, 지금부터 연율 5,000억달러니까 네 배 늘어날 거라는 감이 생겼습니다.

 

* AI를 규제하자는 얘기는 쏙 들어갔습니다. 모든 나라들이 이긴 다음 생각하자로 태세를 전환했고 미국은 하나의 아름다운 법(OBBA)에서 가속상각을 허용해 세금을 깎아주기로 했습니다. 중국은 보조금을 뿌려서 AI 투자를 독려 중입니다.

 

- WTO에서 리먼까지 -

 

* 방식은 달라도 AI에 투자하는 비용은 인위적으로 낮게 책정됐습니다. 그러면 과잉 투자는 필연이고, 눈치 빠른 사람들은 버블을 기대합니다.

 

* 버블은 인플레이션으로 끝납니다. 2001년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서 시작된 세계경제 호황은 국제유가가 147달러에 도달한 20087월에 끝났습니다. 원자재 인플레는 생산구조가 더 이상 효율적이지 않다는 증거입니다.

 

- AI 시대 인플레이션

 

* AI도 생산방식을 바꿉니다. 이 최신의 생산방식도 원자재 인플레가 일어나며 한계에 도달할 겁니다. AI 시대의 원자재는 AI가 소비하는 재료, 즉 텍스트입니다.

 

* 우리는 인간임을 증명하기 위해 구글이 제시하는 사진에 나와있는 숫자와 글자를 빈칸에 입력하지만, 그건 구글 AI에게 글을 읽어준 것이었고 그래서 구글은 오픈AI보다 더 나은 AI를 만들어 냈습니다.

 

- 작가들, AI 상대 소송 -

 

* 미국의 작가들은 최근 앤트로픽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책 내용을 무단으로 AI 챗봇을 학습시키는데 썼다는 겁니다. 앤트로픽은 합의금으로 15억달러를 지불하기로 했지만 법원은 작가들이 합의를 강요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며 합의를 기각했습니다.

 

* 이 판결은 텍스트 가격의 상승을 알렸다고 생각합니다. 저작권은 AI 시대의 원자재이고, 저작권이 너무 비싸져 빅테크들이 학습비용 상승을 호소하면 그때 이번 사이클은 끝날 겁니다. 길게 보고 텍스트를 살 때입니다.

 

좋은 주말 되십시오 

2025년 9월 12일 금요일

macro daily_2025.09.12

 2025년 9월 12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021년 10월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2) 데이터센터 리츠가 사상최고를 경신했고 메모리 수혜가 기대되며 마이크론이 +7.5% 


(3) 일본은행이 ETF를 매각을 고려 중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습니다. 


K200 야간선물 등락률, +1.41%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387.89원 (-1.31원)

테더 1,391.00원


자세히 보기


rafikiresearch.blogspot.com

t.me/rafikiresearch


1.중앙은행들


- 2025년 9월 17일 금리선물 Fed Fund 내재금리 4.062%(+0.002%p)

미국 1년내 경기침체 확률 30.0% (0.0%p)


FOMC


- 극매파 : 3명 

- 매파 : 3명 

- 중립 : 6명

- 비둘기파 : 5명 

- 극비둘기파 : 2명 


한국은행


* 이수형 금통위원, "9.7 부동산 대첵 효과 등 점검하며 금리인하 시기 점검"


인민은행 : 신중한 통화정책, 7일 Repo 1.49%(-0.01%p)


ECB : 인플레 2%에서 안정 (10년 국채금리 독일 2.65%, 프랑스 3.44%, 이탈리아 3.45%)


* ECB 총재, "미리 정해져 있는 길은 없다. 그때 그때 데이터에 의해 결정할 것"


일본은행 


* 일본은행, 위험자산 축소 위한 전략 구체화. ETF 점진적 매각에 무게 <로이터>


2. Credit Cycle : 


미 기준금리 4.33% (0.00%p) 

미 2년 국채 3.53% (-0.01%p)

미 10년 국채 4.02% (-0.02%p)

-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483%p (-0.019pp)


미 BBB 회사채 5.05% (-0.03%p)

미 하이일드 6.65% (-0.02%p)


이머징 국채 6.70% (-0.06%p)

이머징 주식 6.69% (-0.06%p) 

한국 주식 7.56% (-0.07%p) 


한국 3년 국채 2.41% (-0.01%p)

한국 10년 국채 2.81% (-0.02%p)

- 한국 10-3년 장단기 금리차 0.400%p (-0.010%p)


한국 3년 IRS 금리 2.37% (-0.01%p)


3. 52주 최고 최저


52주 최고 (165개 +49개)


*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수요)

- Micron (미국 반도체), SK하이닉스 (한국 반도체)


52주 최저 (27개 +9개)


4. 한국시장


* 2025년 순익익 컨센서스 (단위 조원) 


- KOSPI 202.6 (+0.1) 

- KOSDAQ 6.6 (+0.1)


- 전기전자 64.7 (+0.2)

- 커뮤니케이션 6.9 (+0.0)

- 자동차 19.7 (0.0)

- 화장품 0.8 (0.0)


- 정유화학 1.6 (-0.0)

- 조선건설기계 7.9 (+0.0)

- 철강 1.4 (0.0)

- 금융 34.1 (-0.0)


6. 주요 뉴스

 

<산업, 기업> 


* 현대차, 조지아 배터리 공장 건설 연기 관측


* TSMC 8월 매출, 전년비 34% 증가. 2분기 매출 증가율 38.6%


<펀드>



<정책, 지표> 


* 미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 26.3만명. 예상 23.5만명, 전주 23.6만명

- 2021년 10월 이후 최고


* 미 8월 소비자물가, 전년비 2.9% 상승. 예상 +2.9%, 전월 +2.7%

- 근원 CPI, +3.1%. 예상 +3.1%, 전월 +3.1%